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최후
최종
결말
대단원
궁극
막바지
d라이브러리
"
마지막
"(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제3의 산업혁명이 불붙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기대하기는 어렵다. 일본의 경우 첫단계에서 공장 전체의 자동화를 이룩하는
마지막
단계까지 보통 30년이 걸린다고 한다. 이는 각 단계마다 설비 및 공정연구를 전사원이 참여시행한 후에야 다음 단계의 자동화설비를 들여오기 때문이다. 이 결과 설비종합가동률은 80~85%선에 이른다는 것. 더우기 ... ...
포항공과대학 단숨에 명문으로 떠오르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연구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해주겠다는 것이다. 재단독립과 장기발전구상
마지막
으로 포항공대의 장기적인 발전구상을 알아보자. 국내의 몇개 공과대학이 화려하게 출범했다가 용두사미격으로 돼버린 전례도 있고 해서 포항공대 역시 장래가 주목되는 것이 사실이다. 이 문제와 관련해 최근 ... ...
우리의 옛 선조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것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비례의 감각을 꼭 유지한다면) 원인들은 여전히 지구존재의
마지막
1천분의 일 동안에 존재해 왔을 뿐이다. The human species is a newcomer on Earth. We haven't been here for long compared with Earth's mighty lifetime, but we ...
연산자의 다양한 사용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않으면 모든 case문 및 default문이 실행된다는 것이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case문
마지막
에 break;를 필히 넣어둔다. 또한 이 break문은 if문, switch문등의 블럭으로부터 빠져나가기 위해서도 사용한다. break문과 같이 블럭내에서 자주 사용되는 제어문으로서 continue문이 있다. break문이 블럭 탈출용으로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남아있을 정도로 거의 상실되고 말았다. 자연도로와 생태계의 다양성이 사라지고 이제
마지막
으로 잔존하는 하구 남단의 습지, 바다와의 경계를 이루는 모래톱마저 매립하여 산업단지로 개발코자 온갖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낙동강 하구는 한반도에서는 유일한 잔존 생태계인 동시에 ... ...
보다 장래성 있는 분야는?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등을 들 수 있다. 학문의 발전단계로 볼때는 미생물에서 동·식물로, 그리고
마지막
에는 인체 특히 뇌를 연구하는 신경생물학이 주목받을 전망이다. 불과 10여년의 연륜을 갖고 있는 유전공학은 생명을 다루는 어려움과 거액의 연구비 때문에 선진국에서 주로 결실을 맺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도 ... ...
컴퓨터감사 워크샵 개최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소개하고, 둘째날은 제조업체의 감사용소프트웨어 활용사례와 AuditpakⅡ의 개요를,
마지막
날은 AuditpakⅡ 사용실습과 아울러 종합토의를 통해 감사용 소프트웨어 도입 방안을 검토할 예정. 자세한 문의는 중앙대 김길조교수 연구실(전화 815-1211)로 하면 된다 ... ...
제1회 인촌상 학술부문 수상자 이호왕 교수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수 있었던 것도 그 이유 중의 하나겠지요. 나머지 이유는 운이 좋았다고 할 수 있지요."
마지막
표현대로 운이 좋아 세계에서 독보적인 업적을 쌓게 된 것만은 아닌것같다. 이교수의 연구소는 현재 세계보건기구(WHO) 출혈열연구중심센터로 지정받고 있다. 여기에서는 세계 각지에서 분리되는 ... ...
무엇이 매력포인트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float j〔3〕으로 선언된 배열 변수에 j〔2〕=1.23456으로 값을 기억시킨 것은 배열의 제일
마지막
원소의 값을 1.23456로 한다는 뜻이다.j〔3〕의 데이타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알기위해 j〔3〕=1.23456으로 문장을 바꾸어서 실행시켜보면 처리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출력될 것이다.문자열 처리C언어에서는 ... ...
노벨상 수상자 결정에 잡음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수상하였다. 그는 자신이 노벨상을 타고난 후 원래 소위 '이온주의'의 삼두마차 중
마지막
사람인 오스트발트의 수상을 집요하게 추진하였다. 마침내 1909년 오스트발트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였다. 이렇게 물리, 화락 분야의 노벨상 수상에 있어서의 아레니우스의 영향력은 1921년 네른스트(W.Nernst)가 ... ...
이전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