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비밀을 풀기 위해 연구에 나섰다. 변 교수팀은 역고드름이 생겼다는 연락을 받고 다음 날 마이산을 찾았다.그가 마이산에 머문 기간은 7일로, 이 중 하루만 역고드름이 관찰됐다. 연구팀은 마이산의 환경이 리브레츠트 교수팀이 제시한 기준과 어느 정도 맞는지 비교해보기로 했다. 먼저 수질을 ... ...
- 자전거 40년 노하우를 한 권에!과학동아 l2010년 01호
- 풀렸을까. 이 책은 역사와 수학을 매혹적으로 엮었다. 1904년 프랑스의 앙리 푸앵카레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냈다. “개미가 거대한 표면 위를 기어갈 때, 그 표면이 둥근 면이라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을까?” 그로부터 100년 뒤(2002~2003년)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은 이것을 최초로 증명했다. ... ...
- [허풍의 퍼즐 세계일주] 칼잡이 잭의 부활?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잡아 거액의 현상금을 손에 넣는다. 허풍과 도형은 그 어느 때보다도 한껏 들뜬 마음으로 다음 여행지인 영국으로 향한다. 그런데 이게 웬일? 허풍과 도형을 영국경찰이 맞이하는데…, 이번 여행에선 어떤 일이 기다리고 있는 걸까?1. 칼잡이 잭의 망령안개가 자욱한 월요일 아침 런던의 출근길. ... ...
- 타임머신수학동아 l2010년 01호
- 공간입니다. 평면이 2차원이지요. 2차원에서 위치를 말하려면 수가 2개 필요합니다. 다음 그림을 보세요. 평면에 2개의 축을 그려 좌표를 만들면 수 2개를 이용해 어디에 있는 점이라도 모두 위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삼각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평면도형은 모두 2차원에 속한 도형입니다. 2차원의 ... ...
- 풀지 않고 필요한 정보 알아내는 암호 체계과학동아 l2010년 01호
- 함수도 있다. 함수g(x)=2x 라고 놓자. 그러면에서 식의 왼쪽 편처럼 먼저 덧셈을 한(즉 3 + 1) 다음에 g를 적용한 3 + 1)과, 오른쪽 편처럼 따로따로 g를 적용하고(즉 g(3)과 g(1)을 계산해 놓고) 나중에 곱셈을 한 g(3)×g(1)이 같은 결과를 준다. 한편 지수함수 대신에 로그함수를 사용하면 곱셈구조를 ... ...
- 제3의 불 밝히는 프로메테우스의 후예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서울대 핵재료연구실에 들어서자 입구에 걸린 큰 그림부터 시야에 들어온다. 그림 속 주인공은 프로메테우스. 그리스 신화 속 프로메테우스는 인간 ... 수학과 물리는 기본이다. 어릴 때부터 수학과 물리를 체계적으로 학습해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탄탄한 기본기를 마련해둬야 한다 ... ...
- CSI 수사체험 ‘지문을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01호
- 형태는 민족마다 약간씩 분포에 차이를 보이나, 일반적으로 제상문이 제일 많고 그 다음 와상문, 궁상문의 순서이다.고양이도 지문이 있을까?골목길을 걷다 보면 ‘바닥 시멘트 주의’라는 글씨와 함께 들어가지 못하도록 끈으로 일종의 작은 바리케이트를 쳐놓은 것을 볼 기회가 가끔 있다. 아마도 ... ...
- 도전! 지구 해설가, 어린이 도슨트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걸까? 덮쳐 오는 흙이 무섭지 않았나? 그게 아니라 이 거북은 육식 동물에게 잡아먹힌 다음에 흙에 묻혔기 때문이래. 용호가 꼽은 공룡 화석한때 지구의 지배자였던 공룡. 친구들도 공룡이 악어 같은 파충류라고 생각해 왔지? 그런데 정말 우리 생각대로 파충류일까? 얼마 전에 공룡 화석이 ... ...
- 신체지수 속의 편안함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연구팀은 3차원 측정기로 각 사람의 머리와 목의 생김새를 분류하고 정확한 치수를 잰 다음, 머리가 바닥에 닿는 압력 등을 측정했다. 그 결과 머리 생김새와 높이에 따라 베개 모양을 만들고 압력에 따라 딱딱한 정도를 조절해 맞춤형 베개를 만들 수 있었다. 이처럼 인체치수를 활용한 설계는 생활 ... ...
- 기하학의 새로운 탄생, 좌표평면수학동아 l2010년 01호
- A의 원소 a와 집합 B의 원소 b를 취해, 순서대로 만든 a와 b의 쌍 (a, b)입니다.예를 들어, 다음처럼 좌표평면이 있을 때 각각의 점을 x축과 y축을 집합이라 생각하면 x축에서 숫자 하나, y축에서 숫자 하나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1,1), (2,2), (3,3)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이죠. 데카르트의 좌표 ... ...
이전4184194204214224234244254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