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면
바깥
외부
외면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겉
"(으)로 총 880건 검색되었습니다.
혈액형 바꾸는 효소
과학동아
l
200705
의 구분을 알리지 않고 제3자인 판정자에게만 알려 약효를 객관적으로 판단한다천체의
겉
보기지름을 각도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항성의 각지름은 아무리 커도 005초를 넘는 일은 드물며 태양과 달의 각지름은 005로 가장 크다떨어진 두 지점에서 한 물체(천체)를 관측할 때 보이는 위치가 배경에 대해 ... ...
하늘에 이름 새기려는 욕망
과학동아
l
200705
1월 초순‘맥노트’라는 이름의 밝은 혜성이 초저녁 하늘에 보인다는 뉴스가 화제였다.
겉
보기 밝기가 -2등급에 이르는 30년 만에 가장 밝은 혜성이라는 보도에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혜성을 봐야겠다는 결심을 한 사람도 많았을 것이다.사실 관측 조건을 따지고 보면 이 뉴스는 좀 과장됐다. 혜성은 ... ...
유럽은 전구 세대교체 중
과학동아
l
200704
대상이 있다 이들은 대부분 성운(nobula)과 성단(cluster)으로 불리고 있는데 이 두가지는
겉
보기에는 비슷해도 실제에 있어서는 매우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이 중에서 별이 모여서 된 것이 성단인데, 여기에는 구형으로 된 구상성단(globular cluster)과 불규칙적인 산개성단(open cluster)이 있다 구상성단들은 ... ...
실험실 미인, 다이아몬드
과학동아
l
200704
다이아몬드. 천연 다이아몬드처럼 탄소로 이뤄졌고 정사면체의 결정구조를 가져
겉
보기나 경도, 굴절률 같은 물리적 성질이 똑같다.1캐럿 다이아몬드 12시간이면 뚝딱실험실 다이아몬드는 반도체 연구의 산물이다. 반도체는 용량이 늘어날수록 열이 많이 발생하는데 기존의 실리콘 웨이퍼로는 열을 ... ...
아우별이 형별보다 밝은 이유는?
과학동아
l
200703
모든 별의 실제 밝기는 똑같으며 지구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느냐에 따라 별의
겉
보기 밝기가 달라진다고 생각했다. 밝은 별은 가까이 있고 어두운 별은 멀리 있다고 말이다. 밝은 별과 어두운 별이 붙어 있는 이중성 카스토르는 그만큼 두 별 사이의 거리차가 크다는 뜻이므로 손쉽게 시차를 비교할 ... ...
용암으로 탄소나노튜브 싸게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03
탄소나노튜브 합성 과정에서 촉매 역할을 한다. 또한 구멍이 많아 표면적이 넓은 용암의
겉
면에 합성된 탄소나노튜브가 잘 붙는다. 용암은 탄소나노튜브라는 모가 자라는 모판 인 셈이다.연구팀은 에트나 화산의 용암을 잘게 부순 다음 수소와 함께 700℃로 가열했다. 여기에 에틸렌 가스를 첨가하자 ... ...
한국 천문학자, 특이천체 퀘이사 무더기로 발견
과학동아
l
200702
1963년 미국 천문학자들이 처음 발견한 이래 지금까지 10만개 이상 확인됐다. 이 천체는
겉
보기에 별처럼 보이기 때문에 준성(準星)이라 불린다. 퀘이사는 지구에서 상당히 먼 거리에 떨어져 있으며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게 특징이다. 초창기 퀘이사의 에너지원은 수수께끼였다. 많은 ... ...
땅 위에 떠오른 오리온자리, 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702
100인치 망원경으로 최초로 측정한 베텔기우스의 각지름은 0.044"였다. (보통 별의
겉
보기 크기는 천구를 360°로 나눈 각도인 각지름으로 나타낸다. 달의 각지름은 0.5°다) 실제로 베텔기우스의 크기는 0.034"에서 0.054"까지 변한다.그럼 태양을 보듯 베텔기우스의 동그란 맨얼굴을 망원경으로 볼 수는 ... ...
탐나는 열성
과학동아
l
200702
30% 정도 섞였다”고 말했다. 열성과 우성이 짝짓기를 하면 자손 대에서 갈색 눈이
겉
으로 드러나고 푸른색 눈은 우성에 가려 드러나지 않는다. 김 교수는 “이 때문에 세대를 거듭할수록 푸른 눈의 비율은 줄고 갈색 눈의 비율은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눈은 홍채에 분포하는 멜라닌 색소의 ... ...
해적왕 잭의 지도정복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1
이동한다.혹시 밀수를? GPS가 조사하면 다 나와항만에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컨테이너를
겉
에서 보고 그 안에 뭐가 들어 있는지 확인하기는 힘들다. 그런데 각 컨테이너 안에 들어 있는 물건의 정보를‘척’하고 알아내는 GPS 서비스가 있다. 실제로 호주에서 사용하고 있다.미아 찾기부터 야생동물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