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기인식"(으)로 총 4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치 없는 사람, 알고보니 뇌가…동아사이언스 l2013.09.27
- 뇌 측두엽의 방추상회 영역에 손상을 입은 사람에겐 가족이나 친구의 얼굴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안면실인증’이 생길 수 있다. 우리 주변에는 타인의 얼굴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표정을 읽지 못하는 사람이 간혹 있다. 이들은 친한 사람을 기억하지 못하기도 하고, 심지어 화나거나 슬픈 ... ...
- 꽃잎 옮기는 가위개미, 꽃잎모양이 트로피 처럼…동아닷컴 l2013.09.23
- 꽃잎 옮기는 가위개미 꽃잎 옮기는 가위개미를 포착한 사진이 화제다. 사진작가 벤스 메이트는 위 사진을 영국에서 열린 있는 'ZSL 동물사진 경연대회'에 '작은 개미를 위한 거대한 트로피'란 제목으로 출품, 성인부문 우승을 차지했다. 사진 속의 꽃잎 옮기는 가위개미의 정식명칭은 ‘가위개미’ ... ...
- 보잘 것 없는 장난감이 어떻게 역사를?동아사이언스 l2013.09.22
- 정밀기계인 '시계'는 유럽이 인류문명의 왕좌를 차지하게 만들어준 촉매제였다. 그러나 그 핵심에는 '사람'이 있었다. - 교보문고 제공 “이탈리아는 전쟁과 살육이 끊이지 않았지만 르네상스를 꽃피웠네. 하지만 500년간 평화롭던 스위스는 뭘 만들었나? 고작 뻐꾸기 시계 아닌가.” 캐롤 리드 ... ...
- [청년드림/도시락 토크 CEO와 점심을] 박진수 LG화학 사장동아일보 l2013.09.12
- [동아일보] “야구 팀배팅 하듯 동료위해 헌신하라” “지방 사람들은 기업들이 수도권 대학 출신 입사 지원자에게 어드밴티지를 주는 반면 지방대 출신에게는 좋지 않은 인식을 갖고 있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LG화학은 어떤지 궁금합니다.”(이지유 씨·26·부산대 고분자신소재공학과 졸업) ... ...
- “부부, 사랑·건강 잡으려면 침대 따로 써야”동아일보 l2013.08.12
- [동아일보] 부부가 한 침대를 안 쓴다는 이유로 '부부싸움 했네' '원래 사이가 안 좋나 보다'라며 무조건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봐서는 안 될 듯하다. 그 부부는 더욱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해 '현명한' 선택을 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부부가 침대를 따로 쓰는 게 원만한 부부관계와 각자의 건강을 ... ...
- 인간이 뻔뻔하게 자기 합리화를 할 수 있는 이유는?동아사이언스 l2013.08.04
- ◆우리는 왜 자신을 속이도록 진화했을까(로버트 트리버스 著, 살림출판사 刊) 인간의 감각기관은 현실을 왜곡없이 인식할 수 있도록 진화해 왔다. 건강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실제 일어나고 있는 일을 그대로 보고 들을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보고 들은 정보를 뇌가 ‘인식’하는 과정에선 ... ...
- “北해킹 이제 시작… 숨겨놓은 패 많아 악성코드에 모르고 당하는게 더 위험”동아일보 l2013.08.01
- [동아일보] ■ 국내 최고 화이트해커 박찬암씨 경고 “국내 인터넷망 덩치만 클뿐 보안 허술, 대기업들도 내부망 취약한 경우 허다 北공격력 상상 이상… 정부대처 안일” “북한의 해커들은 아직 자기 패를 다 까지 않았다고 봐요. 이미 국내 인터넷망에 지뢰처럼 숨겨 놓은 악성코드들이 수없이 ... ...
- [신나는 공부/꿈을 만나다]신용현 이-버드 국제특허법률사무소 변리사 · 이문정 MBC 기상캐스터동아일보 l2013.07.23
- [동아일보] ■“변리사, 법과 글로 기술 상표 보호… 외국어 능력 기르세요” 고교생이 만난 변리사 최근 뉴스에서 특허, 디자인, 상표 등 지식재산권에 관한 이슈가 자주 등장한다. 둥근 모서리를 가진 사각형의 스마트폰 디자인을 두고 삼성전자와 애플이 특허소송을 치르는가 하면, 미국 예일대 ... ...
- [신나는 공부]미국 경영대학 진학?… “리더십과 어학실력이 중요”동아일보 l2013.07.23
- [동아일보] ‘Real Aspiration 2013’ 현장 최근 글로벌 기업으로의 취업이 확대되면서 미국 등 해외대학의 경영학석사과정(MBA)으로 진학하려는 국내 대학생과 경제·경영계열 학사과정(비즈니스스쿨)에 진학하려는 고교생이 늘어나는 추세다. 하지만 해외 유명 비즈니스스쿨 진학이나 경제·경영분야의 ... ...
- KAIST 발명왕, 자석 이용한 스마트폰 입력장치 만들었다동아사이언스 l2013.07.10
- KAIST 문화기술대학원 제공 ‘KAIST 발명왕’이라고 불리는 황성재 씨(문화기술대학원 박사과정)가 자석을 이용한 신개념 스마트폰 입력장치를 개발해 화제가 되고 있다. KAIST는 황 씨가 안드리아 비안키 성균관대 소프트웨어학과 교수와 함께 스마트폰에 문자나 그림을 입력하는 기술을 개발 ... ...
이전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