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설
건축
형성
확립
건립
설계
배제
뉴스
"
구축
"(으)로 총 4,844건 검색되었습니다.
쉽고 빠르게 원자 편집해 약효 극대화…신약 발굴 패러다임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편집할 수 있게 되면서 제약 분야의 중요한 숙제였던 의약품 후보 물질의 라이브러리
구축
에 새로운 장을 열 것”이라고 말했다. 가시광선 조건에서 분자 가위를 이용한 단일 원자 편집 전략을 통해 퓨란을 피롤로 변환하는 원천 기술을 나타낸 이미지. KAIST 제공 - 10.1126/science.adq624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韓-글로벌 합성생물학 협력주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국제분쟁해결시스템연구회, 지식재산단체총연합회는 국제 지식재산(IP) 분쟁 해결시스템
구축
을 위한 세미나를 7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개최했다. 제1 세션에서는 이혜진 특허법원 고법판사가 국제 특허분쟁에서 해외법원이 선택되고 우리 법원이 소외되는 문제를 지적하고 개선이 필요하다고 ... ...
R&D 예타 대체 새 심사제도 입법예고…내달 18일까지 의견수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의견을 적극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법 개정을 통해 심사제도가 시행되면
구축
형 연구개발사업에 대해 재정 건전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사업 특성을 반영한 체계적인 전주기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동물do감] 최대 9만평 규모 군집 이루는 15cm 작은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보금자리를 만든다. 피카렐 알의 크기는 0.5mm 크기로 작기 때문에 방어 체계를 잘
구축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팀이 수심 35~50m 아래 해저에서 멸종 위기에 놓인 전자리상어를 찾는 과정에서 피카렐이 거대한 규모의 군집을 이룬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했다. 연구팀은 각 2.2~28ha(헥타르)에 ... ...
[과기원NOW] 로봇 제어 최적화 알고리즘에 인간이 필요하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12곳을 선발했다고 4일 밝혔다. 글로벌 스튜디오는 올해 7월 KAIST가 글로벌 창업생태계를
구축
·주도하기 위한 첫 시도다. KAIST는 교내 창업기업과 대전 소재 스타트업 중 기술력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입주기업을 선발했다. 선발된 기업은 대전 월평동에 있는 글로벌 ... ...
[과기원NOW] KAIST, 국내 대학 최초 표준특허 수입 100억 돌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열린 이번 행사는 는 국외 네트워크
구축
에 앞서 각국 대사관을 통해 대학의 교육·연구 역량과 성과를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 포스텍은 소통과 공론 연구소가 국내 이공계 학생들에게 상상력을 펼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SF 소설 공모전인 ... ...
바이오 기술 개발 6개국 공동연구에 한국 5개 팀 선정…5년 간 250억원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공동체의 역량을 강화하며 글로벌 협력의 기반을 다지는 우수한 국제연구센터를
구축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유장관은 “기술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첨단바이오 분야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선도국과의 협력이 필수”라며“이번 글로벌 공동연구 프로그램에 ... ...
"우주개발 국제협력 구심점·산학 협력 플랫폼 자처"…KAIST 우주연구원 개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소개했다. 대형 연구사업을 추진하면서 필요한 인력과 시설도 적극 확충한다. 2028년
구축
될 예정인 우주기술혁신인재양성센터는 30명의 신규 인력을 확보할 예정이며 그 외 산하 연구소는 총 70여명의 참여 교수와 200여명의 대학원생 인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한 원장은 이미 해외에서는 ... ...
500원 동전 크기 '마찰 발전기'로 전구 100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제공 연구팀은 발생한 전기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소자를 개발하고 시스템
구축
이 되면 2030년경 실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팀은 "기존 마찰전기 발전소자의 한계점인 낮은 출력전류와 내구성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영국 화학연 원장은 "웨어러블 ... ...
"핵심은 연구 속도"…10년 전 바이오파운드리
구축
나선 일본의 조언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교수는 "인구 감소 시대에 바이오파운드리는 반드시 필요하다"라면서 바이오파운드리
구축
에 한국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저출산으로 인구가 감소하면 바이오 생산 과정에서 필요한 전문 인력이 점점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바이오파운드리가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