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기줄"(으)로 총 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억 저장되는 위치 찾았다...해마 속 일부 시냅스에 기록동아사이언스 l2018.04.27
- 연구팀이 개발한 화학 탐지 기법으로 시냅스를 구분했다. 빨간색 수상돌기 위에 있는 노란색 지점이 기억저장 시냅스가 있는 곳이다. 왼쪽은 관측 이미지, 오른쪽은 3차원 모델링 이미지다. -사진 제공 서울대 국내 연구팀이 뇌에서 기억이 저장되는 구체적 위치를 세계 최초로 증명하는 데 성공했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2018.04.24
- 호흡이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 GIB 제공 호흡명상은 산란한 마음을 한 곳에 집중시키는 것이 특징이며 불안과 긴장을 이완시키는 것이 핵심입니다. - 장현갑, ‘호흡명상’ 프로그램에서 가만히 앉아있다가 천천히 걷기 시작하면 산소 소모량이 세 배로 늘어난다. 만일 호흡량이 빨리 늘어나지 ... ...
- KAIST, 값비싼 연료전지 백금 촉매 가격 찾추고 수명 높였다동아사이언스 l2018.04.17
- 내구성 평가 후의 촉매 입자 형상 변화(갈륨-백금니켈/탄소)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팀이 백금 사용량을 90% 줄이면서 수명은 2배 늘린 연료전지 촉매를 개발했다. 갈륨을 활용해 가격은 30% 줄이고, 성능은 12배 향상시켰다. 수소 전기차의 발전장치인 연료전지는 대기오염 물질을 배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2018.03.20
- 지난주 월요일(3월 12일) 동아일보 경제(B)섹션 1면 톱은 포스코와 삼성SDI 컨소시엄이 칠레에서 배터리 양극재를 생산하는 최종 사업자로 선정됐다는 기사였다. 칠레는 세계 리튬 매장량의 53%를 보유하고 있는 나라로 현지에서 채굴한 리튬으로 연간 3200t 규모의 양극재를 생산해 배터리를 만드는 삼 ... ...
- 네이버 인턴 대학생팀 개발 소셜로봇, 국제경연대회서 1위동아사이언스 l2018.03.19
- 이달 5일부터 4일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국제학회 ‘2018 인간로봇상호작용(HRI)’의 학생 디자인 경연대회 세션에서 거북이 로봇 ‘쉘리(Shelly)’로 1위를 차지한 네이버랩스 인턴연구원 팀. 왼쪽부터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최장호 씨, KAIST 기계공학과 구현진 씨,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도원경 씨 ... ...
- 블랙팬서, 비브라늄 슈트의 비밀과학동아 l2018.03.09
- 마블 최초로 흑인 슈퍼히어로가 주인공인 영화 ‘블랙팬서’가 최근 개봉했다. 특히 블랙팬서는 큰 비중을 차지하는 추격신을 부산에서 촬영해 한국 관객들에게 깨알 같은 볼거리를 선사한다. 블랙팬서는 아프리카를 비롯한 전 세계 흑인들의 인권을 지키기 위해 고뇌하는 와칸다 왕국의 왕이자 ... ...
- [뉴로섹시즘] ① 여자는 원래 그래! 순수의 종말2018.03.08
- 대나무숲의 만년 떡밥 첫 문장이 어렵다. 무슨 글을 쓰더라도 첫 문장이 제일 어렵다. 이 글을 누가 볼까, 나는 어떻게 평가받을까, 누가 욕하지 않을까하는 수많은 걱정이 오간다. 오늘도 밤에 별이 스치우듯이 글에 대한 걱정도 쌓여간다. 이 모든 걱정은 내 이름을 걸고 글을 쓰기 때문이다. ... ...
- 청소년이 늦잠을 자더라도 깨우지 말아야 하는 이유2018.03.06
- GIB 사진 제공 "우리 부모는 현명해져 이 사실(청소년의 늦잠은 의지의 문제가 아니라 생물적 명령이라는)을 받아들여 자녀가 늦잠을 자면 이를 보듬고 격려하고 칭찬해야 한다. 자녀가 수면 부족으로 뇌가 비정상적으로 발달하거나 정신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커지는 걸 바라지 않는다면 말이다." ... ...
- 게르마늄 팔찌 효과가 국제학술지에? 명백한 허위 광고, 밝혀진 효능 없어동아사이언스 l2018.02.03
- 현재 온라인에서 판매 중인 수많은 종류의 게르마늄 팔찌들. - Google 이미지 검색 제공 설 명절을 앞두고 건강 관련 제품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게르마늄 팔찌’는 최근 몇 달 사이 중장년층에서 ‘유행’이라고 할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게르마늄 팔찌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운동 ... ...
- 인간 두뇌 닮은 컴퓨터 가능할까… 美 연구진, 인공 시냅스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01.27
- 인간 뇌의 시냅스(위)와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연구진이 ‘조셉슨 접합’을 응용해 개발한 인공 시냅스(아래). 인공 시냅스에 자기장을 걸고 전류 펄스를 반복해 가하면, 자기장의 영향으로 나노입자들이 점점 한 방향으로 정렬되면서 전류의 역치가 낮아져 더 쉽게 전기 신호가 전달된다.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