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외계인도 궁금한 알쏭달쏭 달력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1호
뭐?! 2월이 29일일 때도 있다고?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 즉 1년은
정확
하게는 365일하고도 6시간 정도가 더 걸려요. 1년에 6시간 차이가 나니까 2년이면 12시간, 4년이면 24시간 차이가 나요. 4년마다 온전한 하루가 생기는 거예요. 1582년 교황 그레고리우스 13세는 부족한 하루를 ... ...
[엣지 사이언스] NASA 임무 나서는 한국 달 관측기기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백슬민 천문연 박사후연구원은 “분리해 관측하지 않으면 전기적 현상 등이 발생해
정확
한 결과를 얻기 어려워 양성자와 전자를 따로 검출할 수 있게 개발했다”고 밝혔다.루셈의 검출부는 지표면과 수직으로 세워져 있지 않고, 살짝 비스듬하게 눕혀져 있다. 라이너 감마의 위치에 이유가 있다. 이 ... ...
[SF소설] 계산하는 우주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방법은 없었다. 상대는 확실히 죽으려고 작정했는지 결코 좁지 않은 다온 행성 표면에서
정확
히 구소 마을을 노리고 직진했다. 장만은 적란운의 발생을 더 이상 추적하지 않았고 둑의 완성 시간도 계산하지 않았다. 모든 게 끝이었다. 다온인 사망자는 600명을 훨씬 넘길 게 분명했다. 그들은 죽어가는 ... ...
[과학동아 키즈] 밤을 밝히는 전등이 모두를 공평히 비추길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일상적으로 전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대다수는 전기를 어떻게 생산하고 전송하는지
정확
하게 이해하지 못한다. 하지만 깊이 들여다보면 그 과정 속엔 전자기적인 물리현상부터 공학적인 실용 지식까지 융·복합적인 지식이 축적돼 있다. 여기에 호기심이 있던 나는 더 자세한 이론을 배워보기 위해 ... ...
[특집] COP26 어린이가 감시하자! 다음 숙제는 무엇?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정수종 교수는 “메테인은 신고되지 않은 소와 폐기물매립지에서도 많이 나와
정확
한 배출량을 알기 어렵다”며, “올해 인공위성을 쏘아 공기 중의 메테인을 직접 관측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2030년까지산림 그만 파괴!130개국은 2030년까지 산림 파괴를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아마존 ... ...
[특집] 수학
수학동아
l
2022년 01호
문제가 있었어요. 얼음을 녹이는 실험을 통해 살펴보면 특이점에서 멀수록 온도가
정확
하게 이차함수 그래프를 그리며 올라가지 않았어요. 함숫값과 실험값이 아주 조금 차이가 났지요. 피갈리 교수가 이끄는 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누 막 연구의 다른 도구를 도입했고, 약 130년 만에 슈테판의 ... ...
[THE JAMES DYSON AWARD] 세상을 바꿀 젊은 발명가들의 이야기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는 실패에도 굴하지 않고, 끊임없이 도전하는 차세대 엔지니어들을 기다립니다.” 1991년 영국에서 시작해 지금은 세계적인 가전 ... 몸에 기구를 넣는 침습형 의료 기술 시험은 쉽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다. 현재 가장 안전하고
정확
한 시험 방법을 조사하고 있다 ... ...
[논문탐독] 데이터 쪼개고 합쳐 구축한 스마트팩토리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기법 외에 딥러닝 등의 최신 방법론들을 활용하는 등 많은 연구자가 불량 탐지 100%의
정확
도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이 내용을 흥미롭게 보신 독자 여러분들께서도 도전의 주인공이 되실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임문원 연구원의 논문 읽기 노하우 읽을 논문을 고르는 기준이 있나요 ... ...
[탐헉대학] 주니어 극지 연구 프로젝트 “이들은 이미 현재진행형 과학자”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게 아니라 아쉽다”며 “기회가 된다면 얼음의 미끄러움 정도를 파악하는 실험을 더
정확
하게 하고 싶다”고 말했다.얼음화학 팀을 이끈 김기태 저온신소재연구단 책임연구원은 대원들의 발표를 본 뒤 “고다희 학생이 탐구한 얼음이 미끄러운 이유는 실제로 연구가 많이 이뤄지고 있는 주제”라며 ... ...
[엣지 사이언스] 윤리·데이터법 개정 물꼬 트나? 희귀질환 게놈 진단 시대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이끌고 있는 박 교수는 “게놈 분석 수가 늘면 늘수록 질병을 진단하는 능력은
정확
해진다”며 “한국도 100만, 1000만 게놈 분석 프로젝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한국에서 대규모 게놈 프로젝트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울산에서 게놈 프로젝트가 진행될 수 있었던 이유는 울산은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