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뇌"(으)로 총 4,4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일본판 황우석 사태?…자중지란 만능세포동아사이언스 l2014.03.11
- 않고도 원하는 다른 세포로 곧바로 바꿀 수 있는 게 장점. 2013년 스웨덴 연구진은 쥐의 뇌 속 피부세포를 직접교차분화 방식을 이용해 신경세포로 바꾸는 실험에 성공하기도 했다. 유승권 교수는 “직접교차분화 기술이 현재 줄기세포 치료제를 만드는 데 쓰이는 성체줄기세포를 대체할 수 있을 ... ...
- 113년 전통의 노벨상, 수상자 연설보니 과학사가 한 눈에동아사이언스 l2014.03.09
- ◆당신에게 노벨상을 수여합니다(노벨재단 著, 바다출판사 刊) 1901년 첫 노벨상 시상식부터 2013년 노벨상 시상식에서 과학 분야 노벨상 ... 결국 좌뇌와 우뇌, 양쪽 뇌를 함께 작동시키는 방법을 찾아가는 것이 앞으로 인간이 뇌의 '주인'으로서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길이라는 얘기다 ... ...
- 선천적으로 음악 못 즐기는 사람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4.03.06
- ‘커런트 바이올로지’ 온라인판 6일자에 발표했다. 보상회로는 특정 행동을 할 때 뇌가 도파민 호르몬이 나오도록 만들어 ‘기분이 좋다’고 느끼게 한다. 식욕, 배설욕, 성욕에 대한 보상으로 쾌감을 느끼는 것도, 음악을 들었을 때 기분이 좋아지는 것도 이 보상회로 덕분이다. 연구팀은 ... ...
- 곤충 눈 모사한 카메라 렌즈동아사이언스 l2014.03.05
- 곤충 눈이나 발광기관을 공학적으로 모사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정기훈 교수팀은 곤충눈 구조를 모사해 개발한 광시야각렌즈와 무반사 미세렌즈 등을 스마트폰이나 의료용 내시경카메라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정 교수는 7일 오후 6시 30분 대전 ... ...
- 수학 공식에도 아름다운 정도가 있다?수학동아 l2014.03.05
- 공식(a^2+b^2=c^2)', '코시-리만 방정식(∂u/∂x=∂v/∂y)'이었다. 특히 오일러 공식은 뇌파 분석 결과 의 독백 부분만큼 아름답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학자들은 라마누잔의 무한급수와 리만의 제타함수를 가장 아름답지 않은 수학 공식으로 꼽았다. 연구팀은 "수학 공식에도 단순성과 ... ...
- 샤넬 No.5는 염소 페로몬에서 영감을 받은 향수일까?동아사이언스 l2014.03.03
- 작용하는지 여부를 측정했다. 즉 추출물의 냄새를 맡은 암염소의 뇌 속 시상하부에 있는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파동적 분비 패턴의 변화를 측정한 것. 시상하부는 내분비계를 조절하는 지휘본부다. 만일 프라이머페로몬이라면 이 분비 패턴의 주기가 짧아져 암컷이 짝짓기를 준비할 수 ... ...
- 만화 같은 설정, 하지만 기술은 이미 현실동아사이언스 l2014.03.02
- 각종 기계장치를 이식하는 기술도 상당한 진척이 이뤄지고 있다. 뇌에 전극을 꼽거나, 뇌의 혈류량을 찍을 수 있는 적외선 장비를 머리에 붙여주는 뇌-기계연결기술(BMI), 힘을 주면 근육이 딱딱해지는 근육경도를 측정하거나, 근육이 수축할 때 생기는 미세한 전기를 측정하는 ‘근전도센서’를 ... ...
- 스마트폰 중독 아이는 '팝콘 브레인'···독해력 떨어진다동아사이언스 l2014.02.28
- 교수는 팝콘이 튀어 오르는 것처럼 즉각적 현상에만 반응할 뿐 생각하지 않는 이런 뇌 상태를 ‘팝콘 브레인(popcorn brain)’이라고 이름 붙였다. 서울 경희여중 국어과 강용철 교사는 “요즘 학생들은 컴퓨터와 휴대전화를 통해 디지털 정보를 받아들이는 ‘디지털 리터러시’는 뛰어나지만, ... ...
- 수면장애 해결방법 드디어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4.02.28
- 단백질을 찾았다고 27일 밝혔다. 연구진은 하루 동안 생쥐의 생체리듬을 조사했더니 뇌와 간에 있는 ‘LSD1’ 단백질이 인산과 결합하는 인산화 정도가 주기적으로 바뀌는 현상을 확인했다. 이 단백질은 전립선암이나 유방암을 촉진한다고 알려졌는데 생체리듬과의 관련성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 ...
- 뚱뚱한 사람이 자주 아픈 이유 알고보니...동아사이언스 l2014.02.26
- 단순히 남는 에너지를 저장만 하는 것이 아니라 영양 상태를 스스로 파악해 능동적으로 뇌, 간, 근육 등 다른 조직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지방세포가 신호 전달 물질을 만들어 다른 조직에 신호를 보내는데, 비만으로 인해 지방조직에 이상이 생기면 잘못된 신호를 전달하게 돼 ... ...
이전4164174184194204214224234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