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자
씨앗
님
선생
위도
자손
뿌리
d라이브러리
"
씨
"(으)로 총 1,285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종! 고슴도치 섬에 우주인이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3
용기를 주는 이야기들을 해 주고 가셨어요. 평소엔 의기소침해 있던 아이들이 고산
씨
를 만나더니 질문도 서슴없이 하고 얼마나 좋아했는지 몰라요. 같이 오신 분들이 우리학교 도서관에 책도 선물해 주시고, 아이들과 과학 실험도 해 주셨지요.앗! 고산 형 혼자 온 게 아니었다고? 그럼 함께 온 ... ...
초대받지 못한 손님
수학동아
l
201012
김미니
씨
가 가장 유력하다고 생각해요.수학탐정 : 제 생각도 같습니다. 범인은 김미니
씨
당신입니다. 이제 자백하시지요.김미니 : 흑흑. 원래 이번 영화의 주인공은 저였다고요. 유나 언니가 소속사에 요청해서 제 자리를 뺏었어요. 제 연기력이 부족하다면서…. 분한 마음에 그만….김명만 : ... ...
2010 극지연구 논술 공모전
과학동아
l
201012
금상 수상자가 없었으며, KAIST 경영과학과 3학년 김슬기
씨
와 원광대 한의대 1학년 김건희
씨
가 은상을 수상했다. 대상 수상자는 ‘2011 폴투폴 코리아 북극연구체험단’에 참가할 기회를 받았다.대상을 받은 이승훈 군은 “평소 녹색성장에 관심이 많아 ‘극지연구와 녹생성장산업’이라는 주제를 ... ...
비누거품 속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012
병원에서는 나노 크기의 바이러스 검출에 사용하기도 한다. 한국 최초의 우주인 이소연
씨
는 국제우주정거장에서 ‘균일한 크기와 모양의 제올라이트 만들기’ 실험을 하기도 했다.세제에는 단백질과 지방을 분해하는 효소와 함께 증백제가 들어 있다. 표백제와 증백제는 빨래를 하얗게 만든다. ... ...
‘시험관 아기’로 신의 섭리 넘어서다
과학동아
l
201011
브라운 부인)의 난자를 복강경 으로 난소에서 흡인한 뒤, 시험관 안에서 아빠(브라운
씨
)의 정자와 체외수정 시켰다. 약 48시간이 흐른 뒤 다시 엄마의 자궁에 수정란을 착상시켜 임신을 시켰다. 그 후 제왕절개수술로 2.6kg의 루이스가 탄생했다. 건강하게 자란 루이스는 2004년 결혼하고 3년 뒤 ... ...
‘빛 좋은 개살구’가 보약이네
과학동아
l
201011
있을 거예요. 이미 2008년에 껍질째 먹을 수 있는 ‘타노 레드’ 품종과
씨
가 없는 ‘루비
씨
드레스’를 교배했고, 약 5년 뒤에는 열매를 수확할 예정입니다.청이 그럼 원하는 과일이 열리는지 보려면 나무가 다 자라 열매를 맺을 때까지 수십 년을 기다려야 한다는 말씀인가요?김 박사 꼭 그럴 ... ...
똑딱이로 찍은 명품 항공사진
과학동아
l
201011
그중에는 지구의 곡선과 기상 상황이 선명하게 찍힌 대기권 사진도 있었다.김
씨
는 “외국 사례에서 낙하한 박스가 부서져 있는 것을 보고 박스 안팎에 폴리우레탄과 에어캡을 붙여 낙하 시 발생하는 충격에 대비했다”며 “풍선을 띄울 당시 기상 상황이 좋지 않았는데 박스의 원형을 그대로 ... ...
매머드 피는 특별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1
. 매머드
씨
와 비슷하게 생긴 코끼리는 따뜻한 지방에만 살고 있잖아요. 매머드
씨
는 어떻게 이렇게 추운 곳에서 살 수 있나요?제가 추위를 이겨 내는 비결이 코끼리에겐 없는 두꺼운 털이라고 알려져 왔어요. 하지만 또 다른 비밀이 2010년에 밝혀졌어요.또 다른 비밀이라구요?네, 캐나다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11
생각과 달리 어느새 그렇게 위험하지 않은 병이 됐다는 사실을 실감했다. 김길수
씨
의 사례는 가상으로 꾸며 본 미래의 모습이다. 간단한 혈액검사만으로 아주 초기의 알츠하이머병을 진단하고 약으로 진행을 늦출 수 있는 미래가 정말 올까.이런 일을 가능하게 만들 연구가 ‘인간 뇌단백질체 지도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11
김칫독 속의 온도도 서서히 내려가서 1~4℃까지 내려간다. 한국인 과학자 최선규, 정대성
씨
는 이런 자연적인 김치발효과정을 만들어 실험을 마치고 그 결과를 일본 식품과학학회지 ‘음식의 과학’ 1994년 4월호에 게재한 바 있다.김치냉장고가 보편화돼 있는 현대에도 이런 실험 자료는 큰 의미가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