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92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존율 낮은 전이암 촉진하는 단백질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자연살해세포의 기능이 활성화되고 암 전이가 효과적으로
억제
될 뿐만 아니라 면역관문
억제
제의 치료효과도 더욱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HPK1 조절이 실제 전이암 환자 치료에 유망한 표적임을 확인했다. 연구를 이끈 김헌식 교수는 “고령화와 조기검진 등으로 암 경험자가 늘어나면서 ... ...
중증 뇌전증 환자에 세계 최초 뇌내 이식술…"발작 80%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이식술을 받았다. 게티이미지뱅크 심한 뇌전증을 앓고 있는 영국의 10대 환자가 발작을
억제
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뇌내 이식 수술을 받았다. 뇌 깊숙한 곳까지 전기신호를 보내는 신경자극기를 이식받은 환자는 낮에 발생하는 발작 증상이 80% 줄었다. 25일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 ...
손가락 땀에서 항생제 검출…"내성균 관리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등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환자에 따라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다. 균의 성장이나 발육을
억제
하고 사멸하는 항생제는 비교적 단기간에 치료 효과를 낼 수 있지만 장기간 복용하면 내성균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많은 종류의 항생제 영향을 받지 않고 균이 증식하게 하는 항생제 내성균은 ... ...
[과기원NOW] 신경세포 연결의 숨은 지휘자, MDGA 단백질의 비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MDGA 단백질 기능을 배제한 정교한 쥐 모델을 활용했다. 실험 결과 MDGA1 단백질이 삭제되면
억제
성 시냅스의 숫자와 강도가 증가하고 MDGA2 단백질이 삭제되면 흥분성 시냅스의 특성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고재원 교수는 "논란이 많았던 MDGA 단백질 기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논문"이라며 ... ...
KIST, 백신 안전성 높이는 전달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유도해 독성을 줄였다. 이때 백신이 세포 내 전달되는 효율을 낮추거나 면역 반응 발현을
억제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온화 지질 대신 당 성분의 지질인 '트레할로스'를 이용했다. 설탕을 대체하는 감미료로 알려진 트레할로스는 식물과 곤충에서 발견되는 당 성분이다. 트레할로스는 ... ...
WHO, 인기 비만치료제 ‘오젬픽’ 위조품 첫 공식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4.06.21
경보를 발령한다고 20일(현지시간) 밝혔다. 오젬픽은 인슐린 분비 촉진과 식욕
억제
에 도움이 되는 호르몬 GLP-1(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의 유사체 '세마글루타이드' 계열의 주사제다. 비만 치료제 '위고비'도 세마글루타이드 계열 주사제다. WHO는 이 주사제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 ...
면역항암치료 효과 높이는 '원투펀치'
동아사이언스
l
2024.06.21
투여하고 관찰한 결과 참가자 중 46%는 암의 진행이 중단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면역관문
억제
제를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호지킨병 환자에 효과를 내는 비율은 20% 미만이다. 연구를 이끈 테이자로 교수는 "이번 연구에선 두 약을 함께 투여했을 때 환자들이 명확한 이익을 얻는 것을 확인했다"며 ... ...
AI 활용 혈액 검사로 7년 먼저 파킨슨병 발병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6.19
등에 문제가 생긴다. 현재 파킨슨병을 치료할 방법은 없어 발병을 늦추거나 증상을
억제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연구팀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해 파킨슨병 환자가 지닌 8가지 혈액 단백질의 특정 패턴을 찾았다. 그런 다음 파킨슨병 같은 뇌 질환의 위험이 있는 환자 72명의 혈액에서 ... ...
신경병증성 치료 실마리 '별세포'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9
모습을 시각화하는 데 성공했다. 별세포의 발현에 관여하는 효소를 활용해 가바 생성을
억제
했더니 척수가 정상화되는 모습을 관찰했다. 남 연구원은 “별세포의 가바에 의한 지속성 흥분이 척수 신경 과민성의 원인이자 신경병증성 통증의 핵심 기전”이라며“이러한 결과는 신경병증성 ... ...
남극 미생물에서 '항생제 무력화하는 효소'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종인 스테노트로포모나스(학명 Stenotrophomonas sp.)에서 페니실린 등 다수의 항생제를
억제
하는 효소를 찾아내고 연구결과를 4월 국제학술지 '항균제 국제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Antimicrobial Agents)'에 공개했다고 14일 밝혔다. 항생제 내성 기작에 관한 연구는 내성을 극복한 신규 항생제 개발을 위한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