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삼각"(으)로 총 1,514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오차가 커서 자칫 같은 체험장 안에 있는 플레이어끼리 부딪칠 수 있거든요. 이때는 ‘삼각 측정법’을 이용해 오차를 줄일 수 있어요. 가상현실과 AI의 만남게임 속 주인공이 되기 위한 마지막 단추는 바로 인공지능(AI)이에요. 가상세계에는 플레이어뿐 아니라 상점 주인이나 안내원, 공룡이나 ... ...
- [수학공작실] 종이로 끼워 만드는 육팔면체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준정다면체인 육팔면체는 정삼각형과 정사각형을 이어 붙여 유닛을 만들 수 있다. 정삼각형과 정사각형을 무게중심으로 중심 분할해 ➋처럼 빨간색 선을 따라 잘라내면 된다 ... ...
- 수학자가 왜 거기서 나와? 돈 ‘밝힌’ 수학자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도형★ 폭이 일정한 도형. 뢸로 삼각형의 각 변은 꼭짓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이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인 부채꼴의 호와 같다. 화폐 속 수학자를 찾아라!동전이나 지폐 같은 화폐에 실린 인물은 대부분 위대한 업적을 남겨 국민의 존경을 받는 정치인이나 과학자, 예술가 같은 위인이에요. ... ...
- 심판이 볼 수 없다면 수학이 본다! 심판 판정 돕는 기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촬영한 공의 궤적을 갖고 컴퓨터는 공의 위치를 추적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방법이 ‘삼각측량법’입니다. 각 지점에 고정돼 있는 카메라와 공의 거리 변화를 측정해 공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잡아내는 거죠. 이게 다가 아닙니다. 단순히 공의 위치만 판단하는 게 아니라 이를 3차원으로 재구성해 ... ...
- [수학공작실] 보로노이 빛상자수학동아 l2018년 04호
- 해요. 델로네 삼각형도 보로노이 다각형처럼 평면을 나누는데, 이를 ‘델로네 삼각분할’이라고 해요. 잠깐만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의 활용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어떻게 쓰일까요? 오래된 사례로 영국 의사 존 스노우가 보로노이다이어그램을 활용해 전염병의 원인을 설명한 일화가 있어요 ... ...
- 스마트폰으로 사진작가 되기!수학동아 l2018년 04호
- 그래서 사진의 구도가 중요합니다. 전혀 감이 잡히지 않는다면 프레임 안에서 점과 선, 삼각형, 사각형을 찾아보고, 대칭을 활용해 보세요. 기하학은 구도 연습의 길라잡이가 될 거예요. 혹시 지금까지 소개한 팁을 보니 사진에 흥미가 생겼나요? 처음에 소개한 제7회 국제 모바일 사진대회 수상작 ... ...
- [필즈상 미리보기] 게오르디 윌리엄슨, 치프리안 마놀레스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5차원 이상에 대해서는 미해결 난제였지요. 삼각화 추측을 곧바로 공략하는 게 어려웠던 수학자는 5차원 이상의 고차원 문제를 4차원 이하의 저차원 문제로 바꿨습니다. 즉 동치명제를 찾았지요. 신기하게도 마놀레스쿠 교수가 만든 3차원 불변량의 값이 0이 ... ...
- 최초의 수학문화관, 문을 열다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수학자 홍정하가 집필한 ‘구일집’ 복제본이 전시돼 있다.구일집에는 파스칼의 삼각형, 이항계수, 고차 방정식의 풀이 등이 쓰여 있다.➋ 네모난 바퀴를 단 자전거라도 굴러갈 수 있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다.➌ 체험탐구관에는 수학을 놀이처럼 즐길 수 있는 총 61가지의 다양한 콘텐츠가 ... ...
- Part 2. 수학, 과학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않고 am짜리 끈으로 만들었을 때 넓이를 구하는 공식까지 찾는다거나, 정사각형이 아닌 정삼각형, 정오각형을 만들었을 때의 넓이도 구하려고 할 거예요. 그러면 나중에 정오각형의 넓이가 필요한 사람은 이미 만들어 놓은 공식을 가지고 바로 구하게 되는 거죠. 노벨상 수상자들이 그랬던 것처럼요.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타르스키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있을까요? 아래 그림과 같이 정삼각형을 4개 조각으로 잘라서 조립하면 가능합니다. 정삼각형을 다각형으로 확장하면 어떨까요? 평면에 넓이는 같지만 모양은 다른 두 다각형이 있을때 하나를 잘라서 다른 다각형으로 만들 수 있냐는 겁니다. 이 질문의 답은 놀랍게도 ‘예’입니다. 1807년 영국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