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덮개
마개
지붕
덥개
외피
피복
커버
d라이브러리
"
뚜껑
"(으)로 총 417건 검색되었습니다.
열역학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부분은 팽창하며 구멍 또한 그러하기 때문에 구멍의 직경은 증가한다. 따라서 금속의 병
뚜껑
이 잘 열리지 않을 때 열을 가하면 쉽게 열릴 것이다.3.(3)기체가 온도(T)는 기체의 부피(V)뿐만 아니라 압력(P)에 관계된다(보일-샤를의 법칙:T∝PV). 따라서 공기의 온도변화를 알기 위해서는 공기의 부피 변화 ... ...
깨끗하고 맛있는 물을 마시려면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되지 않는다.또 다른 방법으로는 물을 끊이는 것이다. 끊을때 불을 바로 끄지말고 4~5분간
뚜껑
을 열어 놓은채 계속 끊이는 것이다. 그러면 잔류염소가 모두 날아가 냄새가 없어진다.좀더 확실한 방법은 활성탄(active carbon)을 사용하는 것이다. 손쉽게 구할수 있는 활성탄으로는 냉장고탈취제 속에 든 ... ...
컴퓨터에세이① 인공지능은 바벨탑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거쳐 지난 19세기말엽부터 사람들은 가끔 물을 끓을 때 수중기가 그 무거운 놋쇠 솥
뚜껑
까지 들어 올리는 현상에 주목하기 시작했고 결국 그들은 증기기관을 개발해내 또다른 문명의 서막을 열었다. 이러한 단순한 기계적 엔진을 개발해 내기까지 인간은 실로 수천년이라는 시간의 시행착오를 ... ...
PC초보자의 손자병법 처음부터 전문가는 없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수준은 넘어섰다. 따라서 PC사용자는 마음놓고 PC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PC의
뚜껑
을 열고 그 내부를 직접 만져야 한다면 당혹해 할 사람이 많다. MSX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런 작업을 하지 않도록 되어 있지만, 애플 또는 IBM PC 호환기종의 경우에는 PC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하여 별도의 ... ...
서울의 하수처리시설 끝내 한강이 더욱 맑아진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처리장 주변지역에 악취가 퍼져나갈 우려가 있어 처리장위에 콘크리트
뚜껑
을 덮고
뚜껑
위에는 다시 흙을 덮어 잔디운동장이나 공원을 조성하여 냄새도 막고 시민이 이용할 수도 있게 할 계획이다. 4개 하수처리장 가동만으로 한강물을 완전히 정화 시킬수는 없다. 서울외곽 수도권 도시의 하수가 ... ...
새로운 관심 김치와 김치산업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좋은 재료를 개발해야지요. 저희 박물관에서는 조그만 용기에 김치를 넣어 팔고 있는데
뚜껑
에 문제가 있는 것 같아 아직 기업에서는 쓰이지 않하고 있어요. 김치의 용기는 강원도에서 느티나무 독을 일반 옹기독 대신 썼는데 이렇게 나무를 이용해보는 것도 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겠죠." ... ...
소련의 우주선 내부공개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해치가 열려있고 그속에 우주복이 보인다. 가운데 사진은 미르의 중앙실로 희고 둥근
뚜껑
은 냉장고다. 그 위에 음료수 패널이 있다. 중앙의 서랍은 식료품창고. 둥그런 해치는 후부도킹장치로 이어진다. 화장실이 그 해치 왼쪽에 있는데 사진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그오른쪽은 개실(個室)로 ... ...
PART2 건강에 좋고 맛있는 물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없어진다. 처음사용할때 보다 물맛이 달라졌을때(2개월정도)는 필터연결부위를 빼고
뚜껑
을 닫고 물이 들어있는 상태로 흔들어 준다. 그런다음 물을 쏟아버리고 바로 세워 가는 소금 1kg정도를 넣어 용기 안을 소독한다. 수도꼭지와 연결하여 물을 조금씩 흘려 보내면 소금이 천천히 녹으면서 ... ...
벌은 방사능 오염을 일찍 알았나?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어째서 벌들이 나오지 않나해서 모두가 이상하게 생각했다. '오스터치'씨가 벌통
뚜껑
을 열어보니 벌들은 모두 여왕벌에 엉겨붙듯이 몰려붕붕날개짓을 하고 있었다. 그 모습은 마치 여왕벌을 보호하기위해 주변에 닥아온 오염물질을 멀리 날려보내려는것 같이 보였다는것이다. 폴란드의 국경은 ... ...
화산 분출물이 계속쌓여 만들어진 한라산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유례가 별로없는 특이한 형상이다.한라산(漢拏山, 1950m)은 마치 커다란 가마솥의
뚜껑
을 엎어 놓은듯한 형상으로 제주도의 중심부에 자리잡고 있다.세계에서도 드문 3백60여개의 기생화산들한라산이 제주도이고, 제주도가 한라산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그런데 제주도를 조금만 유심히 살펴보면 ... ...
이전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