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부
배우자
배필
파트너
동료
상대방
반려자
d라이브러리
"
짝
"(으)로 총 601건 검색되었습니다.
80세나 수명 늘려준 남두육성
과학동아
l
200106
아니란 사실이다. ‘두우지간’에서 우(牛)는 견우성이라는 별이다. 견우성은 직녀성과
짝
이 되는 별인데, 요새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직녀성은 서양의 거문고자리 으뜸별인 베가이고, 견우성은 독수리자리 으뜸별인 알타이르라고 말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고대의 견우별은 알타이르가 아니라 ... ...
농구 막슛 65% 성공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103
막슛이 최소력 슛이든 아니든 간에 골인을 목표로 한, 투사속력과 투사각도의 적절한
짝
은 얼마든지 있다. 에드워즈는 닥치는 여러상황 속에서 수분의 1초라는 짧은 시간 동안 적절한 투사속력과 각도를 선택해 다양한 슛을 던진다. 물론 이것은 하루아침에 이뤄진 것이 아니라 평소에 체력훈련과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2 수도원에 뿌려진 작은 씨앗에서 피어난 신기원
과학동아
l
200103
생물학자 스탠리 코헨과 캘리보니아대의 생물학자 허버트 보이어는 자연적으로
짝
이 될 수 없는 두 DNA를 합치는데 성공했다. 즉 유전공학이 바탕이라는 재조합 기술이 선보인 것이다.1976년 최초로 박테리아에 삽입된 인공적인 유전자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했다.1977년 미국의 분자생물학자 알란 ... ...
화성과 금성 나타내는 행성기호 ♂ · ♀
과학동아
l
200103
아레스는 황급히 일어났지요. 그러나 침대 위에서는 사지가 자유로운데 침대에서는 한 발
짝
도 벗어날 수 없었어요. 어느새 눈에 보이지 않는 헤파이스토스의 그물에 갇혀 버린 것입니다. 헤파이스토스가 전날 대장간에서 뚱땅거리면서 만든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그물이었답니다. 그러니까 ... ...
왜 고온에서 초전도체를 얻으려고 할까
과학동아
l
200102
부른다. 마치 무도회장에서 잘 안무 받은 무희의 쌍처럼 자유전자들은 둘씩 서로
짝
을 이뤄 스텝을 밟는다. 그러나 보통 도체의 경우 자유전자를 붐비는 무도회장에서 춤추는 아마추어 무희에 비유할 수 있다. 이들은 무작위적으로 운동하기 때문에 서로 간의 충돌을 피할 수 없다.그런데 BCS 이론에 ... ...
냄새의 신비
과학동아
l
200012
주고받는 페로몬은 월경기간을 동일하게 만든다는 것과 겨드랑이 냄새가 묻은 손수건을
짝
에게 전달하는 발칸반도의 풍습이다. 5.나이 먹으면 미각이 둔해지는 이유 맛 식별하는 열쇠인 후각 손상이 한몫“나이를 먹으니 무슨 맛인지 모르겠다.” “작년보다 입맛이 짜진 것 같아.”할머니나 ... ...
만약 태초에 우주 팽창 속도가 느렸다면
과학동아
l
200011
제대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한쪽 나선의 염기에 오류가 생겨도 상대방 나선에 들어있는
짝
염기로부터 원래의 정보를 되찾을 수도 있다. 이 이중나선 구조를 유지시켜주는 것이 바로 수소결합이다.수소결합은 눈송이에서 물분자들을 붙잡아주는 결합이다. 눈송이는 손등에 떨어지면 녹는다. 약간의 ... ...
CD는 가고 DVD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0010
등장했으니,이것이DVD다.바람이 선선하게 불기 시작한 9월. 하지만 작년까지 가을은
짝
없는 영식에게 외로움만 야기시키는 계절일 뿐이었다. 그런데 올해는 혼자인데도 전혀 외로움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날마다 생생한 영화 속에 푹 빠지게 만들어주는 DVD 시스템을 장만했기 때문이다 ... ...
3. 황금종 개구리가 이끈 환경올림픽
과학동아
l
200010
보전 등을 골자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지켜나가기 위한 토양은 부족하기
짝
이 없었다. 당장 올림픽시설이 들어선 홈부시 베이부터가 생물이 자라나기 어려운 ‘버려진 땅’이었다. 18세기까지만 해도 도살장 등으로나 쓰이던 황폐한 땅이었던 것이다. 홈부시 베이는 본래 영국 ... ...
태평양 표류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08
깊고 어두운 바다에서 단순히 길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그렇다면 수면 바로 아래 반
짝
이는 불빛은 누가 내는 것일까. 오징어떼이기 쉽다. 물론 오징어는 발광 물고기가 아니다. 오징어와 공생하는 발광 박테리아가 빛을 발하는 것이다. 이들은 왜 붙어 다니는 것일까.1997년 미국 과학대중지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