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문단의 귀재 이윤기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한창인 그의 작업실을 찾았다.2000년 12월 17일 목성의 가장 큰 위성 ‘가니메데’의 표면
아래
에 소금물 바다가 존재한다는 흥미로운 소식이 전해졌다. 이 말은 곧 지구 외에서도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암시하기 때문에, 이번 발견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그런데 ... ...
뱀의 해 , 나라 앞날 걱정한 지혜의 영물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작게 끝을 날름거린다. 또 외국의 방울뱀 같은 종류는 머리 위에서 턱
아래
쪽으로 크게
아래
위로 흔든다.자식 사랑 끔찍한 비단구렁이뱀은 냉혈동물(체온이 일정치 않고 주위 환경에 따라 변하는 동물, 변온동물이라고도 한다)이다. 우리는 이 사실 때문에 뱀이 매몰차고 냉정하며 자식에 대한 ... ...
1. 공중에 솟은 정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꽉 채워진 장소
아래
에서의 향연’으로 유명한 아수르바니팔왕과 왕비가 나무 그늘
아래
에서 향연을 베푸는 그림으로도 알 수 있다.디디오르가 기록한 공중정원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인공정원은 한변이 거의 1백20m의 사각형으로 마치 극장과 같이 계단으로 한단씩 올라가게 설계됐다. 테라스 ... ...
고인돌 유적에서 발견된 별자리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것이다.작은곰자리와 용자리 객관적 확인 아득이 돌판 구멍들의 분포를 살펴보면 왼쪽
아래
에서 북두칠성과 같은 배열을 이루는 7개의 별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배열은 하늘을 올려다봤을 때 북두칠성의 모습을 뒤집어놓은 것과 같다. 이렇게 하늘에서 땅으로 투영하는 방법으로 그려진 별자리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교각 사이의 경간이 1백65m나 돼 이 공법에 의한 다리로는 국내에서 가장 길고, 다리
아래
로 2만t급 선박의 출입이 가능하다.FCM교는 각각의 교각으로부터 좌우로 평형을 유지하면서 철근콘크리트 세그먼트(segment)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며 인접한 교각에서 진행해 온 세그먼트와 최종 접합해 다리상판을 ... ...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스테디셀러다. 번역자 김용준 교수는 유신과 전두환의 군사정권
아래
에서 두차례나 해직된 바 있는 과학자 겸 과학사상가이며, 이 책은 그의 두번째 해직기간 중 집중적으로 번역됐다.이 책은 하이젠베르크가 활동했던 1920-1960년대에 걸친 50년 간의 원자물리학 발전에 관한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있기 때문에 타우너형으로 돌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그래서 종종 토성의 북쪽이나 고리
아래
에 떨어져 있어 별과 혼동하기 쉬운 탓에 세삼하게 관찰해야 한다 ... ...
껌 8분 이상 씹으면 스트레스 받는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코디하기 위한 리포터 역할도 담당한다. 만약 치근막 조직과 턱 관절 디스크가 없다면 위
아래
치아가 맞부딪칠 때마다 발생하는 소음과 충격파, 그리고 두개골과 턱뼈가 부딪치는 소리와 충격파로 인해 뇌는 한시도 안정을 취할 수 없게 된다. 건강한 치아 구조가 얼마나 뇌에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이때의 움직임을 관찰해보면 위
아래
,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볼 수 있다. 탁구공이 위
아래
로 흔들리는 것은 탁구공의 무게 때문이다. 또 좌우로 흔들리는 것은 탁구공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즉 공기의 흐름이 빠른 지점일수록 그 부분의 압력이 작아져(베르누이의 ... ...
내장산 단풍이 더 아름다운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코르크층처럼 생긴 떨켜가 줄기에 생기면 그동안 잎의 엽록소가 만들었던 양분이
아래
로 이동하지 못하고 잎에 쌓이게 된다. 잎에 쌓인 양분이 분해되면 안토시아닌이 만들어지는데, 이것이 세포액에 남아 나뭇잎을 붉은색으로 보이게 한이다. 안토시아닌은 단풍 이외에 꽃잎의 색깔에도 관여한다 ... ...
이전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