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d라이브러리
"
정상
"(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실전! 반려동물] 토끼가 사료를 안 먹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토끼가 먹이를 한 번에 소화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대변에 섞인 박테리아의 도움을 받는
정상
적인 소화활동이랍니다. 보통 항문에 입을 대고 바로 받아 먹지요 ... ...
국제우주정거장(ISS) 아찔했던 사고 5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대대적인 수리 작업을 벌였다. 다행히 수리는 성공적으로 끝났고, 스카이랩 내부 온도도
정상
범위로 떨어졌다. 이후 스카이랩에서는 171일 동안 9명의 우주비행사들이 머무르며 태양 관측을 포함해 무중력 상태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실험을 수행했다. 스카이랩에서는 사고 아닌 사고(?)가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심박동수가 불규칙해지거나 멈췄을 때 심장에 전기자극을 줘 심박동을 다시
정상
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장치를 체내에 삽입하면 가슴부위가 볼록 튀어 나올 만큼 크다. 한번 삽입하면 유선으로 충전할 수 없는 탓에 기기의 절반을 차지할 만큼 큰 배터리가 들어가기 때문이다. 또 7~10년마다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곳이 바로 소장과 혈액이죠(2018년 7월호 참조). 암의 특이 성질 설명하는 암줄기세포
정상
조직이 기능하는 데 꼭 필요한 줄기세포가 암조직에도 있다는 이론은 나오자마자 주목을 받았습니다. 암줄기세포는 암의 여러 가지 특이 성질을 설명하는 데 제격이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암조직의 ... ...
[과학뉴스] 어린이 사시약시, 뇌 발달 저해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했다. 그리고 시력이 약한 쪽의 눈에 보이는 점들에 집중하도록 했다. 그 결과 시력이
정상
이거나 부동시약시 환자들과 달리 사시약시 환자는 집중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연구팀은 사시약시 환자의 경우 시력이 약한 눈으로 들어온 시각 정보를 뇌가 계속해서 무시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 ...
Part 4. 독자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각축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수 있어 정확도를 월등히 높일 수 있다. 또한 높은 건물 때문에 항법신호가 차단돼
정상
적인 위치 제공이 어려웠던 도심에서 위치 정보를 안정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위성항법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보상해 주는 ‘SBAS(위성 기반 보강 시스템)’의 증가도 위성항법시스템의 정확도를 ... ...
Part 1. 세계는 지금 우주 요격 기술 경쟁 중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2014년 새로운 추력기를 시험한다면서 ‘코스모스-2499’ 위성을 발사했다. 하지만 비
정상
적인 기동으로 인해 킬러위성이 아니냐는 의심을 받았다. 2017년에는 기존의 위성을 점검하는 ‘코스모스-2519’ 위성을 발사했으나 역시 킬러위성으로 의심 받았다. 이런 사찰위성은 다른 위성을 점검하기 위해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겁니다. 돌연변이로 인해 Wnt5a를 제대로 분비하지 못하는 배아의 경우, 소장의 길이가
정상
보다 현저히 짧다는 사실은 2007년에 논문으로 알려졌습니다.doi:10.1016/j.ydbio.2008.11.020 이번 구무시오 교수팀의 연구는 Wnt5a가 어떻게 소장의 길이에 관여하는지 구체적으로 밝힌 셈입니다. 소장이 ... ...
Part 4.독자가 찾은 9
수학동아
l
2018년 10호
반갑습니다. 저는 수학동아의 막내 박현선 기자예요! 파티의 마지막은 독자 여러분의 제보로 꾸몄습니다. 지난 달 독자 여러분께 숫자 9와 ... 행사 날도 2012년 4월 11일처럼 수의 합이 9(=1+2+4+1+1)가 되는 날로 정하지요. 제3차 평양남북
정상
회담을 9월 18일에 가진 것도 9를 좋아해서가 아닐까요 ... ...
[Culture] 정자왕 꿈꾸는 당신에게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매일 술을 먹는 사람의 경우 술을 먹지 않는 사람과 비교해 정액의 양이 적을 뿐 아니라
정상
적인 정자의 양도 부족하다는 결과를 얻었다.이 교수는 그 원인으로 “알코올 성분이 시상하부-뇌하수체-고환의 상호작용으로 이뤄지는 정자 생성 체계(HPT axis)에 영향을 미쳐 호르몬 불균형을 일으키기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