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묘→무)’는 문이 열린 모양을 본떠 만든 한자로 ‘나아가다’라는 뜻을 담고 있어요. 그 결과 ‘貿’는 ‘돈을 벌기 위해 나아가다→무역’의 뜻을 갖게 됐지요. ‘바꿀 역(易)’은 도마뱀의 머리(日)와 4개의 발 또는 몸(勿)의 모양을 본뜬 한자예요. 도마뱀이 몸의 빛깔을 잘 바꾸는 모습을 보고 ... ...
- [가상인터뷰] 야생종으로 바나나의 멸종을 막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새로 개발한 신품종과 캐번디시를 여러 지역에서 3년 동안 재배해 봤지요. 그 결과, 캐번디시는 평균 20% 정도가 살아남은 반면 신품종은 적게는 67%, 많게는 모든 개체가 살아남았어요. 알리: 이제 파나마병을 완전히 막을 수 있는 거야? 무사 아쿠미나타: 아쉽지만 이번에 개발한 신품종이 ... ...
- Part 3. [드라큘라의 저주 3] 태양이 없어지면 빙하시대가 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그럼 기체 상태였던 공기는 점차 액체 상태로 변하고 구름이 만들어져서 눈이 내려요. 그 결과 태양이 사라진지 10년이 지날 때쯤, 지구는 얼음 세상으로 변하게 된답니다. 시간이 더 지나면 날씨는 더 많이 바뀔 거예요. 우선 바람이 불지 않게 돼요. 공기가 따뜻하게 데워지지 못하면서 움직임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수사대의 졸업 미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없애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어요. 하지만 지구공학이 오히려 환경을 오염시키고, 정확히 결과를 예측할 수 없어 경계해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크답니다. “올 겨울 찾아온 소녀의 이름은 ‘라니냐’예요!”오후 4시, 시원이와 친구들이 허겁지겁 교장실로 달려가 교장선생님께 답을 말했어요 ... ...
- Part 2. 미리 알고 대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시간이 생기기 때문에 피해를 줄일 수 있어요. 실제로 일본 도쿄대학교 연구팀의 분석 결과, 알림을 받지 못했을 때의 사망확률이 100%라면 20초 전에 알림을 받았을 때는 5%까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지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지진파를 분석해서 미리 지진을 알려주는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을 ... ...
- Part 1. 한눈에 보는 포항 지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진동으로 인해 흙 알갱이의 구조가 무너지면서 흙알갱이가 밑으로 가라앉는답니다. 그 결과, 흙 알갱이 사이에 있던 지하수가 위쪽으로 몰리면서 땅을 물렁하게 만드는 거예요(그림 ➋). 물렁해진 땅 위의 건물은 쓰러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액상화 현상은 주의가 필요하지요. 보통 액상화 현상은 ... ...
- [과학뉴스] 잠수하는 파리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미세한 힘을 측정하는 장치를 이용해 알칼리 파리가 잠수하는 과정을 관찰해 봤지요. 그 결과, 알칼리 파리가 물속으로 들어갈 때 몸 주위로 커다란 공기 방울이 생겼어요. 알칼리 파리 몸에는 기름 성분이 묻어 있는 털이 촘촘하게 나 있어요. 파리가 물에 들어가면 기름 성분이 물을 밀어내고 그 ... ...
- Part 3. 사람의 건강을 위협하는 빛 공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많이 노출될수록 우리 뇌는 밤을 낮으로 인식해 멜라토닌을 적게 분비하지요. 그 결과 밤에도 잠들기 어렵게 된답니다. 특히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성장에 방해가 될 수도 있어요. 성장호르몬은 근육량을 늘리고 뼈를 성장시키는데, 보통 밤 10시에서 새벽 2시 사이에 숙면을 취해야 나온다고 알려져 ... ...
- [과학뉴스] 물고기도 헷갈리는 스파이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로봇 물고기를 제브라피시 집단과 함께 수조에 둔 후 움직임을 관찰했어요. 그 결과, 제브라피시가 로봇 물고기의 행동을 따라하는 모습을 확인했지요. 제브라피시는 동료 물고기의 헤엄치는 모습을 따라하는 특징이 있거든요. 연구에 참여한 프랑크 보네트 교수는 “제브라피시가 로봇 물고기의 ... ...
- [과학뉴스] 배부른 먹이를 찾아라! 갯민숭달팽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히드라충, 동물성 플랑크톤을 풀어놓은 후 각각의 먹이활동을 관찰했지요. 그 결과, 갯민숭달팽이는 아직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지 않은 히드라충보다 방금 식사를 마친 히드라충을 두 배 더 많이 공격했어요. 즉, 방금 식사를 마쳐 배부른 상태의 히드라충을 골라 사냥한 거예요. 연구를 이끈 트레비 ... ...
이전4184194204214224234244254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