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뉴스
"
이후
"(으)로 총 12,590건 검색되었습니다.
24일부터 다시 수도권 백신 접종 완료자 포함 6인까지…4분기 접종 계획 곧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9.23
4명, 그
이후
에는 2명까지만 만날 수 있으며 접종 완료자는 오후 6시 이전에는 2명,
이후
에는 4명까지 합류해 최대 6인까지만 모일 수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자 수도 다시 늘어날 전망이다. 추석 연휴 동안 위탁의료기관과 접종센터 상당수가 문을 닫거나 단축 운영해 접종자 수도 ... ...
코로나19 신규 확진 1716명 사흘째 1700명대…내주 '연휴효과' 전국 재확산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3
만3650건은 음성 판정이 나왔다. 나머지 103만4720건은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이날 0시까지 누적 양성률은 2.07%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에 따르면 이날 0시까지 하루새 2만7400명이 추가로 백신 접종을 받아 총 3657만105명이 1차 접종을 마쳤다. 전체 인구 대비 약 71.2% ... ...
미국 싸이티바, 백신 원부자재 생산 위해 621억원 투자…한미 기업·연구기관 MOU 8건 체결
동아사이언스
l
2021.09.22
한국과 아시아지역에 공급할 예정”이라며 “싸이티바의 생산은 시설이 완공되는 2024년
이후
가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체결식에서는 한국과 미국 17개 백신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 대표가 참석해 총 8건의 MOU를 체결했다. 한국의 유바이오로직스는 미국 어쥬번스테크와 원부자재 수출과 ... ...
실리콘칩서 빛이 생성한 음파로 광신호 제어하는 기술 세계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9.22
00분의 1보다 얇은 광도파로를 실리콘 칩에 제작했다. 광도파로는 빛이 이동하는 길이다.
이후
빛이 물질과 상호작용해 물질을 변형시키는 힘인 광력을 이용해 두 개의 광도파로에서 만든 음파가 세 번째 광도파로에 도달하는 시간을 조절했다. 실리콘 칩 내에서 두 음파가 보강 간섭과 상쇄 간섭을 ... ...
[2021국정감사]PCR 양성인데 한국행 비행기 탑승…부적정 사례 반년새 280여명
연합뉴스
l
2021.09.22
제출했지만, 항공사 측으로부터 아무런 제지도 받지 않았다. 다만 인천공항에 도착한
이후
인천공항 검역소가 재차 양성 확인서를 검사해 부적정 사례로 판정된 외국인 48명에 대해서는 출입국관리법에 따라 입국을 불허하고, 내국인의 경우 시설격리(비용 자부담) 조치했다고 방역당국은 설명했다. ... ...
미국, 일 후쿠시마 사고후 도입 식품 수입규제 철폐…일 총리 쿼드 정상회담 참석 맞춰
동아사이언스
l
2021.09.22
싣고 있다. 후쿠시마/연합뉴스 제공 미국 정부가 2011년 후쿠시마 제1원전 폭발 사고
이후
시행하던 일본 식품 수입 제한을 해제했다. 미국은 한국과 중국 수준의 식품 수입 규제를 해왔는데 때마침 일본 총리가 24일 열리는 쿼드(Quad·미국·일본·호주·인도) 정상회담 참석을 위해 미국을 ... ...
추석 당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1720명…연휴 검사 감소에도 이틀간 1700명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9.22
추석 당일인 21일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임시선별검사소에서 한복을 입은 한 어린이가 검사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추성 당일인 21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이 전날보다 1720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일일 신규 확 ... ...
모더나 백신 4분의 1만 맞아도 면역기억 6개월 이상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1.09.20
직접 파괴하는 CD8+ T세포는 1차 접종 후에는 35명 중 12명에게서 확인됐고 2차 접종
이후
에는 32명 중 17명에게 관찰됐다. CD8+ T세포가 관찰된 임상 참가자들은 모두 6개월 이상 CD8+ T세포가 관찰됐다. 이는 코로나19 회복 환자들과 비교했을 때도 비슷한 수준의 면역반응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항체 ... ...
예술가와 과학자의 전성기, 수년간의 탐색과 탐구 시기 거쳐야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9
경우는 전성기가 나타나지 않았다. 평균적으로 전성기가 나타나면 약 5년간 지속됐고
이후
로는 다시 탐색이나 집중 개발 패턴이 나타나지 않았다. 왕 교수는 “탐색은 아무 것에도 연결되지 않을 수 있기에 위험하지만 좋은 아이디어를 우연히 발견할 가능성은 높아진다”며 “집중 개발은 보수적인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푸딩 같기도, 태양계 같기도…원자모형의 진화
2021.09.18
사이의 전자기력 때문에 이처럼 단순하지는 않다. 유효산란단면이라는 개념은 러더퍼드
이후
현대물리학에서 대단히 유용하고도 중요한 수단으로 역할을 해 왔다. 러더퍼드의 원자모형에서는 무거운 원자핵이 원자의 한가운데에 있고 전자가 원자핵과의 전자기력에 의존해 원자핵 주변을 돌고 ... ...
이전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