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구"(으)로 총 1,4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멸종 위기의 지구생물을 지켜라! 생물다양성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200만 여 명은 먹을 것을 찾아 다른 나라로 떠났지. 다양하지 못한 감자 유전자가 그곳의 인구를 절반으로 줄여 버린 거야. 1970년대 인도와 인도네시아에서는 벼의 크기를 작게 만들어 버리는 ‘벼 왜소증 바이러스’가 심했단다. 그대로 뒀다면 식량난이 심각해졌을 거야. 그런데 다행히 국제 벼 ... ...
- 공포의 에볼라바이러스 파헤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가랑이에 심각한 염증이 생기면서 죽는다. 1348년부터 300년간 유럽에서는 페스트로 인구의 3분의 1이 죽었다. 결국 평민과 노예가 심각하게 줄면서 계급제도(봉건제도)도 사라졌다.탄저병생물학테러 무기가 될 수 있는 전염병탄저균피부나 호흡기로 전염되며,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다가 폐에 ...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노면전차가 그 주인공이지요. 노면전차는 1898년에 처음 달리기 시작했지만 서울 시내의 인구와 교통량이 늘어나 도로가 혼잡해지면서 1968년 자취를 감추었답니다. 하지만 세계의 도시 약 400군데에서는 여전히 노면전차가 달리고 있지요. 우리나라에도 위례신도시와 수원시, 창원시에서 각각 ... ...
- 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기욤 패트리(캐나다 대표): 땅이 훨씬 넓은 캐나다보다 많더라고요.Y(한국 대표): 한국은 인구가 많잖아요! 1인당으로 따지면 CO2 배출량도 18위밖에 안 돼요.장위안(중국 대표): 1인당으로 따지면 중국도 배출량 그리많지 않아요. 문제는 총량이죠.타일러 라쉬(미국 대표): 미국도 할 말이 없네요. 중국에 ... ...
- [과학뉴스] 들쭉날쭉 CO2 농도, 범인은 농사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인류의 대부분은 북반구에 몰려있고, 경작지 면적도 북반구가 월등히 크다. 인류는 인구가 늘어나자 삼림을 없애고 경작지를 만들었는데, 이 작물이 봄과 여름에는 무럭무럭 자라며 광합성을 한다. 따라서 삼림이 있을 때처럼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인다. 반면 수확이 끝난 가을과 겨울에는 ...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했다. 최기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미래융합연구실장은 “인도의 자립 전략은 인구가 많고 대규모 동원이 가능해야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는 맞지 않으며, 비효율적인 측면도 있다”고 밝혔다.성공 요인 2 과욕은 금물! 할 수 있는 만큼만 하자인도의 우주과학기술이 뛰어나다고는 해도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갈수록 ‘머리 좋은’ 유전자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계산을 통해 앞으로 얼마나 많은 인구가 ‘머리 나쁜’ 사람들로 채워질지도 예상할 수 있는데, 영국 울스터대 리처드 린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2050년에는 IQ가 약 1.3 정도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그렇다면 인류 전체가 머리가 나빠지는 것일까. ... ...
- [hot science] 전생에 삼엽충이었던 분을 찾습니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증거는 없습니다. TV에 나오는 전생 체험은 순전히 ‘쇼’일 가능성이 다분합니다.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게 최근 아닙니까. 몇 대만 거슬러 올라가도 우리 전생은 사람이 아닐 확률이 훨씬 높습니다. 전생에 메뚜기였다거나 지렁이였다며 당시의 추억을 이야기하는 사람을 전 아직 본 적이 ... ...
- [생활]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을 찾아, 말레이시아로!수학동아 l2014년 11호
- 핑크빛 돔과 철제 돔을 찾아라!푸트라자야는 말레이시아 정부가 수도 쿠알라룸푸르의 인구를 분산하기 위해 만든 신행정도시로, 우리나라 행정도시인 세종시의 모델이 되었다고 해요. 쿠알라룸푸르에서 공항철도를 타고 푸트라자야역에서 내린 뒤, 버스를 타고 푸트라자야 시내로 이동할 수 ... ...
- 비정상 회담 한국어 유창한 G11 비정상인가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언어는 아무래도 영어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세요?”1. 세계 언어 몇 개일까? 약 68억 인구가 사용하고 있는 세계 언어의 수는 약 7106개 2.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는? 3. 세계 언어를 ‘어순’으로 분류한다면?문장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는 주어(S), 서술어(V), 목적어(O)로 3가지가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