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뉴스
"
외부
"(으)로 총 3,432건 검색되었습니다.
액체 방울 제조 기술로 '인공세포'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플랫폼을 만들었다“며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연구팀은 향후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
외부
자극에 능동적으로 막 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인공세포 구조체를 구현할 수 있길 바란다고도 덧붙였다 ... ...
실험실 바닥에 갈라진 틈이…양자컴 '큐비트' 예술이 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실험 장비를 다루려면 주의력과 집중력이 필요하다. 장비 내부에 손가락이 닿거나
외부
를 살짝 건드리기만 해도 실험 성패가 엇갈릴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연구단은 폐쇄적인 환경을 유지할 것 같지만 오히려 대중에게 공간을 오픈했다.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연구단장은 “양자 분야는 굉장히 ... ...
푹푹 찌는 여름, 수분 섭취 적정해야 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줄어든다. 체온을 떨어트리기 위해 혈관을 확장하고 다량의 땀을 통해 수분과 전해질을
외부
로 배출하기 때문이다. 수분량이 줄면 자연스럽게 혈액의 양도 줄고 심장이나 뇌로 공급되는 혈류도 약해진다. 우종신 경희대병원 심장혈관센터 교수는 “어지럼증을 느낀다면 단순히 ‘더위를 ... ...
강유전체 분극 분포 최초 규명…초고밀도 메모리 소자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강유전체 메모리가 차세대 메모리로 제안됐다. 강유전체 메모리는
외부
전원이 없어도 분극 상태를 유지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이면서도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이다. 강유전체의 크기가 매우 작아지면 분극을 유지하기 어려워 미세 공정에 한계가 있다. 20년 전 ... ...
의료계 "국민 피로감 죄송"…의협 회장, 촛불집회 참석 촉구
동아사이언스
l
2024.05.29
대한의사협회는 이날 30일 촛불집회에 참석해줄 것을 촉구했다. 지난 21일 이후
외부
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던 임현택 의협회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거의 열흘 가까이 컨디션 난조로 잠자코 있었더니 다들 패배주의에, 지레 실망에 난리도 아니다“라며 ”내가 가장 선두에 설테니 다들 정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외직구 논란…암, 절반 이상은 원인도 몰라
2024.05.29
100% 임의 돌연변이나 유전요인 때문이라고, 예방할 수 없다고 봐도 영국 암 발생의 80%는
외부
요인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암 발생의 원인을 규명해 예방책을 찾는 게 암 발생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이다. 미국의 환경저널리스트 올든 위커는 온갖 화학물질로 범벅이 ... ...
탄소보다 강력한 온실가스 '아산화질소', 맑은 공기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8
촉매를 적용했다. 촉매 내부에는 열과 힘에 잘 견디는 알루미나 지지체를 활용했고 촉매
외부
의 둥근 표면을 따라 구리 촉매를 고르게 퍼트려 아산화질소에 대한 반응도를 높이고 분해 성능을 향상시켰다. 구리 촉매는 현재 분해 촉매로 사용되고 있는 루테늄보다 훨씬 저렴하며 우수한 ... ...
[과기원NOW] GIST, 3D 배경 분위기 자동 생성하는 'AI 디자이너'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고분자 보호막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배터리는 온도 변화와
외부
충격에 취약하단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체 전해질 기반 전고체 배터리가 떠오르고 있는데 전극 활물질과 전해질이 맞닿은 계면이 불안정하다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 ...
리튬이온전지 성능 '업'…흑연 대체 실리콘 음극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리튬이온전지를 충전할 때 양극에서 나오는 리튬이온을 음극에 저장했다가 방출하면서
외부
회로를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한다. 현재 흑연이 리튬이온전지 음극재로 가장 활발히 쓰인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커지면서 배터리 기술 경쟁이 치열해져 흑연 용량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를 고용량 ... ...
[과학사극장] 파블로프는 개 실험에 종소리를 쓰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24.05.25
잘못 알려지면서 파블로프가 종소리를 사용했다는 통념이 일반화됐다. 왼쪽부터 1
외부
의 불필요한 자극을 차단하기 위해 두꺼운 콘크리트를 둘러싼 이반 파블로프의 연구실. 안쪽에는 개가 실험을 기다리고 있다, 러시아 파블로프 박물관에 전시된 파블로프의 실험체 개 박제. 타액의 양을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