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맛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말했답니다. # 에필로그 “답은 매운맛이었어요! 몸이 다시 커지는 버섯은 미각
세포
가 아니라 통점으로 느끼는 매운맛 버섯이었던 거예요!”꿀록 탐정의 설명을 들은 앨리스가 두 손을 번쩍 들었어요. 이젠 원래대로 돌아갈 수 있겠다며 기뻐했지요. 개코 조수는 앨리스가 가져온 버섯의 냄새를 ... ...
[DGIST@융복합 파트너] 누구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술을 꿈꿉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구현할 수 있게 됐다”라고 말했다.데이터를 수학으로, 초차원 컴퓨팅인간의 뇌는 신경
세포
사이로 촘촘하게 구성된 약 100조 개의 시냅스를 기반으로 대규모 병렬 연산을 한다. 덕분에 뇌는 현재까지 개발된 그 어떤 AI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1980년대 뇌인지과학자들은 ... ...
[특집] 겨울잠, 인간도 가능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시상하부 가까이서 겨울잠을 유도하는 ‘휴면유도 신경’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이
세포
를 약물로 자극하자, 30분 만에 쥐의 체온이 37℃에서 24℃로 떨어지면서 토르퍼 상태가 되었죠. 두 연구팀은 이 연구를 발전시키면 인간의 겨울잠을 유도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답니다. _ 인터뷰존 ... ...
인간과 원숭이의 키메라 탄생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계획이다. 벨몬테 교수는 “그동안 인간과 동물의 키메라는 생성 효율이 극히 낮고 인간
세포
가 숙주 종에 통합돼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며 “영장류를 이용하면 인간과의 진화적 거리를 좁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논문탐독] 오류에서 찾은 혁신의 실마리 주사터널현미경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관찰하는 도구는 현미경입니다. 17세기 광학현미경을 발명하면서 인류는 처음
세포
를 발견했고, 1931년 전자현미경을 개발하면서 바이러스처럼 작은 물체도 관측할 수 있게 됐습니다. 1981년에는 주사터널현미경(STM)을 개발하면서 원자를 구분해 관측할 수 있는 분해능을 얻었습니다. 원자를 시각화할 ... ...
[만화뉴스] 식물
세포
길러 가구를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이젠 가구를 만들기 위해 굳이 나무를 자를 필요가 없을 거예요. 지난 1월 20일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루이스 페르난도 벨라스케 ... 단단한 정도로 리그닌의 양을 늘릴 수 있었어요. 연구팀은 “원하는 모양의 틀 속에 식물
세포
를 키워 가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우유와 레몬즙만 있으면 나도 백선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구조를 보면 기름이 레시틴에 싸여 물속을 둥둥 떠다니는 상태지요. 레시틴은 우리 몸속
세포
에도 들어 있어요. 레시틴 없이는 영양분의 운반과 흡수, 노폐물 배출을 할 수 없지요. 용어정리*응고 : 액체가 고체로 변하는 것 ... ...
[특집] 너의 목소리가 들려~! 음성 인식 AI의 세계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음성 신호에 포함된 다양한 주파수의 신호들을 귓속 달팽이관에 있는 신경
세포
들이 자동으로 인식해 그 말을 바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AI가 ‘수학’이라는 음성 신호를 인식하려면 어떤 주파수를 가진 신호들이 합쳐져 있는지를 일일이 분석해서 처리해야 합니다. 이때 음성 신호와 비슷한 ... ...
[지사탐 인터뷰] “개화시기 탐사로 식물 다양성을 지켜요!” 소지현 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대해 더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고 덧붙였지요. “기술이 발달하면서 식물을
세포
나 DNA 등 분자 수준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되었고, 식물 분류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더 다양한 종으로 나뉘거나, 분류군이 바뀌기도 했어요. 우리가 식물에 대해 더 관심을 갖고 공부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 ...
변이 vs. 백신 재설계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있다.모더나와 화이자는 전달체(벡터)에 넣은 스파이크 단백질의 전령RNA(mRNA)를 인간
세포
내부로 침투시켜 체내에서 항원을 만들도록 하는 mRNA 백신을 개발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항원의 mRNA를 기반으로 만든 상보적DNA(cDNA)를 바이러스 벡터인 아데노바이러스에 넣어 체내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