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제
이야깃거리
테마
이야기거리
화젯거리
소문
과제
d라이브러리
"
화제
"(으)로 총 1,138건 검색되었습니다.
개의 기원은 아시아가 아니라 유럽?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개’가 최소 1만 8000년 전 유럽 사람들에게 길들여지기 시작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화제
다.핀란드와 미국이 주도한 국제 공동연구진은 개의 기원이 유럽이며, 최소 1만 8000~3만 년 전 인간에게 길들여졌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11월 15일자에 발표했다. 1만 5000년 전 아시아나 중동 지역에서 ... ...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노래를 듣다가 잠들 뿐만 아니라 고음 부분을 노래하다가 잠들기도 한다”고 말해
화제
를 모았다.기면증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갑자기 잠에 빠지는 질환이다. 정신을 집중해서 공부나 일을 해야 하는 낮에 수시로 잠이 쏟아진다. 수업시간에 잠깐 졸았을 때 노트나 책에 알 수 없는 글자를 ... ...
밀가루는 무죄!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바랍니다. 일단 밀가루가 건강에 좋지 않다고 하는 이유를 살펴봤습니다. 요즘 가장
화제
가 되는 것은 글루텐이더군요. 그렇지 않아도 요즘 ‘글루텐프리’ 파스타 광고를 본 기억이 납니다. 글루텐이 들어 있지 않아 건강한 파스타라고 합니다.글루텐은 밀가루에 들어 있는 단백질입니다. 반죽을 ... ...
‘숙면이 보약’, 잠잘 때 뇌 속 독성물질 ‘대청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핵심 목적이 독성이 있는 대사 부산물을 청소하기 위한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화제
다. 미국 로체스터대 의학센터 신경외과 마이켄 네더가드 교수팀은 쥐의 뇌를 관찰해 잠을 자는 동안 독성 물질을 제거하는 뇌 활동이 확대된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ʼ 10월 18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오럴섹스가 있다. 10월 중순 개봉한 영화 ‘러브레이스’는 1970년대 미국에서 개봉해 큰
화제
를 일으킨 포르노 영화 ‘딥스로트’에 출연해 유명해진 배우 린다 러브레이스(아만드 사이프리드 분)를 다룬다. 딥스로트는 포르노 영화지만 미국 현대 대중 문화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 영화의 제목은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출신이 공대 교수가 된 것이 이상하다고요? 사실 처음 교수 임용될 때
화제
가 됐던 것도 사실입니다. 그렇지만 기초과학인 화학을 폭넓게 공부하다보니 공학 분야에서도 솜씨를 발휘하게 된 것이죠. 제가 하는 나노기술은 기초과학과 공학을 연결하는 분야입니다. 앞으로는 여러 분야가 융합돼 ... ...
[수학뉴스] 수학 암호 풀면, 국가 최고 정보요원 된다!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지난해에도 GCHQ는 이와 비슷한 암호를 인터넷에 공개해서 약 320만 명이 참여하는 등 큰
화제
를 모았다. 하지만 당시 응모자 중 단 170명만이 이 문제를 해결했다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긴 길을 왔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지난해 과학계 최고의
화제
였던 ‘힉스 입자’와 관련된 이론물리학자 두 명에게 돌아갔다. 벨기에 브뤼셀자유대 프랑수아 앙글레르 교수와 영국 에든버러대 피터 힉스 교수는 ‘인류가 만든 가장 정교한 이론’이라고 불리는 ‘입자물리학의 표준모형’의 ... ...
오직 근육의 힘으로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깜찍한 응원 퍼포먼스가 더해져 대회장에는 축제 분위기가 물씬 풍겼다.가장
화제
가 됐던 것은 한서대의 ‘7기통 엔진’ 춤. 자신들이 손수 만든 항공기가 하늘 높이 솟기를 바라는 듯, 7명의 여학생들이 번갈아 땅을 구르며 ‘통통통’ 튀어 올랐다.일반인 500여 명도 활주로와 관중석에서 축제를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끝에 동물성 마취제가 혈액 속에 남아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사건은 당시 엄청나게
화제
를 낳기도 했다. 그러나 유력한 용의자는 법원에서 무혐의로 풀려났다. 정 원장은 “범인을 확정하는 것은 법원의 판단”이라며 “과학자로서 동물성 마취제를 찾아낸 것은 잘 했지만 그 마취제가 죽음의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