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외국인"(으)로 총 4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자신의 연구철학을 담아 지었다. 이름이 독특하다보니 연구실 이름을 한 번 들으면 외국인 연구자들도 쉽게 기억한다. UNIST에 부임 후, 조 그룹리더는 자신의 관심사를 나열해보았다. 유체 흐름(fluidics), 생물학적 반응, 화학 반응 등 각종 반응(reaction), 이를 둘러싼 융합, 통합(integration), 과학,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트럼프의 반이민정책 그리고 집단적 나르시시즘2017.01.31
- 하나로 영국인 일반에 대해 보복 의사를 강하게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없는 외국인인 독일인에게는 나르시시즘 수준에 따른 보복 의사에 차이가 없었다(Golec de Zavala et al., 2013a). 폴란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실제로 보복행위를 살펴보았다. 집단적 나르시시즘이 강할수록, 자기가 ... ...
- 백인 미국인은 한국인을 어떻게 볼까?2016.11.15
- ‘규범’의 역할이 중요하다. 한편 한국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국 사회의 다양한 외국인 집단에 대해 비슷한 조사를 해 보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하다. 혹시 우리들도 별 다른 거리낌 없이 다른 집단 사람들을 나보다 열등한 인간으로 보고 있거나 나와 같은 지적 능력, 감정을 가지고 있다고 ... ...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2016.10.25
- 모르겠다. 그런데 지난주 일어난 충격적인 살인사건을 접하며 만일 요즘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에게 그런 말을 듣는다면 공감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인터넷을 보고 만든 총으로 경찰을 쏴 죽인 이 사건은 어쩌면 우리사회의 폭력성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2016.07.12
- 그런데 외국인이 쓴 전기나 자서전은 왜 이렇게 재미있는 걸까? 읽기 시작하면 멈출 수 없는 소설은 최근 미국에서도 드문데, 읽기 시작하면 멈출 수 없는 전기는 꽤 많다. - 무라카미 하루키 ‘이윽고 슬픈 외국어’라는 제목의 무라카미 하루키의 에세이집을 읽다가 위의 구절을 발견하고 무릎을 ... ...
- 가진 것이 줄어들수록 보수적이 되는 이유는?2016.06.28
- 그것이 애매하고 구체적이지 않은 것이라도 우리는 준비되었다는 듯이 국경을 닫고 외국인을 배척 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향후 히스패닉 등의 소수 인종이 미국 사회에서 다수 인종이 될 것이지만 여전히 부와 권력은 백인에게 속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들은 사람들은, 이런 메시지를 듣지 ... ...
- “부드러운 분야는 제가 최고입니다”IBS l2016.06.02
- 바르토즈 지보브스키(Bartosz Grzybowski), 츠비 틀루스티(Tsvi Tlusty)처럼 여러 분야를 전공한 외국인이 그룹리더로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박 부연구단장이 직접 디자인한 휴게실에서는, 생물학, 물리학, 화학 등을 전공한 연구원들이 자신의 연구문제를 내놓고 다방면의 조언을 들으며 열띤 ... ...
- 10파운드 지폐 인물이 된 스코틀랜드 신사임당은 누구?2016.03.28
- ‘Mary Somerville’을 검색해보니 꽤 긴 글이 뜬다. 문득 신사임당이 떠올랐다. 외국인 가운데 언어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세종대왕을 알 것이고 유학의 역사에 정통한 사람은 이황과 이이의 이름을 들어봤을 수도 있다. 그러나 5만 원 권에 나오는 신사임당은 우리나라 밖에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 ...
- 산∙학∙연∙관 R&D 인력 통합 교육체계 완성을 향해과학기술인공제회 l2015.12.29
- 방향과 정책을 올바르게 수립하는데 높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국내 거주 외국인 연구자, 여성과학기술인 등 그동안 교육이 쉽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대상까지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교육 내용의 측면에서는 각 연구 전문분야가 서로 융합할 수 있도록 기술 분야의 전문 교육까지 ... ...
- 신규원전으로 돌아보는 원전지역 특산물 (3)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1.20
- 지금은 개체수가 줄어 선원 구하기가 어려워졌다. 이미 상당수의 게잡이 어선들은 외국인을 인부로 고용하여 근근이 조업하는 실정이다. 무엇보다 선주들의 시름을 깊게 하는 것은 나날이 줄어드는 어획고. 한반도 주변의 수온이 점점 올라가면서 찬 바다에 서식하는 대게와 홍게가 자취를 감추고 ... ...
이전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