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7화. 한국의 잊힌 국론 대가, 이임학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이 교수가 남긴 업적이 잊힌 적이 없습니다. 지금까지 리 군(Ree group)에 관한 논문이 100편이 넘을 정도니까요. 또 일찍이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1963년 40대의 나이로 캐나다 과학자의 최고 영예인 캐나다 왕립학회(Royal society of Canada) 정회원으로 선출됐습니다. 사망 직후인 2006년엔 늦게나마 우리나라 ... ...
- [JOB터뷰] 인공지능 만화가를 탄생시킨 개발자, 이동익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학습시키는 거예요. 제조업 분야에서 이미지 생성 모델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문 편이에요. Q 인공지능 개발자 되려면 무슨 공부를 해야 되죠? 지금은 어느 분야든 인공지능을 접목해 보려는 시도가 참 많아요. 그래서 가장 기본적인 수학과 컴퓨터 공부를 열심히 하면 누구나 인공지능 개발자가 ... ...
- [수담수담] 수학으로 영화 속 비밀 푼다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느꼈고 이것이 계기가 돼 유튜브 크리에이터의 세계에 뛰어들게 된 거죠.저는 영상 한 편을 만드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요. 10분가량의 영상을 만들 때는 열흘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데, 영상이 길어질수록 제작 시간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요. 그 예로 박찬욱 감독의 영화 ‘아가씨(2016년)’를 ... ...
- [IBS×수학동아] 나의 삶, 나의 수학 그래프로 연결하는 세상수학동아 l2021년 05호
- 10명의 훌륭한 연구원과 함께 논의하며 연구하고 있습니다. Q 수학이란 무엇인가요?한편으로는 맞추기 힘든 퍼즐 같지만, 나름의 아름다움도 있어요. 그래서 풀었을 때의 희열감이 크죠. 문제를 풀면서 수학자들끼리 많은 교류를 하는데 이때의 즐거움도 수학의 한 부분입니다. 함께 고민하면서 ... ...
-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과학동아 l2021년 05호
- 4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81년 일본에서 출간된 ‘세계의 미술-한국, 동남아시아 편’의 석굴암 사진을 맡으며 처음 석굴암 촬영에 발을 디뎠다. 이후 강우방 전 국립경주박물관장의 부탁으로 1986년, 2000년 두 차례 더 기회를 얻었다. 특히 마지막 촬영작품은 한 작가가 혼신의 노력을 기울인 ... ...
- 최초의 인류는 누구인가? 위태로운 호미닌의 여명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국제학술지 ‘인류 진화 저널’에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의 대퇴골을 분석한 논문 한 편이 발표됐다. 로베르토 마키아렐리 프랑스 푸아티에대 지구과학과 교수팀은 2001년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의 화석과 함께 발견돼 2004년 영장류의 것으로 분류된 대퇴골 화석을 분석했다. 대퇴골 화석은 ... ...
- [SF 소설] 생명의 노래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될지 누가 알까. 이새는 더욱 숨을 죽였다.눈앞에서 생명이 죽는 모습을 보는 건 불편할 수밖에 없었다. 퓨라가 몸부림치며 입을 벌렸다. 그 순간 이새는 숨이 멎을 듯한 기분을 느꼈다.퓨라의 입에서 흘러나온 소리 때문이었다. 이새를 황홀하게 만들어 준 그 노래, 이새를 여기까지 오게 만든 그 ... ...
- [수학자의 일기]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의 일기 (1646~1716)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논쟁에 아무래도 결론을 내야 할것 같다. 뉴턴이 회장으로 있는 영국 왕립 학회에 항의 편지를 보낼 생각이다. 라이프니츠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영국 왕립 학회는 ‘미분법’을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뉴턴이라고 결론지었어요. 하지만 라이프니츠의 지지자들은 이를 인정할 수 없다고 반박했어요. ... ...
- [기획] 백신을 맞으면 마스크를 안 써도 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훗날 변이바이러스에 대해서도 백신 임상시험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어요.한편, 코로나19가 계절성 전염병으로 자리잡을 거라는 분석도 있어요. 백신의 면역 지속 기간이 짧거나 변이가 계속해서 발생하면 주기적으로 백신을 맞아야 해요. 이를 대비해 국제백신연구소의 송록 책임연구원은 ... ...
- [긱블 X 과학동아] 오늘 테슬라 주식은 떡상? 떡락? 일론 머스크 돈 복사기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보통 이런 기계 장치에는 12V의 전압을 거는데, 와이파이 보드에 사용하기에는 높은 편입니다. 자칫 전원의 양극과 음극을 거꾸로 걸어주는 실수라도 하면 와이파이 보드가 고장나 버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와이파이 보드의 적정 전압인 5V로 변환해줘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전압을 낮춰주는 DC(직류)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