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백"(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한민국은 결핵왕국? 교도소 결핵환자를 치료해야 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보여줍니다.페루의 슬럼가에는 1차 치료제로 치료하지 못한 다제내성 결핵 환자 수백 명이 있었어요. ‘건강의 동반자’는 2차 치료제로 이들을 치료하기로 결정했어요. 주변 전문가들은 엄청나게 반대했지요. 2차 치료제는 장기간 치료해야 하는데, 비싼 약품 비용을 어떻게 감당할 것인지 ... ...
- 아기가 죽어도 슬퍼하지 않는 엄마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불려갈 수도 있지요.출산이 임박하면 !쿵족 여성은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고 마을에서 몇 백 미터 걸어나와 나뭇잎으로 자리를 깔고 그 위에서 아이를 낳아요. 출산 장소는 대부분 아기의 첫 울음소리가 마을 사람들이 들을 만큼 가까운 거리에 있죠. 산모의 여자 친척과 친구들은 이 울음소리를 듣고 ... ...
- 침으로는 ‘슴부심’을 채울 수 없어요~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슴부심’ ‘슴지컬’ ‘슴케팅’……. 이런 말 들어 보셨나요. 앞엣것부터 ‘ 슴가+자부심 ’, ‘ 슴가+피지컬 ’, ‘ 슴가+마케팅 ’입니다. ‘ 슴가 ’는 ... 목숨이 경각에 달려서 지푸라기라도 붙잡는다면 모를까, 확실하지도 않는 시술에 기백만 원을 들인다는 건 너무 아깝지 않나요 ... ...
- 백혈병은 반도체 공장 때문이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있지만, 짧은 시간에 순간적으로 높은 농도에 노출돼도 암에 걸릴 수 있다”고 말한다. 백 교수는 “공기 중 평균농도를 측정해서는 실제 위험 정도를 알 수 없고, 당시 노동자들의 작업 환경을 검토해봐야 한다”고 밝혔다.야간 교대근무와 과로도 중요한 발암요인이다. 당시 피해자들은 주야 2교대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씽씽! 겨울엔 신 나는 스키와 스노보드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조금 알겠는데, 스키와 스노보드는 뭘 타야할 지 못 고르겠어!박찬선 : 백문이 불여일참! 백 번 듣는 건 한 번 경험해 보는 것만 못할 거야. 우리 함께 스키장으로 가서 직접 체험해 보자~.겨울 스포츠를 신 나게 즐기려면~강사선생님 : 스키와 스노보드를 타기 전에 잠깐! 더 재밌게 타는 비법을 알려 ... ...
-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사람의 수는 하루 수십 명 이상이며, 특히 학생회관 근처의 둥지를 지나는 사람은 족히 백 명이 된다. 까치는 그 중 특정한 사람을 알아볼 정도로 인지 능력이 우수하고, 심지어 새끼가 둥지를 떠난 이후에도 따라다니며 깍깍댈 정도로 기억력이 뛰어나다는 뜻이다. 2011년 ‘동물인지’ 지에 발표한 ... ...
- [독자탐방] 금 나와라 뚝딱! 3D 프린팅의 세계수학동아 l2014년 02호
- 대 만든다고 해 봐요. 그 시간과 비용이 만만치 않을 거예요. 하지만 3D 프린터를 이용해 백분의 일로 축소해 만든다면, 재료비도 아끼고 시간도 줄일 수 있어요. 실제로 판매할 것이 아니고 디자인만 보면 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죠.전도윤 : 최근에는 3D 프린터로 음식도 만든다고 하는데, 실제로 ...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자리나 십의 자리, 백의 자리 등 어떤 자리가 비었을 때 0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2014는 백의 자리가 빈 경우다. 마지막으로 0은 2+0=2, 3×0=0처럼 연산의 기능을 갖고 있다.그런데 이 세 가지 기능을 모두 알고 0을 사용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 바로 브라마굽타의 책이다.이슬람으로 전해진 0, 아라비아 ... ...
- 과학동아천문대 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그런데 놀라운 사실이 있어요. 북극성도 아주 조금씩 위치가 변한답니다. 앞으로 몇 백 년까지는 거의 그대로지만 1만 4000년 뒤가 되면 큰 원을 그리면서 움직일 거래요. 그때가 되면 다른 별이 북극성처럼 보이는 위치가 변하지 않는데, 바로 ‘베가’라 불리는 직녀성이지요. 즉 1만 4000년 뒤에는 ... ...
- 우사인 볼트도 깜짝 놀란 번개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전류 세기도 3만A(암페어)나 되지만, 작은 빛줄기는 지름도 작고 전류 세기도 수십에서 수백 A(암페어) 정도로 약해요. 따라서 사람이 번개의 작은 빛줄기에 맞았을 때는 부상만 입고 살아남을 수 있답니다. 전기를 모아서 한 번에!번개를 직접 만들어 내는 과학자들도 있어요. 한국전기연구원에는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