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집
주점
나이트클럽
호프
선술집
식당
salon
뉴스
"
바
"(으)로 총 4,470건 검색되었습니다.
셜록이 담배를 끊지 못하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4.06.17
니코틴 중독인 셜록은 생각에 잠길 때면 니코틴 패치를 다량 붙인다. - BBC 'Sherlock' 영상 캡처 제공 영국 BBC 드라마 ‘셜록(Sherlock)’에서 주인공 셜록 홈즈는 주위에서 담배 ... 입맛을
바
꿔 담배맛을 잃게 만드는 효과가 있지만 성욕감퇴, 자살충동 유발 등의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 ...
방사성 세슘 다 잡는 신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6
해 오염된 세슘을 제거하게 된다. - 서강대학교 제공 연구팀이 새로 개발한 SGU-45는
바
나듐과 실리콘을 주원소로 하는 다공성 물질로 세슘의 농도가 낮을수록 세슘에 대한 흡착력이 높아지는 특성이 있다. 이 때문에 나트륨 같은 다른 이온들이 뒤섞여 있어도 세슘만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 또 ... ...
1000년 뒤엔 ‘플라스틱 돌멩이’가 지질학 증거?
과학동아
l
2014.06.15
사용하고 있다는 소식과 세탁기를 돌릴 때 섬유에서 떨어져 나온 플라스틱 부스러기가
바
다로 흘러들어간다는 소식, 반짝이는 플라스틱 조각을 물고기가 먹이로 착각해 삼킨다는 소식 등을 인류세 도래의 증거로 함께 제시했다. ... ...
사랑은 해가 뜨고 지듯 와서 새 힘을 준다
과학동아
l
2014.06.15
영화 말미에 “사랑은 동화처럼 늘 아름답고 좋은 것만은 아니다”라며 “진정한 사랑은
바
로 실제 삶이다”라는 제시의 대사가 이를 의미한다. 이 감정은 ‘옥시토신’ 호르몬의 마술이다. 옥시토신은 이들 사이를 단단하게 잇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최근 옥시토신 호르몬이 사람들에게 또 ... ...
스페인 독감 직접 만들어봤더니…헉!
과학동아
l
2014.06.15
사실을 함께 알아냈다. 이번 실험에서 만들어진 신종
바
이러스는 타미플루 같은 항
바
이러스제제에 취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가와오카 교수는 “제2의 스페인 독감이 탄생하기 위한 재료가 자연에 이미 존재한다”며 “이번 연구로 AI가 포유류에게 전염되기 위한 진화 단계를 추측할 수 있게 ... ...
여성 화공학도, 회사와 함께 성장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6.11
박사과정을 밟으며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다니던 ‘장래가 촉망되던 과학도’의 최종 선택은 중소기업이었다. 그것도 당시에는 이름조차 잘 알려지지 않았던 충청남 ... 소신과 함께 여성 특유의 부드러움을 잊지 않는 그녀의 모습은 미래의 여성 과학기술인들에게 시사하는
바
가 크다 ... ...
도시 개구리의 짝짓기 노하우
과학동아
l
2014.06.08
확성기로 사용해 울음소리 크기를 증폭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해 ‘네이처’에 발표한
바
있기 때문이다. 린 교수는 “배수로 내부에서는 청개구리의 울음소리가 외부에서보다 4데시벨(dB) 정도 더 크고 10% 더 길게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도시 개구리들이 영리하게 주변환경에 ... ...
“등산 잘 하는 사람의 유전자는 태어날 때부터 다릅니다”
과학동아
l
2014.06.04
‘생존 DNA’라로 부르는 이 유전자 연구를 통해 그가 궁극적으로 얻고자 하는
바
는 뭘까. 이날 저녁 300여 명의 청중을 대상으로 진행된 강연에서 몽고메리 교수는 자신의 연구를 통해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연구가 한창인 개인 맞춤치료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산소를 ... ...
날조 의혹 STAP 세포 논문, 결국 모두 철회
과학동아
l
2014.06.04
못했다는 사실을 공개하며 “(데이터 조작을) 고의적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STAP 세포 논문이 게재된 ‘네이처’의 3일자 블로그에는 일본 언론 보도를 인용해 오보카타 연구주임이 쥐의 세포에서 확립했다고 주장한 STAP 세포주 8개를 포함해 STAP 세포주 20개를 외부 ... ...
'옥수수 박사'의 감동적인 고백
과학동아
l
2014.06.01
2006년 타원 은하 별 생성 과정을 밝힌 연구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에 주목받은
바
있는 저자는 “나는 하늘을 보며 거기에 새겨진 나를 본다. 우주를 연구하며 그 우주의 일부인 나를 알아 간다”고 고백하면서 우주 탄생의 신비와 밤하늘의 아름다움을 전한다. 여기에 본인의 어린 시절과 ... ...
이전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