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신
물귀신
호신
윤리학
접수
수신 상태
강의신
뉴스
"
수신
"(으)로 총 459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으로 신호 주고 받는 ‘광통신 컴퓨터’ 나온다
2015.07.08
6월 10일자에 게재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제작한 벌크 실리콘 단일칩 광송
수신
기 프로토 타입. 광케이블을 이용해 통신을 하고 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 ...
커피전문점 들어서면 스마트폰이 자동으로 충전
2015.07.07
발생시키는 기술을 만들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어떤 방향에서도 전력을 송·
수신
할 수 있다. 실험 결과 1㎡에 평면형 송신기 1대를 설치하면 스마트폰에 1와트(W)씩 30대, 노트북에 2.4W씩 5대에 무선전력을 공급할 수 있었다. 또 독자 개발한 자기장 차폐기술을 적용해 자기장 수치를 국제 자기장 ... ...
7월 1일, 내일 하루는 24시간 1초
2015.06.30
59초에서 오전 8시 59분 60초가 새롭게 생기게 된다. 휴대전화에 내장된 시계처럼 표준시를
수신
해 표시하는 전자시계는 자동 적용되지만 다른 시계들은 1초씩 늦도록 조작해야 한다. 지금까지 윤초가 시행된 것은 총 26회였으며 가장 최근에 적용된 것은 2012년 7월 1일이었다. ... ...
서울대 우주전문대학원 생긴다
2015.06.29
미국식(GPS)과 유럽식(Galileo) 위성항법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저궤도 위성용 복합
수신
기 인증모델(QM) 개발 과제 등이 선정됐다. 한국천문연구원은 달 자원탐사용 탑재체에 필요한 핵심기술 개발에 나선다. 우주핵심부품 국산화를 통해 우주개발 자립도를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이 외에도 ... ...
커브볼 치기 어려운 이유를 아십니까
2015.06.24
위치를 인식할 때 생기는 오차를 보완하는 방법과 매우 유사하다. 내비게이션은 GPS 신호
수신
이 어려운 경우에 자동차가 주행한 경로와 최근에 받은 GPS 신호를 조합해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연구진은 뇌에 물체를 추적하는 시스템이 있다면 내비게이션이 부정확한 GPS 신호를 해석하는 것과 ... ...
초소형 휴대전화 기지국 ‘스몰셀’ 국산화 성공
2015.06.22
AP처럼 설치해 사용하며 1㎞까지 전파를 보내줘 수입 제품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 전파
수신
감도가 낮은 지역에서 인터넷을 끊김 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해주며, 속도가 느려지는 지역에선 기지국의 부담도 덜 수 있다. ETRI는 올 연말까지 스몰셀 기지국 시험을 완료하고 관련기술을 상용화 ... ...
‘메르스 한국’ 세계가 보는데… 출국자 발열 검사도 안해
동아일보
l
2015.06.19
전원을 대상으로 체온 감지를 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재차 요청했지만 검역소 측은 “
수신
했다”고만 알리고 여전히 묵묵부답인 상태다. 검역소는 현재 입국자 발열 검사는 하고 있지만 출국자 발열 검사는 손을 놓고 있다. 검역소 상위 기관인 질병관리본부는 “출국장이 여러 곳에 분포돼 있는 ... ...
LED만 환하게 켜 두면 인터넷이 저절로
2015.05.19
대형 경기장내에서 통신이 어려운 경우에도 LED 조명을 이용해 관련 정보를 쉽게
수신
할 수도 있다. LED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초당 300만 번 이상 깜빡거린다. 이 파장을 조정하면 사람의 눈에 보이진 않지만 빛이 도달하는 곳에 있는 모든 장치는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만들 수 있다. 조명 ... ...
태평양 한 복판에서 비행기 항로 찾는 법 알아냈다
2015.05.17
항공기가 운행하는 동안 계속 발신되지만 육지에서 멀어지면 공항 등 관제국에서 전파를
수신
할 방법이 없어 궤도를 찾기 어려웠다. 이번 지도는 항공 사고를 막는 효과도 있을 걸로 보인다. 레이더 전파가 도달하는 곳은 비행 관제사의 지시에 따라 비행기 사이 거리를 5.5∼9km로 유지하지만, 먼 ... ...
태블릿PC 위에 손가락만 갖다 대면 로봇이 스르륵
2015.05.12
두 대 이상의 작은 로봇이 협력해 공동 임무를 수행하는 로봇이다. 로봇마다 무선
수신
기와 센서가 내장돼 있어 다른 로봇과 함께 무리를 지어 임무를 수행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수 천~수 만 개에 이르는 로봇을 개별적으로 프로그래밍해 어떤 지역으로 이동시킬지 결정하는 일은 불가능했다.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