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내방
인사이드
안
알맹이
안면
뉴스
"
안쪽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사진관] 인생은 누구나 비슷한 길을 걸어간다. 결국엔 늙어서 지난날을 추억하는 것일 뿐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08
있다면 새로운 현상들을 관찰할 수 있지 않을까? 이를 위해 생후 3개월 된 생쥐의 뇌 가장
안쪽
에 위치한 시상하부를 홍채 위에 이식하고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망막을 생물학적 유리창으로 사용해 뇌 조직을 살아있는 상태로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빨간색 부분은 신생혈관 형성을 ... ...
[과학사진관]생명의 뿌리에 거름 주기 전에, 나는 노래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18.05.02
말 혈관의 발달은 기관의 발달과 성숙에 필수 요소다. 뇌의 혈관은 가장 바깥 면에서
안쪽
으로 자란다. 마치 식물이 토양에 뻗어 내리는 뿌리와 비슷하다. 동시에 뇌혈관은 다른 장기의 혈관보다 더 단단한 장벽을 형성한다. 뇌혈관의 발달과 뇌장벽의 형성은 뇌의 성숙을 촉진하면서 동시에 뇌를 ... ...
[과학사진관] 나무는 겨울에도 자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9
두께가 연평균 강수량과 관련있음을 처음으로 밝혔다. 나무의 성장은 껍질 바로
안쪽
의 몇몇 세포에서 일어난다. 열대 지역의 나무들을 제외한 대다수의 나무 세포들은 계절마다 성장률이 달라 밀도 변화가 나이테로 발현된다. 기후물리 연구단의 연구원들은 나이테 정보를 이용해 과거 기후와 ... ...
[출동! 기자단] 가제트 로봇 팔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4.13
어린이과학동아 8호 제공 ● 17.5배 길어지는 가제트 로봇 팔의 비밀은? 연구실
안쪽
에는 영상 속에서 보았던 드론이 있었어요. 로봇 팔을 개발한 김석준 연구원이 버튼을 누르자 로봇 팔이 아래쪽으로 길게 늘어났지요. 기자단 친구들은 수 초만에 어른 팔 길이만큼 늘어난 로봇 팔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멀쩡한 건 표피 맨
안쪽
의 기저층에서 줄기세포가 계속 표피세포를 만들기 때문이다. 즉
안쪽
의 표피세포가 위로 밀려 올라오면서 각질화돼 결국은 떨어져 나갈 때까지 한 달 정도 걸린다. 따라서 표피에 문신을 새긴다면 길어야 한 달이다. 물론 이런 일은 불가능하거나 무척 어려운데 표피의 ... ...
물리학으로 본 정현의 '테니스 신드롬'
과학동아
l
2018.03.13
즉, 물체가 계속 회전하려는 성질로 나타낸다. 스윙 무게는 보통 손잡이 끝에서 약 10cm
안쪽
으로 일반적으로 사람이 손으로 잡는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관성으로 표시한다. 최대 스윙 스피드는 라켓의 '스윙 무게'가 결정한다. 이를 '회전관성'이라 한다. - 사진 출처 뉴시스 (대한테니스협회 ... ...
우버는 왜 자율주행차를 연구할까
2018.03.09
더해 모두 11대의 카메라가 컴퓨터 비전 기술로 주변을 빈틈없이 읽습니다. 그리고 범퍼
안쪽
에 레이저 센서와 초음파 센서가 들어갑니다. 중요한 것은 이 하드웨어 센서들이 만들어내는 정보를 바탕으로 도로를 안전하게 달릴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기술입니다. 에릭 메이호퍼 우버 ATG 대표는 ... ...
X선 영상, 피카소 그림 속 ‘비밀’ 꿰뚫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02
‘매크로 X선 형광 분석법(MA-XRF)’을 활용해 추가 분석했다. MA-XRF를 이용하면 그림
안쪽
에 있는 물감 성분과 종류, 색상 등을 알 수 있다. 성분별로 영상을 분석한 결과 철과 크롬 성분을 검출한 영상에서는 기존의 웅크린 거지 모습이 선명하게 나타났다. 철 성분이 많은 프러시안 블루 색상과 ... ...
깃털 닿는 느낌도 생생히! 피부 닮은 정교한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2.27
튜브 모양의 단백질인 ‘이온채널’의 구조를 응용한 센서를 개발했다. 이온채널은 튜브
안쪽
공간을 이용해 물질(이온)을 통과시키는 단백질로, 물질이 통과할 때 일종의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신경을 통해 전달해 감각을 느끼게 한다. 이 과정은 생화학 반응을 이용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따로 ... ...
[단독] 보호구 없이 실험하던 KAIST 학생, 플라스크 터져 안면부 부상…실험실 사고 76%는 ‘안전 불감증’ 탓
동아사이언스
l
2018.02.26
유리 플라스크 속 기체가 순식간에 팽창하면서 플라스크가 산산조각 났고, 후드
안쪽
의 다른 실험기구들이 함께 깨졌다. 사고 학생은 실험실에 함께 있던 다른 학생들의 119 신고로 인근 대학병원 응급실로 긴급 수송돼 열상과 출혈에 대한 치료를 받은 뒤 다음날 새벽 3시경 퇴원했다.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