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도
감성
섬세
민감
뉴스
"
민감도
"(으)로 총 1,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변 유래 순환 RNA 이용해 '전립선암'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있는 액체 생검 기술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고농도의 핵산을 분석해 암 진단의
민감도
를 높일 수 있다”며 “암 환자의 예후 및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하는 데도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에서 실제 임상에 적용할 수 있도록 더 많은 환자의 소변을 사용해 ... ...
아침마다 뻣뻣, 퉁퉁 부은 손…겨울철 류마티스관절염 관리법은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증가할 수 있는데 이런 감정변화는 줄어든 운동량이나 활동량과 함께 통증에 대한
민감도
를 증가시켜 상대적으로 더 쉽게 통증을 느낄 수 있는 상태가 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폐경기 변화, 초기 류마티스 관절염 증상 유사 류마티스 관절염은 초기 증상이 폐경기에 나타나는 발열이나 ... ...
호흡 속 가스 분석해 질병 진단하는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100만분의 1) 수준으로 사람의 호흡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센서의
민감도
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또 사람의 호흡에는 고농도의 수분이 포함돼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백종 이상의 가스들이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에 호기 분석 정확도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 ...
'더 글로리' 전재준이 빨간 렌즈 끼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3.01.14
저하돼 특정 색을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질환이다. 색상을 구분하는 원뿔세포의
민감도
가 떨어지는 경우에 나타난다. 인식이 어려운 색깔에 따라 빨간색과 초록색을 구분하지 못하는 적록색약, 파란색과 노란색을 구분 못하는 황록색약, 모든 색에 대한 감각이 둔한 전색약 등으로 나뉜다. ... ...
美 정부에 신고된 UFO 510건..."미확인 사례도 다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1.13
게티이미지뱅크 2004년부터 현재까지 미국 정부에 접수된 미확인비행현상(UAP)이 510건인 것으로 확인됐다. 흔히 '미확인 비행물체(UFO)'로 불리는 UAP는 통상 사례 중 절반 가량이 풍선이나 쓰레기 등으로 판명되나 여전히 확인되지 않은 사례들도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 정부는 외계인보다는 러시 ... ...
'다누리'에 실린 NASA 카메라 촬영 달 남극 사진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2
한국 달 탐사선 다누리에 탑재된 NASA 쉐도우캠이 촬영한 달 남극의 영구음영지역. 항우연 제공 한국형 달 궤도선 '다누리'에 실린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섀도캠이 달 남극의 영구음영지역을 촬영한 사진이 공개됐다. 섀도캠을 제작한 미국 애리조나주립대는 섀도캠 홈페이지(http://shadowcam.sese.asu ... ...
지구온난화 견디고 식량위기 해결할 밀 개발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밀을 수확하는 모습. 연합뉴스 제공 수십년에 걸친 밀 게놈 구조 분석 끝에 온도에 민감한 핵심 유전자를 발견, 유전자 교정으로 열과 가뭄에 강한 밀 품종이 개발됐다. 지구온난화로 생산이 위협받던 상황이어서 식량 위기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유전자 ... ...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23.01.07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에서 연구원들이 주사 터널링 현장을 조작하고 있다.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 제공 건물 옆 주차장에 차가 드나들며 생기는 진동을 느껴본 사람은 아마 거의 없을 것이다. 대부분 변기 물을 내릴 때 발생하는 진동도 느끼지 못한다. 그런데 사람은 느낄 수 없는 미세한 진동조 ... ...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운전 5년간 연평균 50일에 그쳐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대전 유성구 한국원자력연구원에 설치된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원자력연 제공 국내 유일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가 2018년 재가동 이후 지난 5년간 운영기간이 250여 일로 연 평균 가동일이 약 50일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핵분열 반응으로 나오는 중성자를 활용한 핵반응 연구는 물론 하 ... ...
습관적 SNS 확인하는 청소년, 타인 반응 더 의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SNS를 습관적으로 확인하는 청소년의 뇌는 사회적 피드백에 반응하는 영역이 더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글로벌 통계사이트 스타티스타에 따르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인스타그램' 사용자 10명 중 1명은 13~17세 청소년이다. 한국도 청소년 대부분이 SNS 이용자다. 한국청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