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하
전가
하전
예하
성하
뉴스
"
전하
"(으)로 총 499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두께 소자 차곡차곡 덧대보니… 전류 효율 ‘쑥’
2016.09.12
3차원+2차원(왼쪽) 소재와 2차원+2차원 소재를 비교한 사진. - 재료연구소 제공 원자 하나 두께만큼 극도로 얇게 만든 ‘2차원 소재’로 반도체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지금까지 각종 전자기기를 만들던 입체반도체 회로(3차원 소재)에 비해 전기 효율이 뛰어나 차세대 ... ...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
과학동아
l
2016.09.03
상호작용이 생긴다. 0차원 양자점(테이블)에서는 전자와 포논의 상호작용이 너무 강해
전하
가 ‘양자 우물’에 갇혀 움직이지 않게 된다. 흥미로운 건 홀과 테이블 그 중간쯤 되는 1차원 상황이다. 원자들이 한쪽 방향으로만 용수철 결합을 하고 있는 1차원 격자 구조의 고체가 이에 해당하는데, ... ...
상어 공격 직전에 셀카 촬영? 해외 인터넷 괴담
2016.07.24
팝뉴스 제공 해외 SNS에서 괴담과 함께 떠돌며 주목받는 이미지다. 포악한 상어에 희생되기 직전에 찍은 셀카라는 루머다. 언론 기사처럼 꾸 ... 흥미로운 일상을 전해드립니다. 진지하고 무거운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팝뉴스가
전하
는 가벼운 소식을 사진과 함께 ‘가볍게’ 즐겨 보세요~ ... ...
연구윤리와 연구자공동체, 그리고 사회적 책임
2016.07.22
머물면, 넓은 회색 지대의 쟁점을 놓칠 수밖에 없게 된다. ‘기름방울 실험’으로 최소
전하
량을 측정해 노벨상을 받은 밀리컨(Robert A. Millikan, 1868~1953)의 사례는 데이터의 합리적 선택과 부당한 변조 사이의 경계가 그리 분명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밀리컨은 논문에서 58개의 기름방울을 사용했다고 ... ...
태양전지 신소재로 LED 조명 효율 큰 폭으로 높였다
2016.07.18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는 특별한 결정구조를 가진 화합물을 뜻한다. 빛을 잘 흡수하고
전하
를 운반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가격도 싸서 이 구조를 활용한 태양전지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그러나 빛을 내는 특성인 ‘형광효율’이 낮아 LED 같은 발광(發光) 소재로 만드는데는 한계가 ... ...
암 RNA 이용한 만능 항암백신 나올까
과학동아
l
2016.07.15
잘 붙여야 한다. 연구팀은 RNA를 지질로 감싼 나노입자를 만들고, 전기적인 자극을 줘서 음
전하
를 띠게 했다. RNA가 파괴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동시에 수지상세포에 잘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다. 연구팀은 이 나노입자를 암에 걸린 쥐와 흑색종 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투여했다. 그 결과 적은 양으로도 ... ...
환부에만 약물 보낸다… 벌떼처럼 움직이는 미세입자 나왔다
2016.07.12
11일 밝혔다. 연구진은 작은 유리공 한쪽 면에만 금속박막을 입혀 양면이 다른
전하
량을 갖도록 만들었다. 이런 입자들이 담긴 증류수에 교류 전압을 가하면 정전기가 발생해 입자들이 서로 밀거나 당기는 등 다양한 상호작용을 한다. 연구진은 이 미세 입자들의 상호작용을 전기적으로 조절해 ... ...
반데르발스 힘, 원자 단위에서 최초 측정
과학동아
l
2016.06.23
나왔다. 연구팀은 “(다른 원자와 잘 상호작용하지 않는) 비활성기체지만 원자들 사이에
전하
가 이동해서 약한 공유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며 “그 효과로 반데르발스힘이 이론값보다 더 큰 것처럼 나타난 것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 ...
차세대 반도체 소재 ‘흑린(검은색 인)’이 뜬다
2016.06.14
나오는 열로 전기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3차원 구조의 흑린 속에서
전하
들이 열전현상에 의해 평면방향으로 움직인다는 사실과 함께, 기판과 상호작용을 통해 이를 제어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배 연구원은 “열전 반도체 소자로 흑린을 쓰려면 흑린과 기판의 상호작용을 정확히 ... ...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6.12
용어를 처음 사용한 미국의 물리학자 존 휠러는 블랙홀이 빨아들인 물체의 질량과
전하
, 각운동량을 제외한 모든 특성을 파괴시킨다는 데서 “블랙홀은 흔적(hair)을 남기지 않는다”는 명언을 남기기도 했다. 어떤 물체가 블랙홀에 한번 빨려 들어가면 고유 특성에 관한 정보를 모두 잃게 되므로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