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뉴스
"
결국
"(으)로 총 4,22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나이 논란 ‘허블 전쟁’의 주인공을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흥미롭게 지켜봤다. 프리드먼 대장은 샌디지 박사와의 논쟁을 떠올리며 “흥미롭게도
결국
에 우리는 오차 범위 내에서 비슷한 값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즉, 두 그룹은 우주의 나이가 약 140억 년(물론 가장 늙은 별보다 더 많은 나이)이라는 데 동의했다. 논쟁 이후 샌디지 박사는 2010년 84세의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상태였기 때문에 서로를 상동염색체로 인식하지 못해 감수분열을 제대로 되지 않았다.
결국
이 자체가 생식세포가 돼 수분이 일어나면서 4배체(AABB, 2n=4x=28)가 나왔다. 바로 야생 엠머밀로 이 사건은 길어야 50만 년 전에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야콥이 ‘빵의 역사’에서 언급한 엠머밀은 이 야생 ... ...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1日1食해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NIA의 대조군은 나구모 박사의 ‘1즙1채’에 가까운 담백한 식생활을 하는 사람들이다.
결국
칼로리 제한, 즉 ‘1일1식’을 실천하는 사람은 정크푸드에 탐닉하는 사람보다는 더 건강하게 오래 살겠지만 ‘1즙1채’인 사람과는 별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나구모 박사의 주장은 과격한 게 ... ...
[지성이 답한다]바빌로니아서 태어난 60진법, 수학적 계산-응용에 편리
동아일보
l
2013.04.24
을 사용했는데, 이런 문화가 없던 마야 문명은 1년을 18개월로 구분했다.
결국
1년을 12개월로 정한 것은 과학적 편리함보다는 당시의 자연철학과 종교적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루를 오전과 오후 12시간씩으로 나눈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그럼 왜 1시간을 60분으로 정했을까? 고대에 천문학에 관한 ... ...
창조경제에 대한 관심 이렇게 높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2
일부에서는 “새로운 사업을 위해 추경예산을 신청했지만 탈락한 것으로 안다”며 “
결국
과학문화 확산사업에 책정된 예산을 끌어와 진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기존 사업이 축소되는 등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됨)으로 이뤄졌다는 막연한 지식에 새로운 정보를 하나 둘 보태다보니 얘기할 게 많아져,
결국
‘과학동아’ 2012년 8월호에 말을 기획으로 다룰 때 필자가 가장 흥미롭다고 생각한 내용을 (구성상) 포함시키지 못하는 상황까지 됐다. 바로 ‘프르제발스키 말(Przewalski's horse)’ 이야기다. 과학저널 ... ...
이전
419
420
421
422
423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