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 같이 멋진 잡지 만들래요”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7월 과학동아의 특별부록인 ‘이공계 글쓰기 핸드북: 자기주도학습에 날개를 달다’를
보고
창의학술잡지부를 만들겠다는 계획서를 담임선생님께 제출했다. 이후 교감선생님을 설득해 잡지부 창설뿐 아니라 잡지를 만들 수 있는 예산까지 확보했다.김근우 군 뿐 아니라 창의학술잡지부 대부분이 ... ...
슬픔이 아픔이 되는 비극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때 사람을 패닉 상태로 빠뜨린다는 것. 옛 속담에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가 이런 상황에 딱 들어 맞는다. 실제로 우리는 매일매일 비슷한 일을 겪으며 살아간다. 이런 환경에 예민하게 반응할 때 신경증으로 발전한다.또는 공황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공황장애는 이전에 겪었던 ... ...
해석기하를 통한 창의적 연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좌표 같은 수학의 새로운 도구를 만들어
보고
싶다’는 마지막 말 또한 높이 평가할 만하다. 벡터 공간을 고안한 물리학자의 아이디어도 이러한 탐구활동에서 출발한 게 아닐까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이론가도 모두 힉스입자가 발견되기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좀 더 심화된 내용을
보고
싶은 독자는 과학동아 홈페이지에서 원문(긴글)을 읽을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 ...
한 방에 빵! 터지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빨간 찰흙)이 갑자기 피를 뿜어내며 폭발하고 있다.][미래를 점치는 달 ‘우주돌’을
보고
놀란 달(유리판)이 신비로운 빛을 내며 쩍쩍 갈라지기 시작했다. 점치는 구슬에 점괘가 나타나는 것 같다.][볼 터지고, 귀 솟아나고 아악~! 비명과 함께 볼은 없어지고 다른 쪽에 귀가 생겼다. 총 쏘기에 중독된 ... ...
게보린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안전성 논란이 지속돼 약사위원회 회의를 거쳐 병원에서 사용을 금지했다”고
보고
했다. 민주당 이낙연 의원은 지난 국정감사에서 “이런 사실을 두고도 결과를 전혀 반영하지 않은 것은 식약청이 특정업체를 비호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냐”고 비난했다.1년 내 안전성 입증 못하면 ... ...
노벨상 수상자와 함께 나만의 열정 찾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육각형 모양의 빨간 석류석을 좋아했죠. 어느 날 문득 석류석의 내부 구조를 들여다
보고
싶었습니다. 구조를 볼 수 있는 방법은 당시 ‘X선 회절법’ 뿐이었어요.”후버 소장은 그 날부터 X선 회절법을 배워 감람석의 구조를 관찰했다. 그는 “실리콘, 산소, 철 분자가 규칙을 이루며 배열된 모습이 ... ...
나만의 공부법부터 점검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잘 나오지는 않고 있다. “책을 많이 읽니?” “많이 읽고 싶지만 시간이 없어서 못
보고
있어요. 최근에 읽은 책 중에는 ‘TV를 켜라 빅뱅이 보인다’를 재미있게 읽었어요. 일상생활에서 관 찰할 수 있는 과학들을 쉽게 설명한 책이에요. ” “그래. 학년이 올라갈수록 과학에 대한 책을 더 많이 ... ...
라푼젤도 모르는 머리카락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돌려 줄게”정신을 차린 플린 라이더는 왕관도 잊은 채 라푼젤의 황금빛 긴 생머리를
보고
첫눈에 반해 버렸어요. 긴 생머리가 정말 사람을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걸까요?"남자는 자신의 유전자를 다음 세대에 전달하기 위해 자신의 아이를 잘 낳아 줄 건강한 여자에게 끌리도록 진화했어요.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방사능에서 벗어나는 법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기상조건을 고려할 때, 확산모델의 예측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 기한을 48시간까지로
보고
있다. 이 시간을 넘어가면 기상 변화를 예측한 오차에 확산을 예측한 오차가 더해져 신뢰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4월 16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방사성 물질은 일본 북동쪽으로 확산돼 우리나라로 이동하기 ... ...
이전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