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실
띠
끄나풀
리본
밧줄
라인
d라이브러리
"
끈
"(으)로 총 651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 주얼리(Digital Jewelry)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핀란드 정보통신체인 노키아는 금속프레임과 가죽
끈
에 연결된 작은 디스플레이형 목걸이를 개발했다.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전화나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영상을 적외선 통신으로 주고받으며 최대 8장까지 저장하며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한다. 물론 펜던트 모양의 작은 ... ...
줄의 열의일당량 측정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했다.그런 다음 추를 감아주는 과정에서 젓개 바퀴가 돌지 않도록 젓개 바퀴의 축과
끈
이 감기는 원통의 연결핀을 뺀 뒤 원통의 축을 틀에 고정시키고 손잡이를 돌려서 추를 원래 위치로 끌어 올렸다. 그리고 다시 핀으로 원통을 젓개 바퀴의 축에 연결시킨 뒤 추를 떨어뜨렸다. 줄은 이 과정을 20번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진동하는 작은
끈
으로 이뤄져있다는 이론
끈
의 진동이 강할수록 에너지가 높아진다 초
끈
이론을 도입하면 중력을 포함한 4가지 기본 힘을 설명할 수 있으나 26차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물리세계에서 그 의미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혈액을 원심분리하면 아래쪽에 적혈구, 백혈구, ... ...
중국 두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6호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부른다 뜻대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수의근(隨意筋)이라고도 불린다 인체의 가로무늬
끈
의 대부분은 골격근이며 얼굴의 피부를 움직이는 표정근, 혀나 후두(喉頭)를 움직이는 근육도 가로무늬근이다 뇌신경의 편측성핵하성마비(片測性核下性痲揮) 1927년에 G 레이몬드가 두개저(頭蓋底) 또는 그 주위에 ... ...
세균 정수기 나왔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먼저 얇은 막에 세균을 붙여 자라게 한 뒤 이를 말아 머리카락 두께의
끈
으로 만든다. 이
끈
을 원통형 다발로 만들어 그 안에 수소를 채운 다. 이렇게 만든 7000개의 다발을 높이1.5m의 원통에 채우면 1분에 4~8L의 물을 정화할 수 있다.로켓 연료와 불꽃놀이에 쓰이는 과염소산은 먹는 물에 많이 들어 ... ...
강원도 산골에서 만난 바닷가 나비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울도하늘소, 광대노린재 등 80~90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그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끈
것은 북위 36° 이남의 따뜻한 서남해안 지방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암끝검은표범나비(Argyreus hyperbius). 암컷 날개 윗면의 끝부분이 검은색을 띠어 붙은 이름이다. 이강운 소장은 “강원도 횡성에서 이 ... ...
당신의 가.로.본.능.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그럼 가로로 하면 되잖아!눈은 좌우로, 시선은 가로로지난해 8월 출시돼 선풍적인 인기를
끈
애니콜 SCH-V500(삼성전자)의 광고 내용이다. 인기 비결은 확 바뀐 휴대전화의 화면 모양. ‘휴대전화는 세로’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화면을 가로로 돌려 볼 수 있도록 했다. 그래서 붙은 이름이 ‘가로본능 ... ...
CSI의 추억 혈의 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끈
자국이 목에 수평으로 나며 앞뒤로 자국의 높이가 거의 일정하다.그러나 목에 난
끈
자국만으로는 자살과 타살을 구분할 수 없다. 몸이 약한 사람을 올가미에 씌워 위에서 당기면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경우와 같은 자국이 남을 것이기 때문이다.따라서 증수무원록언해는 서까래의 올가미 흔적이나 ... ...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끈
으로 팔뚝을 묶어 피의 순환을 유추한 하비의 피의 순환 실험은 지금도 언제 어디서든
끈
만 있으면 할 수 있고, 그가 관찰한 것을 그대로 확인할 수 있다.하비는1578년 윌리엄 하비는 영국에서 부유한 사업가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다섯 동생들은 모두 상인으로 성공했는데 하비만 학문의 길로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학습할 때와 마찬가지로 회상 후 몇 시간 동안이다.기억재강화는 연구자들에게 흥미를
끈
동시에 의심을 받은 현상이기도 하다. 대표적인 의심이 기억재강화가 사실은 처음 학습한 것에 대한 기억강화 현상의 연장일 뿐 새로운 현상은 아니지 않을까 하는 것. 즉 처음 학습에 대한 강화가 우리가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