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로
뱃길
물길
운하
수도
선로
진로
d라이브러리
"
수로
"(으)로 총 551건 검색되었습니다.
2. 금강산댐 안전성 7대 의문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수위를 75m 이하로 낮출 수 없도록 잘못 설계됐다는 지적이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여
수로
와 방류구의 위치를 종합해볼 때 하루 3백mm 이상의 폭우가 쏟아질 경우, 물이 넘쳐 댐이 무너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6. 상층부 균열은 왜 보수하지 않을까댐 상층부 함몰 흔적에 대해선 공사가 ... ...
ET vs 에어리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통해 화성의 운하(19세기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G.스키아파렐리가 화성의 어두운 줄무늬를
수로
(Canali)라고 이름 붙인 것이 영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운하(Canal)로 잘못 알려졌다)를 발견했다.고도로 발전된 생명체에 의해 화성의 대운하가 건설됐다는 주장이 제기되자 사람들은 화성인의 존재에 대해 ... ...
1. 첨단 고무로 무장한 움직이는 댐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풀이 자라고 있는
수로
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된다. 오염물질이 제거된 빗물은 배
수로
를 통해 하천으로 방류된다. 탄광촌에 적용된 빗물 이용 기술은 하천의 양과 질을 동시에 확보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빗물을 이용하는 기술이 개발돼 적용되고 있다. 월드컵 ... ...
2. 독성물 탐지하면 빛 발하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하루 버려지는 하수는 약 1천만t. 1년이면 36억t이 되는 엄청난 수자원이다. 냄새나고 더러워보이는 이 하수를 생명의 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기적을 일 ... 연간 86억t의 중국 전체 도시의 물사용량(2000년 기준) 중에서 33%에 해당하는 28억t의 물을 재이용
수로
대체할 수 있다 ... ...
구장산술 (九章算術)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중요성을 짐작할 수 있다.조세 관리의 필독서‘구장산술’은 조세 및 부역 징발이나 관개
수로
사업 등을 담당했던 관리들의 필독서로서 실무적인 일을 처리할 때 부딪히는 다양한 문제들과 산법(算法)을 집대성해서 정리하고 있다. 문제와 답, 그리고 이에 대한 해설로 이뤄진 이 책은 당시 중국에서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망원경보다 30배나 선명한 것들이었다. 이들 사진 속의 화성에는 퍼시벌 로웰이 봤다는
수로
도, H.G 웰스의 소설 속에 나오는 화성인도 존재할 것 같지 않았다. 단지 크레이터(운석충돌구덩이)로 덮인 죽음의 별로 보였다. 마리너 4호의 데이터는 지구인에게 화성에 관한 모든 환상을 깨뜨리는 참혹한 ... ...
Ⅰ 디지털 르네상스 주도할 쌍두마차 ① 원자세계 신출귀몰한 조화 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각 년도별로 도식한 것을 보자(그림 2). 지금 현재는 메모리 한 비트의 크기를 원자의
수로
계산하기에는 너무 많지만, 무어의 법칙이 그대로 지켜진다고 할 때 2020년에는 한개의 원자로 메모리 한 비트를 만들어야 한다. 아무리 잘 맞아왔던 무어의 법칙도 이 단계까지는 갈 수 없다.원자 크기에서는 ... ...
시판허가 내려진 응급피임약 논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여성의 나팔관이다. 수정란은 여기서부터 자궁내막까지 서서히 이동하며 자체적으로 2배
수로
분열해나간다. 수정 후 약 5-7일 사이에 수정란은 자궁내막에 도착해 안쪽으로 함입되기 시작한다. 이 상태를 착상이라 부른다. 착상이 완료되는 시기는 수정후 약 14일 정도로 파악한다.응급피임약 수입을 ... ...
환경보전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이유다.포항공대 환경공학부 최원용 교수는 광촉매를 수질분야에 응용하면 폐수가
수로
를 따라 흐르면서 오염물질이 저절로 분해된다고 설명한다. 태양의 빛에너지를 이용해 오염물질을 없애는 자연의 자정작용이 광촉매에 의해 빠른 시간 동안 이뤄진 것이다. 최교수는 “다이옥신과 같이 기존의 ... ...
① 인간게놈 정보의 해일에서 진주찾기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작업이다.HGP에서는 전부 5백80만번에 걸쳐 염기서열분석장치로 읽었는데, 염기
수로
2백31억개를 읽은 셈이다. 이는 인간 유전체의 8배에 해당하는 양인데, 짜깁기 작업의 정확성을 위해 중복해서 읽었기 때문이다. 짜깁기 작업은 각 BAC 클론별로 대용량 메모리를 갖춘 컴퓨터가 수행했다. 요즘 펜티엄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