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뉴스
"
볼
"(으)로 총 6,942건 검색되었습니다.
[ESC의 목소리 (15)] 학부 공학 교육이 망가지고 있다
2017.07.22
수식을 슬라이드로 보여주는 대신에 판서를 꼭 할 필요가 있지만, 100명이 다
볼
수 있게 쓰려면 칠판을 수시로 지워야 하며 그럴 때마다 흐름이 뚝뚝 끊긴다. 30명 상대로는 지필고사가 아니라 한 명씩 불러서 구술 면접을 보면서 정말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질문을 조금씩 다른 ... ...
[써보니] MS의 첫 노트북, '서피스 랩톱'
2017.07.21
꺼내들면 주변에서 탄성이 나오고, 잠깐씩 만져보는 동안 갖고 싶다는 반응을 아주 쉽게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묘하게도 자연스레 맥북과 비교하곤 한다. 이 비교는 단순한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의 비교가 아니다. 시장은 어느새 ‘고급스러운 컴퓨터는 곧 애플’이라는 묘한 고정 관념을 ... ...
첫사랑의 기억이 오래가는 이유? 어느 연구자의 결론
동아사이언스
l
2017.07.20
외부자극으로 인해 자주 떠올려지는 단기기억(파랑)이 장기기억(빨강)으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New York University 제공 연구팀은 지난 수 십년간 이뤄진 뇌 연구를 바탕으로 기억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물론 단기기억이 장기기억으로 바뀌는 과정을 설명하는 ‘실시간 계층(Temporal hierarchy) ... ...
늦은 봄철 초미세먼지 54%는 국내, 34%는 중국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17.07.20
포름알데히드의 양이 많으면, 그만큼 방향족 유기물질이 초미세먼지에 많이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방향족 유기물질은 오존 발생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KORUS-AQ 연구진은 2차 초미세먼지 생성 반응의 또 다른 주범으로 암모니아(NH3)를 꼽았다. 국내 대기에서 ... ...
[퀴즈] 물리적 거세는 화학적 거세보다 효과가 좋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9
거세는 약물을 통해 성충동을 억제하는 치료 방법으로 약물 투입 후 2주 이내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죄질이 안 좋은 성범죄자에게 물리적 거세를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데요. 물리적 거세가 화학적 거세보다 효과가 더 좋은 것일까요? 궁금하다면 아래의 ... ...
지하철 와이파이로도 HD급 동영상 마음껏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9
달리는 지하철에서도 고화질(HD) 동영상을 끊기는 현상 없이
볼
수 있도록 해 주는 데이터 전송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와이파이나 LTE가 연결돼 있다는 표시는 뜨지만 일시정지와 재생을 반복해도 동영상이 묵묵부답인 경우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지난달 ... ...
일자리로서의 '우버'는?
2017.07.18
달리 차 안의 분위기가 조금 더 가볍고 즐겁게 만들어지는 이유도 여기에서 찾아
볼
수 있을 겁니다. “우버가 생계 수단인 드라이버 파트너들을 위해 최선을 다할 책임이 있다”는 앤드류 대표의 말이 묘하게 곱씹어집니다. ※ 필자소개 최호섭. PC사랑을 시작으로 최근 블로터까지 IT 분야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
2017.07.18
하는 게 나름 인지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만 이 둘을 결합하면 훨씬 큰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말이다. 미래에는 가상현실로 사냥을 하거나 채집을 하는 상황을 설정한 상태에서 러닝머신 위를 걷거나 달리는 운동이 널리 퍼질지도 모르겠다. 당장 이런 환경이 안 된다고 실망할 필요는 없다. ... ...
[현장] “장애 사원이 일반사원보다 성과 30% 높다”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7.07.17
직장을 얻는 문제는 전혀 진보하지 않았음을 느낄 수 있었다. 그러나 변화의 조짐은
볼
수 있었다. 17년 전 내가 몸담았던 회사는 장애인에 대한 편견으로 가득했지만, 이 행사에서 이런 편견이 깨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표적인 사례는 큐딜리온이다. 큐딜리온은 네이버 카페 중고나라를 ... ...
[2018 국제단위계 재정의 ②] 재정의되는 건 몰질량(M) 아니죠~ 물질량(㏖)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6
상수와 아보가드로 수를 이용해 구한 플랑크 상수 값이 같다면 두 측정 결과가 같다고
볼
수 있다. 키블 저울의 플랑크 상수와 비교하기 위해 시작한 프로젝트가 바로 ‘아보가드로 프로젝트’다. 아보가드로 프로젝트는 1990년에 이미 공식적으로 프로젝트 명이 언급될 정도로 오래된 계획이다. ... ...
이전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다음
공지사항