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수
명인
강적
d라이브러리
"
상수
"(으)로 총 497건 검색되었습니다.
(3) 광전효과로 '빛은 파동인 동시에 입자'라는 양자론 기본 개념 확립
과학동아
l
199309
벡터를 이루고 있다. 이해가 가지 않으면 괄호속의 글은 무시하기 바란다) P와 플랑크
상수
h는 드브로이의 관계식 P=hv/c (여기서 c는 빛의 속도)로 표현된다는 양자론을 받아들이면 광전 효과가 설명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즉 hv의 에너지를 갖는 빛의 알갱이인 광량자가 금속 속의 전자와 충동하여 ... ...
우주의 나이 어떻게 재나
과학동아
l
199308
된다.바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면, 항성진화 이론을 이용하여 구한 우주의 나이와 허블
상수
로부터 구한 우주의 나이는 동일해야 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우주의 밀도를 계산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우주의 운명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불행하게도 현재의 여러가지 관측적 제약과 은하들간의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06
1917년의 논문에서 아인슈타인은 광양자에 대해 에너지 E=hv, 운동량 p=hv/c(h는 프랑크
상수
, v는 빛의 진동수, c는 광속)를 맞추고 있다. 이 광양자론에서는 이론에 따라 빛에서 물질로 에너지가 이행할 경우 그것이 일으키는 운동이 열역학의 요청과 일치할 때만 이론이 맞는다고 주장한다. 열역학을 ... ...
20세기 최대 과학자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199304
(양자역학에 기여) 폰노이만(컴퓨터의 기본원리확립) 폰브라운(로켓개발) 플랑크(플랑크
상수
발견) 쇼클리(트랜지스터발명)등의 순으로 거론 됐다.과학저널리스트들은 20세기 최대의 과학기술뉴스로는 원자폭탄의 개발과 나가사키 히로시마 원폭투하 (45년)를 지적했다. 회의장소가 일본이고 ... ...
초신성 관측수 급격히 늘어
과학동아
l
199304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겉보기 광도가 관측된다면 거리를 알 수 있고, 소위 허블
상수
를 결정하는 후퇴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최근 대단히 어두운 초신성이 관측돼 광속의 수%에서 40%정도의 속도로 후퇴하는 은하도 발견되고 있다.초신성의 광도와 후퇴속도로부터 우주의 크기와 나이가 결정된다. ... ...
천문학계의 새바람 「허블 망원경」
과학동아
l
199301
의문에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현재 천문학계는 우주팽창률과 관련해서 허블
상수
를 50과 1백으로 보는 두파로 나뉘어져 있다.이와 관련 우주공간에 떠있는 허블망원경이 관측하고 있는 은하는 소용돌이 은하 IC4182에 있는 케페우스변광성. 지상관측에서는 IC4182에 케페우스변광성을 발견하지 ... ...
지구의 나이까지 알아 맞힐 수 있는 절대연대 측정방법 5가지
과학동아
l
199301
백운모와 인공유리)를 이용하면 열중성자를 쪼일 때의 불확실한 조건들을 포함, 붕괴
상수
를 동시에 보정할 수 있다. 이런 방식을 제타(zeta)보정이라 한다.암석은 광물로 구성되고 광물에는 일정량의 우라늄이 들어 있다. 우라늄이 만든 자발피션트랙의 표면밀도는 우라늄의 양과 경과한 시간에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12
값이 0에 가까울 때 잘 맞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물론 대다수 학자들은 이 우주
상수
의 문제가 코페르니쿠스 이후에 이뤄온 우리의 자연 현상에 대한 성공적 물리지식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 믿고 있다. 오히려 진리는 눈앞에 존재하는데 우리의 능력이 못 미쳐 그를 이해치 못하고 ... ...
미완성교향곡 우주의 과거 현재 미래
과학동아
l
199212
실제로 은하들은 방향에 관계없이 거리 r에 비례하는 속도 v로 후퇴하고 있었다. 즉 비례
상수
를 허블의 첫글자를 따서 H라 하면 v와 r사이에는v=Hr과 같은 관계가 성립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우리로부터 1Mpc(메가파섹) 떨어진 은하가 초속 1백㎞로 멀어진다면 H=100㎞/(초·Mpc)이 된다. 여기서 1Mpc=${1 ... ...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11
노광기술이다. 이러한 시스템의 광학적 해상도는 근본적으로 λ/NA에 비례하며 그 비례
상수
는 시스템 및 공정조건에 따라 달라지나 보통 0.5 정도다. 따라서 i-라인을 사용하는 투영노광시스템의 경우, NA를 최대 0.5정도까지 높일 수 있으므로, 해상도의 한계는 0.4μ정도가 된다. 그런데 G급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