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Ⅲ. 전자발견드라마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것을 파악했을 뿐이다.원자가 일정한 기본단위의 전하를 가졌다는 아이디어를
최초
로 낸 사람은 맥스웰이다. 그는 전기장과 자기장을 통합한 수학공식을 유도한 1873년의 논문에서 패러데이의 전기분해법칙을 언급하면서 “전기분해시 양이온과 음이온은 음극과 양극에서 각각 ‘한 분자’의 ... ...
빵 반죽·발효·굽기의 3박자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빵의 독특한 향을 부여한다.1683년 네덜란드의 레벤후크가 자신이 만든 현미경으로
최초
로 이스트균의 존재를 확인했다. 이것을 계기로 이스트균의 분리 배양이 가능해지고 빵 발효에 이용할 수 있게 됐다.이스트(Saccharomyces cerevisiae)는 엽록소가 없는 단세포 식물이다. 식물학상 곰팡이류에 속하지만 ... ...
국산 개인용 컴퓨터
최초
개발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1933년생. 통계물리학박사. 전자기술연구소 부소장, 한국정보산업연합회 회장, 아시아ㆍ대양주 정보산업기구회장, 정보엑스포96조직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정보사회 정보문화'등의 저서가 있다. 나는 요즈음 ‘기업가’ 또는 ‘비지니스맨’이란 말을 많이 듣지만 본래부터 내가 그런 인생을 ... ...
Ⅰ. 전자가 이룩한 4대 혁명 : 3. 세계최고 수준의 전자공장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빔라인은 현재 6대로 증가했다. 지난해 10월 LG반도체는 X선 빔라인을 이용해 세계
최초
로 0.13미크론급 반도체 패턴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이는 4G DRAM급의 반도체를 만들 수 있음을 증명한 획기적인 업적이다.한편 수직입사분광기 빔라인은 방사광의 파장이 가장 긴편에 속하므로 기체상태의 시료를 ... ...
진시황무덤에서 히틀러 벙커까지 미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있다. 또 단순히 호기심을 끌고 눈에 보기 좋게 만들려는 조경적 목적도 있었다고 한다.
최초
의 미로 정원은 돌과 석재, 또는 잔디로 구성돼 있어 전체 구조가 한눈에 들어왔다. 17세기 말에 들어서자 거대한 숲 형태가 등장했다. 밖에서 안쪽을 바라볼 수 없게 된 것이다.베르사이유 궁전에는 177 ... ...
과학계의 팔방미인 '옐로우칼'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접근해 사진을 찍어 지구에 전송하고, 목성의 중력을 이용해 태양계를 탈출한 인류
최초
의 우주선이 됐다.그러나 파이어니어 10호가 기억되는 것은 여기에 매우 중요한 메시지가 담겨 있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바로 ‘지구인이 ET(외계생명체)에게 보내는 편지’였다. 세이건은 우주 어느 곳엔가 우리 ... ...
새로운 차원의 오락 온라인 게임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머독이 이끄는 ‘뉴스콥’이 ‘케스마이’를 인수함으로써 온라인게임의 협력관계에
최초
로 불을 당겼다. 스포츠용 게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일렉트로닉 아츠와 레이싱 게임으로 유명한 파피루스 등이 전문 개발업체. 여기에 온라인 접속 포인트를 제공하는 PC통신이나 인터넷 접속 ... ...
2. 음식 속에 숨은 영양소 어떻게 알아내나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지방이라고 한다. 단백질/세포와 조직을 구성하는 생명체의 증거지구에 나타난
최초
생명체의 증거로 단백질을 찾고 있다. 생명체를 이루는 구성성분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단백질이기 때문이다. 몸 속의 세포와 조직들은 단백질로 이뤄져 있다. 또 다치거나 손상된 세포들을 보충하려면 ... ...
카레이싱 -극한을 돌파하는 첨단의 경연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7백°C의 화염에서 12초 이상 견딜 수 있다.2인1조 랠리대회 대자연을 누빈다랠리는 세계
최초
의 자동차 경주였다. 자동차 제작회사들은초창기부터 실험의 일부분으로 랠리경주에 참가했다. 넓게 펼쳐진 산과 들, 사막 등 험로를 달리면서 시판차의 내구성을알아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레이스처럼 ... ...
적외선 탐지기로 질병추적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체열영상을 의학적으로 이용한 것은 1956년 캐나다의 로손 박사가 유방암을 촬영한 것이
최초
다. 최근 들어 유방암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조기진단법이 여러 각도에서 연구됐지만, 아직 만족할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암 덩어리의 지름이 최소 0.5cm 이상 돼야 유방 방사선 촬영기나 ... ...
이전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