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휘
관리
감시
십장
통제
지시
관리자
d라이브러리
"
감독
"(으)로 총 690건 검색되었습니다.
왕따 없는 학교를 만들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누구의 잘못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다. 삭막한 분위기를 만든 사회, 학생에 대한 보호와
감독
의 의무를 게을리한 선생님, 마음을 털어 놓을 수 없는 바쁘신 부모님 등 우리 모두의 잘못이다. 하지만 그 가운데서도 직접 왕따를 시키는 학생과 왕따를 보고도 모른 척 하는 반 친구들이 가장 나쁘다. ... ...
마야 멸망이 던지는 기후 묵시록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가라앉히고 가뭄에서 벗어나 보려는 이 끔직한 의식은 마야문명의 몰락을 다룬 멜 깁슨
감독
의 영화 ‘아포칼립토’의 한 장면이다. 마야인들이 사람을 산 제물로 바치는 일은 잔인한 살인행위가 아니라 우주를 구하기 위한 신성한 종교행사였다.1839년 미국인 변호사 존 스티븐스가 영국인 동료 ... ...
부활한 태권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저 로봇 정말 한번만 탈 수 있으면 소원이 없겠네〜! *로보트 태권 브이 : 1976년 김청기
감독
이 만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로봇 애니메이션. 당시의 어린이들에게 최고의 인기를 끌었다. 이후 후속작이 계속 발표되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로봇 캐릭터로 자리잡았다. 1984년‘84 태권 브이’를 ... ...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가상의 시간과 공간인 매트릭스를 넘나들며 인류를 구원한다. 1999년 워쇼스키 형제가
감독
한 영화 ‘매트릭스’는 진화된 컴퓨터가 장악하는 미래 가상세계를 그려 냈다. 정말 미래에는 그런 일이 벌어질까.미국의 유명한 인공지능학자인 레이 커즈와일은 자신의 홈페이지에서 영화 매트릭스에 ... ...
창작어린이뮤지컬 원자야, 고마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이번 공연은 극단‘즐거운 사람’이 맡았다. 연출을 맡은 한상훈
감독
은“서울 공연이 끝난 후 지방 공연도 계획 중”이라고 귀띔해 주었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은 해마다 행복한 i(아이) 여름축제를 벌인다고 하니 내년에는 낯설기만 했던 원자력과 친해져 보는 건 어떨까 ... ...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영화로 제작된‘이온플럭스’를 만든‘피터 정’처럼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애니메이션
감독
도 있단다. 아직 애니메이션에 대한 관심이 크지 않아서 그렇지 친구들이 애니메이터가 되는 그 때는 아마 세계에서 가장 애니메이션을 잘 만드는 나라가 될 거야.애니메이션의 역사를 빛낸 ... ...
우리는 왜 월드컵에 열광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심리투시경을 쓰고 바라본 그의 마음 속은 매우 복잡했어.‘여전히 슬럼프인 게 아닐까?
감독
님은 잘 한다고 늘 칭찬해 주시지만 그게 더 부담스러워. 국민들의 지나친 기대도…. 아까 몸싸움으로 발목을 약간 삐었는데 큰 부상이 아니어야 할 텐데. 이제 월드컵도 일주일밖에 남지 않았구나.’나는 ... ...
괴물 해부하는 3개의 시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쓴다.CG 기술로만 보면 ‘괴물’은 성공적이다. 전체적인 영상의 질도 뛰어나다.
감독
의 연출에 따라 ‘괴물’은 잔인하게 공격하며 난폭한 모습을 보이지만 가끔 심술도 부리고, 엄살을 떨기도 하며 명연기를 펼친다.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괴물’의 CG 작업을 국내가 아닌 미국의 ‘오퍼니지’ ... ...
태권V 지하기지냐, 수중기지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것이다.기지 규모는 먼저 태권V의 신체조건을 기준으로 설계해야 한다. 원작자 김청기
감독
의 의견대로 태권V의 키가 56m라고 가정할 경우 누운 자세에서 정비할 때 이동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감안하면 기지의 길이는 100m 정도가 필요하다. 팔을 옆으로 뻗었을 때를 고려해 폭은 50m로 생각할 수 있다. ... ...
나이아가라에 터널 뚫는 세계 최대 굴착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기록상으로는 물을 동력으로 한 수격식(水擊式) 혼천시계가 1437년 이천, 장영실 등의
감독
하에 제작되었고 현종 10년(1669년) 송이영이 서양 자명종의 톱니바퀴 원리를 응용한 혼천시계를 제작하였다고 한다지질시대 신생대(新生代) 제4기를 둘로 나누었을 때의 전반에 해당된다 플라이스토세(Pleistocene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