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2030 암치료제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암
세포
에 넣어 준다든가 또는 같은 방식으로 넣어준 유전자가 인체면역계의 암
세포
청소기능을 올리도록 하여 암치료를 시도한다.암전이를 밝혀 전이만을 맞아보자는 시도도 있다. 악성 종양은 대개 전이가 일어나는 암이므로 어떤 원인으로 암이 되든 간에 전이과정을 알아서 이를 막는다면 ... ...
생물로부터 첨단기술 배운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비싼 화학물질을 대신할 수 있을 것이다.가자미와 그밖의 찬물 고기들은 몸속의 피와
세포
속의 수분이 마땅히 얼어야 할 환경에 놓여 있으면서도 생존하는 이유는 가자미가 만들어내는 단백질 구성성분인 펩타이드(peptide)에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과학자들은 가자미가 만든 이 단백질이 얼음결정에 ... ...
고등 동물일수록 뇌의 휴식이 필요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중추신경계가 발달한 동물일수록 뇌를 휴식시키는 수면형태가 발달돼 있다.사람은 하루 보통 7, 8시간을 잔다. 요즘은 평균수명이 연장돼 70 ... 양쪽으로부터 복잡한 조절작용을 받는다. 앞으로 수면에 대한 연구가 수면물질의
세포
차원에서 더 진행된다면 좀더 명확한 결론에 이를 것이다 ... ...
바이오스피어Ⅱ 위기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발달되어 생명이 지구 곳곳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점점 더 복잡한 다
세포
생물들의 발달이 거의 폭발적으로 뒤따라 일어나면서 오랜 기간동안 산소의 생산이 소비(호흡)를 초과하게 되었다. (그림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생대에는 오늘날 수준으로 산소가 증가되고 이산화탄소는 ... ...
메소포타미아 농업 기원설에 반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표면을 현미경으로 조사해 미세한 전분알갱이와 길고 날카로운 속정(束晶, 식물의 점액
세포
내에 있다)을 찾아냈다. 일반인에게는 다소 생소한 속정은 쐐기풀과 같은 식물에 많이 함유돼 있다.그는 이 전분알갱이와 속정의 모양과 크기를, 현재 남태평양 일대에서 가장 흔히 재배되는 57종의 ... ...
인공수정과 체외수정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당사자들이 아니고서는 그 간절한 심정을 헤아리기 어려울 것이다.오늘날에는 생식
세포
의 냉동보존까지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인공수정 정도(?)는 매우 간단히 그리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실시할 수 있게 되었다. 실제로 불임부부가 자녀를 가질 가능성은 매우 커졌다.외국의 예를 ... ...
노화(老化) 규명에 서광이 비친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이 과제는 의학이나 생물학뿐만 아니라 현대과학이 해결해야 할 최후의 과제다.
세포
수준에서, 단백질 수준에서, 최근에는 유전자 차원에서 노화연구는 한걸음씩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어떤 유전자가 노화에 관련하는가가 핵심적인 문제다.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의 진화생물학자 마이클 로스 ... ...
② 독창적인 문화 깃든 제품 나와야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제작.폭스레인저 2준이 타임머신의 오작동으로 과거시대에 있을 때 부활한 베그저의
세포
가 버뮤다해역에서 생체증식을 통해 지구를 한부분씩 붉게 물들이고 있다. 또 생체증식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준의 애인 연희를 포함한 많은 지구인을 생포해 간다. 복수에 나선 준의 활약을 그린 슈팅 ... ...
시각인식의 알파벳을 발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것을 알아냈다. 즉 IT의 표면에서 깊은 곳까지 수직방향으로 비슷한 패턴에 반응하는
세포
가 마치 기둥과 같이 배열된다고 할 수 있다.한 기둥의 단면적은 0.16mm. IT의 표면적이 3백30mm이니까 IT에는 약 2천개의 기둥이 존재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이 2천개의 기둥이 인식하는 그림의 패턴에 따라 서로 ... ...
색채과학의 르네상스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반응을 지켜 보았다. 이 실험에서 그들은 빛이 최종적으로 화학반응을 일으키면서 뇌
세포
를 자극해 시각이 형성되는 등 생리적인 지각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것은 빛이 눈을 통과해 망막에 도달하는 순간부터 극적인 전환이 일어나 빛의 단위로는 표현할 수 없는 전기화학적 신호로 ... ...
이전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