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준"(으)로 총 1,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그래서 각 나라마다 기준이 되는 시각을 ‘표준시’로 정해 놓고 사용한다. 우리나라 표준시는 울릉도 동쪽 350km 지점을 지나는 동경 135°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原子時 원자시(근원 원, 아들 자, 때 시)‘원자’는 본래 물질이 고유한 성질을 갖는 가장 작은 단위로, 물질의 근원이 된다고 해서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됐다. 나라마다 좌표가 조금씩 달라서다. 1980년대 들어 세계 공통으로 쓸 수 있는 국제표준타원체가 개발됐다. 이렇게 만든 지구좌표계에서는 경도와 위도로 한 점의 위치를 정확히 나타낼 수 있다.지구좌표계의 장점은 지구를 왜곡하지 않고 크기만 줄여 놓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눈에 지구의 ... ...
- [Hot Issue] 굿바이 M16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뛸 만큼 소총 시장은 크게 바뀌지 않았다. 각 나라에서 개발 중인 소총 대부분이 표준탄을 사용하고, 총열 길이, 탄의 위력, 무게 등도 비슷하다. 하지만 그럼에도 소총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 FN과 독일의 총기 제조사인 H&K는 인체공학적인 설계를 도입해 90년대 소총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뒀다. ...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발전한 데는 일본의 역할이 크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일본어인 ‘오리가미’가 국제 표준 명칭으로 쓰이고 있다. 오리가미는 칼이나 풀 없이 종이 한 장으로 다리 6개 달린 곤충은 물론이고, 몸통 비늘이 100개도 넘는 물고기도 완벽하게 접어내는 수준에 이르렀다.최근에는 오리가미 기술이 단순한 ...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남북한의 용어 차이를 지속적으로 수집․파악하고, 전문 분야간의 상이한 용어를 표준화하는 전문 기구가 필요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런 노력이 통일 시점까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한다는 사실이다. 한 번 벌어진 남북 간의 용어 간극은, 지금도 계속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 ...
-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그런데 몰이 국제표준단위에 들어간 건 화학자의 입김이 컸답니다.”이경석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의 말처럼 몰(mol)이 단위로 등장한 것은 화학자들이 기체의 성질을 연구하면서부터다. 보일의 법칙, 샤를의 법칙, 이상기체상태방정식 등의 용어가 아스란히 떠오르는가. 어느 순간 ...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공장을 건설하기 전, 공장 입지조건, 물류 흐름, 직원의 효율적인 동선 설계와 같은 공장 표준화 작업에 브릭을 활용한다고 발표했다.김재영 LG전자 생산기술원 기술기획팀장은 수학동아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2011년 중국 생산법인 신공장을 7만 분의 1 크기로 축소해 만든 브릭 모형 공장을 ...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빠져나가요.”2012년 영국에서 최고 수준의 단일전자 펌프를 만들었는데, 우리나라 표준연이 올해 2월 공개한 이 펌프도 성능이 같은 수준이다. 배명호, 김남 연구원은 “전자는 양자역학에 따라 희한하게 움직이는데 높게 쌓은 장벽을 뚫고 나갈 때도 있다”며 “이걸 막기 위해 4 K(영하 269 ℃)의 ...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유일하게 대형 비구면 반사경을 정밀하게 깎는 기술을 가진 한국표준과학연구원(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에 이용현 기자와 한주희 기자가 다녀왔어요. 우리도 함께 가 볼까요?우리나라에서 반사경도 만든다고?망원경은 빛을 모아서 멀리 있거나 어두운 천체를 볼 수 있게 해 줘요. 커다란 거울인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받았다. 카오의 광섬유 연구는 그 시작이 196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960년부터 영국의 표준원거리통신연구소에서 일하던 카오는 마이크로파와 빛의 전파에 대해 연구하고 있었다. 당시 과학자들은 빛을 통신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전송 과정에서 손실이 워낙 커서 20m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