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뼈
등골
척추골
등골뼈
척수골
척수
등심대
d라이브러리
"
척추
"(으)로 총 79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미지의 질병, 광우병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있다.한편 지난 5월 20일 한미 쇠고기 추가협의를 통해 생후 30개월 이상인 소에서
척추
의 횡돌기, 극돌기, 엉덩이 부분 등뼈 일부 등도 국내 수입이 금지되는 SRM에 포함됐다. 이 부위들은 미국 FDA에서 SRM으로 분류하고 있다. 변형 프리온은 소량이라도 광우병이나 인간광우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 ...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등의 함수광물(含水鑛物)을 함유한다 거대염색체(巨大染色體)의 하나 많은
척추
동물·무
척추
동물 세포의 감수분열 전기(前期)의 복사기(複絲期)에 있는 난모세포(卵母細胞)의 핵에서 관찰된다시험관을 닦는 솔 같은 모양이어서 이 이름이 붙었다염색체의 축은 대부분 4개의 염색분체(染色分體)로 ... ...
적신호 켜진 허리 건강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남성은 몸을 젖힐 때 오목하게 휜
척추
하단부의 요추골이 2개 늘어나지만 여성의
척추
하단부에서는 요추골이 3개 늘어난다”며 “여성의 요추골이 남성의 요추골보다 움직이는 각도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것은 종족의 번영을 위해 임신부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적응 메커니즘이라는 뜻이다 ... ...
다시 우뚝 선 우리 공룡 천년부경룡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천년부경룡 전체를 복원했는지 무척 궁금해요!이번 복원에는 천년부경룡의 목뼈 5점,
척추
1점, 가슴뼈 1점, 갈비뼈 2점, 꼬리뼈 아래의 V자 모양뼈 2점 그리고 기타 골격 파편들이 사용됐어요. 천년부경룡의 뼈 전체가 모두 발견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완전한 모습으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이번 발견은 영장류 이외의 종에서 처음 확인한 거울 시스템”이라며 “거울뉴런은
척추
동물 뇌의 기본 특징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맹모삼천지교’의 깊은 뜻유복자인 맹자를 키우며 좀 더 나은 교육환경을 찾아 세 번이나 이사했다는 맹자의 어머니는 거울뉴런의 위력을 알았던 걸까. ... ...
산호초로 기후변화 감지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년 동안 산호초는 해양생물의 은신처이자 산란지였죠. 산호초 주위에는 어류 약 4000종, 무
척추
동물과 조류 약 3만 종이 옹기종기 모여 살아갈 정도로 생물다양성이 높습니다.”해양연구센터 박흥식 센터장의 말이다. 아마존의 열대우림 마냥 무성하게 우거진 산호초는 전세계 해양 생물의 4분의 1이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불리는 경우가 많다 다발성의 원발성골종양(原發性骨腫瘍) 두개골 · 늑골 · 흉골 ·
척추
· 골반 등에 잘 나타나고 물렁물렁한 종류(腫瘤)를 형성하며 뼈의 흡수가 일어나고 40~60세의 남자에게 많이 발생한다 골수종의 종양세포는 형질세포(形質細胞)에서 유래한 것이어서 형질세포종이라고도 한다 ... ...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가장 많이 쓰이는 유리섬유를 첨가한 것을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약칭 FRP)이라고 한다무
척추
동물(無脊椎動物)의 특이한 혈관계(血管系) 개방순환계라고도 하며 폐쇄혈관계(閉銷血管系)에 대응하는 계이다 일종의 주기함수의 확장이라고 볼 수 있는 함수 식물의 꽃눈에 작용해서 꽃눈의 분화를 유도 ... ...
기네스북에 오른 괴물 포켓나이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不整脈), 때로는 돌연사(突然死)를 야기한다 원색동물이나
척추
동물의 집중신경계 관상신경계에 대해 환형동물이나 절지동물의 신경계를 사다리꼴 신경계라 한다관상신경계는 개체발생면에서 보면 신경관에 유래한다발생 초기에 낭배(囊胚)가 완성되면 배는 앞뒤로 선장하고 배의 등 쪽에 뻗은 ... ...
'팔방미인' 독도의 속살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포함시킨 것. 해양 선형동물은 단세포 조류나 박테리아를 잡아먹는 동시에 다른 무
척추
동물의 먹이가 되기 때문에 해양생태계를 연구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독도라는 이름이 붙은 해양물리현상도 등장했다. 독도 주변의 해류를 연구 중인 이재학 박사는 해저 울릉분지에서 북쪽으로 최대시속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