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리오
네트
넷트
오네트
머릿수
수
mari
d라이브러리
"
마리
"(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4컷 만화] 플라스틱 먹은 낙타가 굶고 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죽고 있다고 작년 10월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2008년 이후 두바이 사막에서 죽은 낙타 3만
마리
의 사망 원인을 조사했어요. 그 결과 300구의 사체 뱃속에서 플라스틱 덩어리가 발견됐어요. 이는 낙타가 기름기나 소금기가 남아있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먹이라고 착각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돼요. 이후 ... ...
[JOB터뷰] 행복한 동물의 집을 짓는다! 마승애 수의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알리는 일에 힘쓰고 싶어요. 새를 몇
마리
구조해도 아파트가 하나 들어서면 수천
마리
가 죽거든요. 멸종을 막기 위해 계속해서 좋은 동물원을 만들어 동물의 소중함을 알리고 싶어요. 어과동 독자 여러분도 우동수비대로 활동하며 동물원이 동물사를 개선하는 데 힘을 보태고 함께 지켜보면 ... ...
[이슈] 수학 잘하는 동물 모두 모여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2호
바깥 공기가 덜 스며듭니다. 허들링 구조 안에서 모든 황제펭귄은 최소 2
마리
에서 최대 6
마리
의 다른 황제펭귄과 몸을 맞댈 수 있습니다. 바깥쪽에 서 있는 황제펭귄이 춥지 않겠느냐고요? 맞습니다. 다니엘 지터바트 독일 에어랑엔대학교 연구원이 2011년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황제펭귄들은 3 ... ...
위기의 해양동물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2018년부터 바다거북 사체를 부검하고 연구하고 있다. 부검 결과 바다거북 수십
마리
의 몸속에서 플라스틱이 나왔고, 플라스틱이 직접적인 사인이 된 것도 있었다. 바닷새는 해수면에 서식하는 플랑크톤 등을 먹고 산다. 그런데 플랑크톤이 이미 미세플라스틱과 엉겨 있는 상태거나 독성 물질에 ... ...
[하비맨] 드론 한
마리
몰고가세요~!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조현영 기자가 세상의 모든 취미를 수학으로 리뷰하는 하비(hobby)맨으로 변신했다! 하비맨이 선택한 첫 번째 취미는 바로 드론 날리기. 체감 온도 영하 24°에 육박하는 날씨에 하비맨은 야외로 향했다. 그리고 예상치 못한 상황과 마주하는데…. ※ 편집자 주취미를 묻는 질문에 언제나 ‘독서’라 ... ...
[수학기자의 책장] 필요한 수학 개념만 쏙쏙 골라 담았다!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다시금 떠올리고 새삼 수학이 주변에 참 많다는 것을 깨달았답니다. 공부와 재미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고 싶은 분들이라면 한 번쯤 읽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정신 혼미하게 만드는 해롱해롱 호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2호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꿈에서 봤던 루띠가 가장 먼저 보였거든요. 그 뒤에는 뱀 한
마리
와 로봇 한 대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맨 뒤에는 인간이 한 명 서 있었는데, 어디선가 본 적이 있는 얼굴이었습니다. “안 돼~!”딱지가 머리를 감싸며 외쳤습니다. 꿈이 사실은 꿈이 아니었던 것입니다. 맨 ... ...
[그래프뉴스] 소에게 해초 먹이니 온실가스 82% 줄었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메탄가스는 지구의 온도를 높이는 온실가스로, 기후 변화의 원인이에요.연구팀은 21
마리
의 소를 세 집단으로 나눠 소의 먹이에 넣는 해초의 양을 달리했어요. 실험 시작 후 3주가 지날 때마다 하루에 4번 메탄가스 배출량을 측정했어요. 그 결과, 해초를 많이 먹은 소의 메탄가스 배출량이 해초를 ... ...
[가상 인터뷰] 라디오돈트의 눈 덕분에 진화가 뿜뿜.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무슨 일이야? 지금 아노말로카리스 두
마리
가 달리기 경주를 하고 있어! 저 멀리 먹을 것이 보인다나? 난 하나도 안 보이는데, 일단 따라가 봐야겠어! Q. 자기소개를 부탁해!안녕, 우리는 ‘라디오돈트’라는 해양생물이야. 난 ‘아노말로카리스 브릭시(Anomalocaris briggsi)’라는 학명을 가졌지. 내 옆의 ... ...
좋은 동물원이 되고 싶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맹금류 ‘캘리포니아콘돌’을 복원해, 1987년 27
마리
였던 야생 개체 수가 2019년 337
마리
로 늘었어요. 이외에도 검은발족제비와 붉은늑대 등이 동물원 덕에 개체 수가 늘었고, 세계동물원수족관협회(WAZA)는 매년 약 3000억원 이상을 야생생물 보전 활동에 기부해요. 이형주 어웨어 대표는 “동물원이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