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스페셜
"
결합
"(으)로 총 1,07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그래핀 뛰어 넘는다는 '보로핀'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4
등 다른 2차원 물질은 매끄럽고 고른 평면처럼 보이지만 보로핀은 붕소 원자가 서로
결합
하는 방식에 따라 위아래로 구부러지는 골판지처럼 보인다. 튀어나온 돌기는 전기 전도도와 같은 물질의 성질에 크게 영향을 주게 된다. 연구팀은 “수소화하게 되면 보로핀은 공기 중에서도 며칠동안 ... ...
[프리미엄 리포트] AI의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
과학동아
l
2021.03.13
어떻게 변할까를 그래픽으로 표현해준다. 개발자가 만든 모델에 이 툴을 간단히
결합
한 뒤, 특정 변수의 수치를 바꿔보면 그 변수가 불공정한 결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보기 쉬운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다. 개개인의 여러 정보를 학습해 연간 약 5500만 원 이상의 소득(파란색)이 있을지 ... ...
[표지로 읽는 과학]북극서 번식한 ‘팰컨’이 월동지를 찾아가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1.03.13
또 4개 개체군에서 35마리의 유전체를 분석한 데이터를 얻은 뒤 이를 고기후 데이터와
결합
해 팰컨의 과거 번식과 월동 지역을 광범위하게 재구성했다. 분석 결과 팰컨의 이동 패턴은 2만2000년 전 최후 최대 빙하기 끝자락 이후 환경 변화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팰컨은 번식한 뒤 ... ...
삼성전자·SK텔레콤·현대모비스 센서 선도기업 민간 R&D협의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중심으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향후 산업 전분야에서 데이터 처리, 통신 기능이
결합
된 첨단 센서 수요도 급증할 전망이다. 그러나 국내 센서 분야 기술수준은 미국, 일본 등 주요국 대비 약 65% 수준이라는 진단이다. 국내 센서 수요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생태계 구축도 미흡하다. ... ...
어린 연령층 감염률이 바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어린이가 어른보다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이 덜 되는 것은 바이러스가 체내에 들어와
결합
되는 ACE2 수용체 숫자가 어른보다 아이들이 적기 때문으로 추정해왔다. 변이 바이러스가 숙주의 호흡기 세포에 더 쉽게 붙도록 스파이크 단백질이 돌연변이를 일으켰다는 분석이다. 변이 확산은 이미 ... ...
"‘폐기’하세요"…AI가 알려준다 소고기 신선도를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있었다. 연구진은 소고기가 신선할 때는 미오글로빈이라는 단백질 성분이 산소와
결합
해 붉은색을 띠고, 상했을 때는 미오글로빈의 함량이 달라져 색이 옅어진다는 사실에 착안했다. 그리고 소고기에 분광기를 쪼여 소고기 색에 따른 미오글로빈의 함량과 이때 스펙트럼 정보를 조사했다. 이 ... ...
여성이 남성보다 코로나 백신 부작용 많이 겪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등 성 호르몬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학계에 따르면 성 호르몬은 면역세포 표면에
결합
해 백신의 인체 내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감 백신의 경우 에스트로겐은 면역세포가 더 많은 항체를 생산하도록 영향을 미친다. 또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체내에서 ... ...
A형은 약하고 O형은 강하다?…혈액형으로 본 코로나 취약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혈액은 반대로 B형 항원과 A형 항체 갖고 있다. 연구팀은 A형 혈액의 항원이 RBD와 더 잘
결합
해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앞서 중국 연구팀은 지난해 3월 중국 우한시 진인탄병원에 입원한 코로나19 환자 1775명을 분석한 결과 A형은 감염 위험이 높은 반면 O형이 감염 가능성이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자연에서 발견한 코로나19 치료 후보물질
2021.03.09
2가 ACE2에
결합
한 후 세포 내로 들어오는 과정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자. ACE2에
결합
한 스파이크단백질은 세포의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절단되고, 스파이크단백질의 S2 부위가 밖으로 노출된다. 이 부위가 사스코로나바이스-2 외피와 세포막 간 막 융합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 ...
코로나 변이에서 면역세포 억제 단백질 발견...화이자 모더나 백신 효능저하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분리된 바이러스 분리주에 변이 펩타이드가 발생했을 경우 HLA와 변이 펩타이드의
결합
이 감소됐고 이는 T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며 전체 감염 세포를 죽이는 T세포의 활동을 방해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변이 펩타이드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T세포를 제거하고 면역력 형성을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