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몽상
드림
희망
포부
소원
소망
이상
스페셜
"
꿈
"(으)로 총 488건 검색되었습니다.
막스 플랑크 연구소 출신 3인방, 식물에서 새로운
꿈
키운다
IBS
l
2015.03.30
대한 질문에 대한 답할 수 있는 연구를 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이야기했다. 서로 다른
꿈
과 성격을 가진 이들이 완벽한 조합을 이룬다면 막스 플랑크 연구소의 성과에 못지않은 훌륭한 성과가 마구 쏟아지리라는 것을 의심할 이는 아무도 없을 것이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 ...
살아 숨 쉬는 모든 것이 데이터가 되는 세상
KISTI
l
2015.03.24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한 것이다. 경찰이 추구하는 최선의 결과다. 로스엔젤레스 경찰이
꿈
을 실현해낸 힘은 빅데이터다. ● 빅데이터 = 4V 빅데이터(big data)는 말 그대로 엄청나게 거대한 데이터를 뜻한다. 생활이 디지털로 이뤄지면서 사람들은 엄청나게 많은 데이터를 쏟아낸다. 2012년 한 해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맞바람이라도 피울 듯이 두 사람은 만남을 이어가지만 선을 넘지는 않는다. 소설가가
꿈
이었던 출판사 편집자 차우는 무협소설을 다시 쓰는 걸로 아픔을 달랜다. 소설이 연재되자 호텔에 집필실을 마련해 첸 부인을 불러들이지만 결정적인 순간에 번번이 뒷걸음질 친다. “주위에서 우리 소문이 ... ...
[혁신의 열쇠] ‘십대의 낙관’으로 췌장암 조기진단에 성공하다
KOITA
l
2015.01.26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그는 몸을 한 번 훑으면 모든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
꿈
의 의료기’를 만들어 내기 위한 프로젝트에 몰두하고 있다.물론 안드라카의 발명에 논란이 없는 것은 아니다. 2011년부터 의학계에서는 안드라카의 발명품을 검증하려는 논문이 여럿 나왔으며, 그 중에는 췌장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
2015.01.20
사람은 서로 말과 글을 주고 받으며 소통한다. 여기에 손짓과 발짓을 더하기도 한다. 각종 기계를 조작할 때도 손을 주로 이용한다. 언어와 몸짓, 이 두 가지는 사람들이 세상과 소통하는 도구다. 하지만 장애가 있는 사람은 여러 가지 도구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몸이 다소 불편한 사람은 리모컨 ... ...
수의대 출신 연구원의 "연구가 좋았어요"
IBS
l
2015.01.19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거로 생각했다. 그리고 입학 이후에도 기초과학분야 연구에 대해
꿈
을 계속 키워왔다. 그는 수의대에서 임상을 하면서 재미있기도 했지만 원래부터 하고 싶던 연구를 포기하지 않았다. 결국, 임 연구원은 수의대 본과 1학년 때부터 실험실에 발을 들이기 시작했다. 모교 ... ...
웨어러블 컴퓨터의 핵심기술, 늘어나는 소자 늘어나야 입는다
IBS
l
2015.01.16
그래핀이다. 이들은 전기전도도와 광학적 투명도, 기계적 특성, 열 전도성이 뛰어나 '
꿈
의 신소재'라 부른다. 게다가 탄소 결정이기에 강도도 높을 뿐 아니라 유연성도 탁월하다. 웨어러블 기기에는 그야말로 딱 어울리는 소재인 셈이다. 그래핀과 탄소가 최근 소재 분야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 ...
우주여행의 지름길, 웜홀(worm hole)
KISTI
l
2015.01.13
아이처럼 무기력하다. 지구는 우주의 오아시스임이 분명하다. 그런데도 우리는 별을
꿈
꾼다. 별에서 그대가 오기를, 또 우리가 별로 간 그대가 되기를. 웜홀을 자유자재로 제어하며 언제든 내키는 대로 수십만 광년의 거리를 한달음에 왔다 갔다 하는 인간을 말이다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길을 걷고 있다는 게 저자의 시각이다. 즉 일반상대성이론이나 디랙방정식 같은 승리를
꿈
꾸고 있지만 지난 20년 동안(책을 기준으로) 끈이론이 제시한 예측가운데 실험적으로 검증가능한 결과가 전혀 없다는 것. 이런 상황이 10년이 더 지난 지금도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끈이론이 ... ...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
KOITA
l
2015.01.05
X선의 발견이다. 의학에서는 환자라든가 상대방에게 고통을 주지 않고 몸 속을 보는 것이
꿈
이었다. 그런데 그 전까지는 마취를 하고 배를 열어보는 방법이 최선이었다. 그러면 환자에게 당연히 고통이 따른다. X-ray는 몸에 전혀 고통과 해를 주지 않고 몸속을 들여다볼 수 있는 최초의 방법이었다.’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