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스
케이스
궤
빡스
나무궤짝
box
함
뉴스
"
상자
"(으)로 총 451건 검색되었습니다.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31
표면 연마하기, 금속 막 입히기 등 반사경을 만드는 모든 과정을 볼 수 있었지요. 커다란
상자
처럼 생긴 기계로는 유리로 된 틀을 깎아서 둥글고 얇은 반사경의 모양을 만들고 있었어요. 또 한쪽에서는 마치 크레인이 달린 원반처럼 생긴 기계로 유리 앞쪽이 곡면을 이루게 매끈하게 다듬고 ... ...
30년 만에 풀린 ‘철사 단백질’ 의 비밀
2015.03.27
세포는 신경전달물질이나 단백질 등을 옮길 때 자루 모양의 지질막인 ‘소포(小胞)’를
상자
로 쓴다. 소포에 담겨 온 물질이 다른 세포로 들어갈 때는 소포의 막과 세포막이 합쳐지면서 자연스럽게 소포 속 물질이 세포 안으로 침투한다. 이때 소포막과 세포막을 합치는 역할은 ‘스네어’라는 ...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2015.02.22
방법을 제안한다. ● 두 입자는 우주적으로 얽혀 있다 벨의 아이디어는 간단하다.
상자
속에 있는 두 개의 알약을 다시 생각해보자. 국소적 실재성이 있다는 말은 알약을 골라 멀리 가져가기 전에 색깔을 이미 안다는 것이다. 사실 벨이 생각한 것은 스핀이라 불리는 한층 복잡한 것이다. 알약이 ... ...
2020년 달 표면 누빌 한국형 로버 첫 공개
2015.02.17
우주로봇을 말한다. 한국형 달 탐사용 로버는 가로 50cm, 세로 70cm, 몸체 높이 25cm로 라면
상자
와 비슷한 크기다. 몸통이 2개 마디로 분리돼 구불구불 움직일 수 있고 30도에 이르는 가파른 경사면도 탐사가 가능해 달의 험난한 지형에서도 지면에 밀착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최대 이동속도는 초속 ... ...
3D 프린팅 넘어 ‘4D 프린팅’ 온다
2015.02.13
우드 교수팀에 합류하면서 4D 프린팅 연구에 푹 빠졌고, 열을 가하면 스스로 접히는
상자
와 학 등을 개발했다. 이 학회에서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다니엘라 루스 교수팀도 열을 가하면 스스로 조립되는 토끼를 내놨다. 이 연구를 주도한 사람도 한국인 과학자인 안병권 연구원이다. 그는 루스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2015.01.11
작동시킨다. 검출기가 작동되면 독극물이 든 병이 깨진다. 이 독극물 병은 고양이와 함께
상자
에 들어있다. 원자는 양자역학적으로 행동할 수 있으니 A와 B의 중첩상태, 그러니까 A이면서 동시에 B일 수 있다. 따라서 독약병도 깨져있으면서 동시에 깨지지 않을 수 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같이 ... ...
알츠하이머병, 눈으로 직접 보니 원인 알겠네
2014.12.30
자성을 띠는 금속이온을 관측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전자
상자
기공명법’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이 방법을 통해 알츠하이머병에 걸리지 않는 쥐에서는 베타아밀로이드가 구리 이온과 결합하는 과정에 섬유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인간의 ... ...
“땅콩 리턴? 사실은 내가 했다.”
2014.12.28
8. 오호, 왠지 귀엽게 생겼어. 어떻게 그런 괴력을 발휘하는 거지? 납작한
상자
에 큰 바퀴가 달린 모양이 꼭 레고 장난감 같죠? airport-technology.com 제공 weyer.aero 제공 하지만 몸값이 비싸요. 10억 원에 육박하는 친구도 있어요. 대형 항공기를 밀어내는 토잉카는 자체 무게가 45톤이나 ... ...
“여기는 남극 장보고기지, 우주의 흔적을 찾고 있습니다”
2014.12.05
떨어지는 우주먼지는 6000t에 이른다. 우주먼지를 찾기 위해 남극의 깨끗한 눈을
상자
에 담고 있다. - 극지연구소 제공 지난해 우주먼지 찾기에 처음 도전한 탐사대는 눈 53kg에서 우주먼지 6개를 얻었다. 남극에서 눈 53kg을 채집한 뒤 연구소로 가지고 와 격자 간격이 10μm 종이필터 위에서 ... ...
뉴욕시 거리 쓰레기 처리 일등공신은 개미?
2014.12.02
특히 거리에 사는 곤충의 종류가 공원에 사는 곤충보다 적은데도 거리에 놓아둔
상자
속 음식물이 공원에서보다 2~3배 더 많이 사라졌다. 이는 종 다양성이 풍부한 곳에서 더 많은 음식물이 소비될 것이라는 연구진의 가정과는 다른 결과다. 연구진은 음식물을 많이 먹는 ‘도로 개미’라는 종이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