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변수"(으)로 총 1,096건 검색되었습니다.
- 거꾸로 푸는 역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계수를 구한다. 이 때문에 ‘역’문제라는 이름이 붙었다.ax+b=y(a와 b는 상수, x와 y는 변수)라는 식이 있다고 하자. 보통 우리는 계수 a와 b를 아는 상황에서 x에 어떤 값을 넣었을 때, y가 무슨 값이 나오는지 알아내는 문제를 푼다. 역문제는 반대다. y에 대한 제한된 정보만으로 계수 a, b를 구해야 한다.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집중했을 때 치명적이다. 특히 딥러닝은 다른 기계학습 방법에 비해 훨씬 더 많은 변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웬만한 데이터 크기로는 모든 경우를 포함할 수 없어서 과적합에 매우 취약하다. 알렉스넷이 실수를 한 것도 넓은 의미에서 과적합 문제로 해석할 수 있다.주목해야 될 것은 연구팀이 ... ...
- [Tech & Fun] 의자 없앤 사무실 잘못하면 건강 망친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비해 비알콜성지방간을 앓을 확률이 36%나 높았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다른 모든 변수를 제거하고 앉아서 지내는 시간만을 비교했을 때였다. 하루 10시간 이상 앉아 있는 사람이 5시간 이하로 앉아서 지내는 사람에 비해 유병률이 9%가량 높았다. 활동량과 관계없이 오래 앉아 지내면 ... ...
- [수학뉴스] 방향에 속지 않는 컴퓨터의 눈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특징이 많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이 알고리즘은 사물을 x나 y 같은 변수로 설정하고, 변수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특징이 비슷하다고 해석하는 ‘메트릭 학습 기법’으로 사물을 분석합니다. 그 결과 한 번도 본 적 없는 사물을 보고도 기존에 입력받은 사진과 비교해 사물이 어느 방향을 ...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크지만, 이 정도 깊이를 가진 다른 프로그램의 경우엔 학습으로 만들어야 할 함수의 변수가 1억 개가 넘는다.준 층을 더 늘리면 더 정확한 함수를 찾을 수 있나.한 그만큼 더 많은 학습 자료가 필요하다. 무작정 층을 늘렸다가는 자료 부족으로 더 엉성한 알고리듬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컴퓨터 비전 ... ...
- 프로젝트 1 저축하면 얼마나 이익일까?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늘어나는데, 복리의 원리를 수학적으로 풀어 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이 함수는 변수인 저축 기간 n이 지수에 있기 때문에 지수함수다. 이 때문에 n이 커질수록 함숫값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돌려받는 돈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복리의 마법이 일어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수학뉴스] 수학 모형으로 도시의 뎅기열 확산을 예측하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스테파넬라 보아투 교수팀은 기존에 있던 전염병 확산 모형에 뎅기열바이러스의 감염률 변수를 포함시켜 새로운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2014년까지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수집한 뎅기열 환자들의 데이터를 ‘SIR-네트워크 모형’에 적용한 것입니다.SIR-네트워크 모형은 전체 인구를 S, I, R로 구분한 뒤 ...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연구진은 생물들이 찾아오는 순서와 시간에 어떤 규칙이 있는지 살펴봤다. 핵심 변수는 사체 주변의 용존산소량이었다. 용존산소량은 수심과 수온, 유기물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대부분의 동물은 산소량이 물 1L 당 1mL 이하로 내려가면 버티지 못하고 떠났다. 하지만 갑옷바닷가재는 물 1L 당 0.1mL ... ...
- 프로젝트 2 물가는 얼마나 오를까?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예측하기는 어렵다.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상할 수 없는 것처럼, 물가도 다양한 변수에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사람들은 각자 나름대로 물가 상승률을 예상한다. 이것을 ‘기대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인플레이션★시간이 흐름에 따라 물가가 오르는 현상을 말한다.그런데 이는 실제 ... ...
- [재미] 에피소드수학_키가 쑥쑥! 자라는 비법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근육을 기르자!연구팀은 뼈 자체의 힘과 뼈가 자라는 속도, 주변 근육의 힘 등 여러 가지 변수를 바꿔 수학모형에 적용해봤어요. 그 결과 근육이 지지하는 힘이 적을수록 뼈가 자라지 않고 또 굵기도 가늘어질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답니다. 반대로 근육이 지지하는 힘이 크면 뼈가 쑥쑥 자라나는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