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두려움 없는 도전을 위해, KAIST는 실패를 연구한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사진전이 열렸습니다.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 프로젝트에서 수집된 장면 중 30개를 선별해 전시했죠. 안 교수는 “KAIST 교수들도 전시를 보며 공감한다”면서 “학생들이 실패가 보편적이란 걸 알아줬으면 한다”고 했습니다 ... ...
- [최신 이슈] 에너지·화학 산업에 불어온 ‘흰 물결’ 화이트바이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기능성 화학 소재를 만드는 기술이 여기 속한다. 예를 들어 GS칼텍스가 생산 기술을 개발해 상용화한 2,3-부탄다이올은 유전자조작을 하지 않은 바이오매스 및 미생물을 활용해 얻는 물질로, 보습 및 항염 효과가 뛰어나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된다. 바이오매스 등에서 추출한 유기물을 연료로 ... ...
- [5년 후 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쌓아올릴 혁신 기술 '적층성형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반드시 여러분의 실생활에 널리 유용하게 활용되도록 만들겠습니다. ❋필자소개.김형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2013년 강원대에서 신소재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2014년부터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 재직 중이다. 재료와 공정 간 상호 반응에 따른 특성 상관관계 해석을 기반으로, 금속 ... ...
- [이달의 책] 마리 퀴리가 쏘아올린 현대 과학의 작은 원소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개인 폴로늄과 라듐 정도로만 짧게 기억될 뿐이다. 조금 더 설명을 붙인다면 방사능과 그 개념 정도일 듯하다. 마리 퀴리와 피에르 퀴리 부부는 폴로늄을 발견한 1898년의 논문으로 앙리 베크렐과 1903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또 마리 퀴리는 라듐을 발견한 1910년 논문으로 1911년 노벨 ... ...
- 끈질긴 생명력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한국방역협회 신이현 연구소장은 “중국얼룩날개모기의 경우 최대 8번까지 알을 낳는 개체도 있었다”고 말했어요. 모기의 강점은 번식력뿐만이 아닙니다. 적응력도 뛰어나요. 모기는 알, 애벌레, 번데기 시기에는 물을 꼭 필요로 해요. 하지만 물이 깨끗한지, 더러운지는 모기에게 크게 중요하지 ... ...
- [만화뉴스] 다리가 늘어날수록 빨라진다? ‘지네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수 있는 지네 로봇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로봇의 다리 수를 6개에서 16개까지 늘리며 테스트했어요. 그 결과, 다리의 수가 늘어날수록 센서 없이 거친 지형을 더 민첩하게 이동할 수 있는 걸 확인했지요. 보통 로봇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가 필요해요. 하지만 ... ...
- 나눌리의 첫 수업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칸에 빗자루를 5개씩 넣을 수 있어요.” ‘휘리릭!’ 내 말이 정답이라는 듯, 빗자루가 5개씩 날아가 보관함에 정리됐어. 선생님께서는 상점 10점을 주겠다고 하셨지. 야호 ... ...
- [찰칵! 전시회] 맛있는 건 나누고, 달콤함은 곱한다! 과자 선물세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쿠키, 마카롱, 젤리…. 과자 상점에서 이 세상의 모든 달콤한 과자들을 예쁘게 담아 선물세트로 만들어 드려요. 사랑하는 가족, 친구들에게 선물할 ... 상자에 과자를 나눠 담아볼까요? 한 상자에 뼈다귀 과자 4개, 물고기 과자 5개씩 담으니 총 5개의 상자에 나눠 담을 수 있어요 ... ...
- [출동, 슈퍼M] 나의 간지는 무엇일까?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탐구 1. 십간 십이지 톱니바퀴 만들기톱니가 10개인 ‘십간’ 톱니바퀴와, 톱니가 12개인 ‘십이지’ 톱니바퀴를 만들어요. 처음 톱니바퀴를 돌리기 시작했을 때의 간지로 돌아오려면 톱니바퀴를 몇 칸 움직여야 하는지 확인해 보세요. 준비물 가위, 스냅단추, 두꺼운 도화지 또는 우드락 탐구 2 ... ...
- 이유 1. 킬러문항 정의는 제각각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때문에 여러 개념이 섞여 있는 문항이라고 볼 수 없고, 곱셈 문제를 두고 덧셈과 곱셈의 개념이 섞여 있어 문제라고 하는 꼴”이라고 지적했어요. 교육부의 킬러문항 기준 중 ‘출제자가 기대하는 풀이 방법 외 다른 방법으로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에요. 송용진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