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핵위험도피, 새로운 환경건설 지하세계의 실험
과학동아
l
198705
그런데 ‘하지’박사가 가장 우려하고 있는 것은 인공적으로 만든 작은 생태계가 과연
끝
까지 균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다. 작든 크든 하나의 생태계가 유지되려면 다양한 요소들이 균형을 이루고 있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완전히 밀봉된 상태에 있는 이 유리집내에서 각종 기체의 ... ...
화학 문제풀이를 통해 완벽한 이해를
과학동아
l
198705
경우에는 이것도 생각한다.● 몰의 활용이 문제를 푸는 데 큰 무기이다. 그리고 계산은
끝
까지 해야 하며, 특히 유효숫자의 취급 방법도 익혀 두어야 한다.〔6〕기초적인 사항을 완전히 이해하라.● 입학시험의 문제는 교과서에서 그 소재가 있으므로 교과서를 중요시하고 거기에 담겨져 ... ...
에너지 소모와 폐기물이 만든 현대의 암세포 도시
과학동아
l
198705
위한 백 넘버 제도 문제나, 단 하나의 컴퓨터 고장에 의한 사회적 대혼란등 헤아려 보면
끝
이 없다. 냉정하게 다시 살펴보면 오히려 거대한 사이버네틱스 도시는 전생태계인 호스트에서 완전히 자립한 새로운 메카니즘의 강력한 암종양이 될 위험을 안고 있다. 지구 정화는 인간내면의 ... ...
기술전쟁·인간·인간성
과학동아
l
198705
손가락 움직임 하나로 일은
끝
나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자기의 동작의 인과적 연쇄의
끝
에서 인간의 육체와 영혼이 재가 되어 흩날려 버려지는 상황과 상태의 인간적 실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옛날은 달랐다. 칼을 든 두 사람은 상대방이 자기 칼에 맞아 쓰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 ...
생물 학습목표를 확실히 알고 시작하자
과학동아
l
198705
안심도 되고 또 시험에서 실수하는 일도 적다. 시험 바로 전에는 전체내용을 처음부터
끝
까지 자세히 훑어볼 수 있는 시간이 없다. 이럴 경우에는 참고서의 ‘요점’난을 중심으로 전체내용을 요약·정리하고, 평소에 잘 풀지 못했던 문제들을 다시한번 풀어보아 자기의 약한 부분을 보완하면 된다 ... ...
물리 힌트나 연구를 이용해 응용력을 길러야
과학동아
l
198705
하므로 카드화하거나 노트에 특별히 기재하여 꼭 외도록 한다. 핵심 정리 - 각 소단원
끝
에는, 앞에서 배운 것을 총정리하여 교과서의 요점을 확인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단순히 하나하나의 원리나 사항의 나열뿐만 아니라 전체의 상호관련을 한눈으로 알 수 있도록 연구되어 있으며, 물리의 종횡의 ... ...
영광과 좌절의 파노라마 한국의 발명가들
과학동아
l
198705
있고 악취때문에 소가 먹지를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박노양씨는 15년 동안의 노력
끝
에 지용성을 높이는 방법 등으로 공기속에서의 보존성을 높이고 암모니아 가스의 악취를 제거했을뿐 아니라 짚등 타사료와의 접합도 가능하게 했다. 이는 콩 보다도 단백가가 높고 가격은 10분의 1밖에 안된다. ... ...
아프리카 코끼리의 기이한 습관 왜 어두운 동굴을 찾을까
과학동아
l
198705
뿌리쪽이 보일 정도다. 이런 이빨로 바위를 갉으면 뿔에 상처가 생기고 구멍이 뚫리고
끝
은 둥그렇게 되고만다. 바위를 갉는것 만이 아니고 씹어 부드럽게 하여 넘기는것이므로 어금니까지 닳아버린다. 소금을 얻기위해 치르어야 할 보상이라지만 이것은 너무 비싼 대가라는 느낌이 든다. 이가 ... ...
대표적인 봄꽃, 개나리와 진달래
과학동아
l
198704
잎겨드랑이에 1~3개의 꽃이 붙어 있다. 꽃받침은 4갈래이며 녹색이고, 화관은 2.5㎝쯤인데
끝
은 깊게 4갈래로 갈라졌다. 수술은 2개이며 화관통에 붙어 있고 암술은 1개인데 암술대가 짧아 수술 밑에 숨는 것은 수꽃이다. 열매는 9월에 삭과로 달린다.개나리의 열매를 약용으로 하는 의성 개나리는 ... ...
쿼크다음엔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04
잘라 쪼개나가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런 소박한 기계적인 분할에는 한계가 있다. 칼날의
끝
보다 작은 물질을 쪼갤 수 없기 때문이다.19세기에 들어와 화학자들은 화학반응의 연구를 통해 이런 한계를 극복했다. 화학반응에서 물질이 서로 반응해 전혀 다른 성질의 물질로 바뀌어도 무엇인가 늘 ... ...
이전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