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높이"(으)로 총 2,5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탄생 - 난쟁이 인류, ‘호빗’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310
- 있습니다. 월리스선 북쪽이 바다가 얕은 지역인데, 빙하기가 반복되던 시기에는 바다의 높이가 지금보다 낮았기 때문에 이 지역은 아시아 대륙과 연결돼 있었습니다. 동물은 물론 인류도 걸어서 갈 수 있었습니다.하지만 플로레스 섬은 월리스선 남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지역은 가장 혹독한 ... ...
- PART 2 중장비 끝판왕 TOP 5과학동아 l201310
- 가장 큰 차로 기네스북에 오른 독일 타크라프사의 ‘배거 293’. 석탄 광산용 굴착기다. 높이 96m, 가로 길이 225m고 자체 무게 1만 4200t으로 웬만한 건물만하다.광산 벽을 부수고 있는 거대한 휠은 지름이 21.3m로, 둘레에 삽 20개가 달려 있다. 각 삽은 한 번에 15m3 부피의 석탄을 퍼낼 수 있다.하루 동안 ... ...
- 미스터리 수학! 펜로즈 계단 만들기수학동아 l201310
- $z$축이 압축돼 사라지면서 원점 O와 점 P 모두 (0, 0)이 된다. 즉 한 점이 된다.3차원 입체는 높이와 폭, 그리고 깊이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보는 위치에 따라서 깊이 정보가 일시적으로 소실되기도 한다. 즉 $z$축이 소실되는 위치에 끊어진 부분이 위치하면 마치 연결된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 ...
- “이젠 이사할 때 과학동아부터 챙깁니다”과학동아 l201310
- 과학동아가 우리나라 잡지인 만큼 국내 과학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해 온 점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독일여행 중에 운 좋게 100년 전 과학잡지를 살 수 있었다”면서 “과학동아도 세월이 오래 지나면 우리나라의 과학상을 보여주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꼼꼼한 성격이지만 매달 ... ...
- PART 1 중장비, 도시를 지탱하다과학동아 l201310
- 30m 높이의 파도도 견딜 수 있다.시추 작업은 쇠파이프와 진흙과의 긴 싸움 시추선 위에는 높이가 약 50m인 격자모양 시추탑이 세워져 있다. 그 안에 심장에 해당하는 시추 드릴 파이프가 있다. 긴 쇠파이프의 위쪽 끝에는 회전장치가 연결돼 있다. 아래쪽에 ‘드릴 비트’가 달린 쇠파이프 전체가 ... ...
- [해외취재] 피터팬 VS 후크 선장, 수학 예술로 네버랜드를 바꿔라!수학동아 l201310
- 그림을 잘 살펴봐. 각 변과 연결된 벽면의 넓이가 달라. 하지만 계단 때문에 벽면의 높이가 계속해서 달라지면서, 각 벽면의 넓이가 같은 비율인 것처럼 느껴지지. 그래서 계속 올라가면서도 제자리로 돌아오는 영원히 반복되는 공간이 만들어지는 거야.저런 곳이라면 후크 선장을 놀리고 도망쳐도 ... ...
- [수학실험실] 수학으로 빛나는 다이아몬드 만들기수학동아 l201309
- 공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팔각형의 가로 길이는 전체 가로 길이의 53%, 다이아몬의 높이는 59.3%여야 한다. 다이아몬드의 각도도 중요한데 아래쪽에 뾰족한 부분은 각도가 98.5°, 아래쪽 옆면은 40.75°, 위쪽 옆면은 34.5°여야 한다. 그리고 이때 세로축을 기준으로 완벽한 대칭을 이뤄야 한다.그런데 ... ...
- 벚꽃 vs 매화어린이과학동아 l201309
- 꽃자루가 2㎝ 정도로 긴 것도 매화와 구별되는 특징이에요. 매화매화가 피는 매화나무는 높이 5~10m의 장미과 식물로, 열매 이름을 따 매실나무라고도 불러요. 초봄에 피는 매화는 꽃잎이 붉은색, 흰색 등 다양하지요. 이 중 흰매화는 벚꽃과 비슷하게 생겨 헷갈리기 쉬워요. 하지만 매화를 자세히 ... ...
- 내일은 야구왕 피칭머신을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09
- 속도를 다르게 하면 빠른 쪽으로 공이 휘어 변화구가 만들 수 있단다. 여기에 바퀴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하면 공을 더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지.우와~. 피칭머신으로 못하는 게 없군요.이제 피칭머신으로 연습해서 훌륭한 프로야구 선수가 되는 거야!참여독자 : 유동규(전주 북일초 4), 유주희(전주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09
- 입체 도형을 만들 듯, 2차원 자료를 한데 모아 뇌 입체 영상을 만들었다. 가로, 세로, 높이 각각 20μm까지 구분할 수 있는 뇌 지도였다. 이렇게 스캔부터 보정 작업까지 만 4년의 시간이 흘렀다. 데이터는 모두 1테라바이트(TB)에 육박했다.‘빅브레인(거대한 뇌)’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3차원 영상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