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시는 미디어다
과학동아
l
200605
‘코모’를 비롯해 세계에 설치된 키오스크에서 자신의 얼굴 사진을 찍어 보내면 다른
곳
에서 인터넷으로 전송된 얼굴 사진들과 연결돼 각 지역의 대형 화면 위에서 실시간으로 공개된다. 나는 서울에 있지만 나의 초상은 세계에 동시에 존재하면서 거리의 시민과 만나는 것이다.네트워크로 연결된 ... ...
내 몸에 딱 맞는 입체음향 기술
과학동아
l
200605
박사과정 황성목 연구원은 “미래의 로봇은 우리의 친구가 돼 줄 거예요”라며 “어느
곳
에서 누가 부르는지 인식하는 로봇과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이야기하며 웃는 날이 머지않다”고 말한다 ... ...
첨단 디지털 펜
과학동아
l
200605
은으로 된 복합음극(複合陰極)을 사용한 광전관 감광곡선은 대체로 파장 8,000 · 3,500의 두
곳
에서 최고이다감도는 높고 백열전구 1lm(루멘)에 대해 20~50μ이다가시광선 · 자외선 · 적외선에 예민하므로 토키텔레비전 · 사진전송 · 광선전화 등에 응용된다핵폭발실험에 의해 생기는 방사성 낙진 속에도 ... ...
대보름의 불 축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5
해요. 불을 다루는 행사라 일단 산불의 위험을 막아야 했지요. 불이 산의 다른
곳
으로 번지지 못하게 하기 위해 둘레가 2.7킬로미터나 되는 산 정상 주변을 돌아가며 20미터폭의 억새들을 모두 베어냈답니다. 그리고 불을 놓기전에 억새밭에 있던 사람들을 모두 안전하게 대피시키고 바깥쪽에서부터 ... ...
카시니 '우주 걸작' 보내오다
과학동아
l
200605
지름 418km)도 촬영했다. 흑백이 교차되는 이 사진은 비록 카시니가 19만700km 떨어진
곳
에서 촬영한 모습이지만 사진의 미마스 표면에서는 운석 충돌 구덩이들인 크레이터들이 자세히 보인다.카시니는 7년여의 우주여행을 마치고 2004년 7월 토성의 궤도에 진입한 뒤 토성과 그 위성의 주변을 돌면서 ... ...
바닷속 누비는 우리 수중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
지구가 물의 행성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지구는 71%가 바다로 덮여 있지요. 바다는 이렇게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아직 우리가 모르고 있는 비밀 ... 그렇다면 우리 수중로봇들을 주목해 주세요. 우리 해미래와 로피가곧 세계
곳곳
의 바닷속을 누비며 우리를 놀라게 해 줄 테니까 ... ...
화성 궤도탐사선(MRO) 화성 궤도 진입 성공
과학동아
l
200604
검출하는 장치 고장 중에는 대전류나 고전압을 발생하므로 고장을 재빨리 제거시켜 다른
곳
으로 파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따라서 보호계선기는 고장을 검출한 후 차단기에 차단을 지령하여 차단기가 고장난 구간을 단절 · 분리시킨다조선 숙종 때 만든 대리석 천문도(天文圖) 를 복각 ... ...
집안 화초 내가 살린다!
과학동아
l
200604
단지 등의 화부노가 개인이 키우는 식물에 대해서도 전화하면 처방과 치료를 도와주는
곳
이 있다.가정원예식물 병원• 위치 : 서울 서초구 농업기술센터• 문의 : (02)459-6754• 홈페이지 : agro.seoul.go.kr그린홈관리사 서비스센터• 위치 : 서울 동대문구 서울시립대 자연과학관• 문의 : (02)2210-2965• ... ...
남대문이 활짝 열렸다
과학동아
l
200604
숭례문이 더 낮게 보였다는 뜻이다.홍예문은 원래의 3분의 1 정도가 묻혀 있었으며 다른
곳
에서도 돌을 쌓아 놓은 옹벽, 바닥에 까는 돌이 거의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발견됐다. 이렇게 묻힌 부분을 감안하면 숭례문은 높이가 현재의 12.3m에서 13.9m로, 홍예문은 4.37m에서 5.97m로 크게 올라갈 전망이다 ... ...
세계 과학도를 품에 안은 중립국 스위스
과학동아
l
200604
달한다.그러나 CERN은 한국과는 아직 일부 연구에서만 협력하는 관계에 머물러 있다. 이
곳
의 여러 연구 프로젝트 중 한국인 과학자가 실제로 참여하는 것은 세계 최대 규모의 고에너지 입자검출기를 만드는 CMS 뿐이다. 그 주인공은 노상률 박사와 김진철 박사. 두 박사는 “한·스위스 협력 이후 ... ...
이전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