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출
배설
분비물
배설물
걸러내기
스며나옴
d라이브러리
"
분비
"(으)로 총 1,546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받을 때
분비
되는 호르몬인 코르티솔은 성장호르몬과 면역 기능을 돕는 호르몬
분비
를 억제해요. 스킨십을 하면 증가하는 옥시토신은 사랑의 감정을 느끼게 만들지요. 또한 세로토닌과 도파민은 행복한 감정을 느끼게 하는 화학물질이에요. 스킨십을 하기만 해도 호르몬이 바뀌어 스트레스가 ... ...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특히 심 해 퇴적층에 사는 방선균은 지금까 지 알려지지 않은 전혀 새로운 물질 을
분비
할 수도 있다.심지어 항암제가 방선균에서 나 올 가능성도 있다. 신종헌터가 발 견한 '암 잡는 방선균' 덕분이다. 2006년 미국 스크립스 해양연 구소의 빌리엄 페니컬 교수는 남태평양 팔라우에서 1000m 깊 이 ... ...
INTRO. 에볼라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잡아먹는 과정에서 혈액을 응고시키고 혈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이산화질소를
분비
한다.● 실제 가장 많은 사망자가 과다출혈로 인한 저혈압 및 쇼크사로 사망한다. 일부 환자의 경우 탈수증상으로 사망하기도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에볼라 쇼크INTRO. 에볼라의 모든 것PART1.전염의 ... ...
식물끼리 대화? “RNA로 해요”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예를 들어 한 식물이 곤충의 공격을 받으면 ‘푸른잎성분’이라는 휘발성 물질을
분비
해 동료 식물에게 위험을 알린다. 하지만 최근, 전혀 다른 방식의 ‘식물 대화법’도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미국 버지니아공대 김건준 연구팀은 식물이 DNA의 복사본인 전령RNA(mRNA)를 사용해 대화를 한다는 ... ...
뇌과학으로 해결하자! 굿바이 학교폭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나오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특히 남자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급격하게
분비
된다. 우리 반 남자애들이 여자애들보다 비해 힘이 세고 거친 이유다. 여자애들보다 남자애들 사이에서 학교폭력이 크게 일어나는 이유도 호르몬 탓이다.4 어른처럼 보이고 싶은 심리점점 어른이 되어가고 ... ...
꿀벌 VS 말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부른답니다. 꿀벌은 사회생활을 하는 것으로 유명해요. 꿀벌은 왁스 성분인 밀랍을
분비
해 육각형 방들로 이뤄진 벌집을 만들어요. 그 안에는 아주 많은 일벌들과 공중에서 여왕벌과 짝짓기를 하는 수벌, 그리고 알을 낳아 번식을 책임지는 단 한 마리의 여왕벌이 산답니다. 꿀벌이 모아 놓은 꿀과 ... ...
자살 알려주는 혈액 검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불리는 ‘코티솔’의
분비
를 조절하는데, SKA2가 충분치 않으면 코티솔이 과도하게
분비
돼 자살을 시도할 확률이 높아진다.연구팀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의 유전자를 분석했다. 그 결과 공통적으로 SKA2의 활동이 크게 떨어져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유전에 의한 것이 아니라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❺ 늘 체액을 분출한다. 길을 찾기 위해 초음파를 내는데, 이때 코에서 바이러스를 담은
분비
물이 나온다.박쥐는 바이러스를 많이 가지고 있으면서도 어떻게 안전한 걸까. 오랜 세월 동안 바이러스와 같이 살면서 면역력을 높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미국 콜로라도주립대 수의학과 찰스 캘리셔와 ... ...
벌집 아이스크림엔 진짜 벌집이 들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나오는 밀납이라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다 자란 일벌은 배 아래쪽에서 노란색 밀납을
분비
하는데, 벌집에 밀납을 끊임없이 발라가며 특유의 육각 구조를 만든다. 방수 능력이 뛰어나 벌집에 꿀을 저장할 수 있다. 우리가 먹는 꿀은 벌집을 통째로 꺼낸 뒤 그 안에서 꿀만 따로 걸러 만든다. 꿀을 빼고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방법으로는 도저히 풀기 어려운 최적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해준다. 개미들이 페로몬
분비
를 기반으로 길을 찾는 과정을 모사해 그래프에서 최적 경로를 찾는 개미집단 최적화 알고리듬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반딧불의 발광 주기가 비슷해지는 과정을 본 딴 반딧불 알고리듬, 새떼나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